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2. 분류
3. 원인
4. 병태생리
5. 임상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8. 투석
9. 혈액투석환자의 간호
10) 혈액투석의 합병증
11) 혈액투석의 장단점
Ⅳ. 결론
Ⅱ. 본론
1. 정의
2. 분류
3. 원인
4. 병태생리
5. 임상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8. 투석
9. 혈액투석환자의 간호
10) 혈액투석의 합병증
11) 혈액투석의 장단점
Ⅳ. 결론
본문내용
함.
위장장애
위장관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2~4시간마다 제산제 투여
요독증에 대한 식이요법을 함
8. 투석
투석(dialysis)은 선택성 투과성을 지닌 반투막을 이용하여 확산, 삼투, 여과 작용에 의해 신부전 환자의 혈액 중에 쌓인 대사성 노폐물과 과다한 전해질 및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투석은 시행되는 동안에만 효과가 있으며 신장의 기타작용 즉 호르몬의 생성, 포도당, 인슐린 및 비타민 D의 중간 단계의 대사 작용 등과 같은 신기능을 완전히 대신할 수 없음.
1) 원리
확산(diffusion)
반투막을 통해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두 구간의 농도가 같아질 때까지 용질이 이동하는 것. 확산의 결과 혈 중의 요산, creatinine, 요소, 포타슘이 투석액으로 이동.
혈액의 적혈구와 단백질은 분자가 너무 크므로 반투막을 통과할 수 없음.
삼투(osmosis)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용매, 즉 수분이 이동하는 것.
투석액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환자의 혈액농도보다 고농도를 함으로써 환자 체내의 과다한 체액이 환자의 혈액에서 투석액으로 이동.
초여과(ultrafiltration)
인위적으로 형성된 압력차에 의해 반투막을 통해 수액의 이동이 일어나는 것. 수액제거효과가 삼투작용보다 크다.
- 반투막을 경계 → 한쪽에는 노폐물이 축적된 환자의 혈액, 다른 한편에는 정상인의 세포외액과 조성이 비슷한 투석액 →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 혈액 내에 축적된 요소와 다른 노폐물을 포함한 용질을 농도 차이에 의한 확산에 의해 제거 → 정수압의 차이를 만들어 혈장내의 과다한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
즉, 투석기는 환자 혈액이 지나가는 부분과 투석액이 지나가는 두부분으로 구성 사이에 얇은 막이 있으며 이 막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노폐물과 과다한 수분이 혈액으로부터 투석액으로 빠져나가고 혈액세포와 단백질과 같은 우리 몸에 필요한 성분들은 크기 때문에 통과하지 못하고 남게 됨.
2) 투석장치요소
투석기
상자나 튜브모양으로 두 개의 연결부위는 혈액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다른 두 개는 투석액 부분과 연결
투석기에 들어있는 막(cellulose, substituted cellose, cellulosynthetics, synthetics)이 두부분을 분리.
투석기의 종류로는 나선형, 평판형, 섬관형 투석기.
투석기계
혈류량을 조절하는 혈액펌프, 투석액을 공급하는 투석액 전달체계, 동맥압, 정맥압, 투석액 전도율 및 수온 등을 감시하면서 혈액누출이나 체외회로에서의 공기 등을 탐지해 내는 안전감시장치로 구성
투석액
sodium, potassium, cholride, glucose, buffer(acetate or bicarbonate)로 구혈장액과 비슷한 농도로 되어 있고, 투석 치료를 받을 때마다 약 120L 정도의 물에 노출
혈관통로
일시적 접근 방법
▶도관을 대퇴정맥, 쇄골하정맥, 내경정맥과 같은 큰 정맥에 경피적으로 삽입하거 나 서로 인접한 동맥과 정맥 사이를 외부에서 도관으로 연결시킨 체외 동정맥문합
영구적 접근방법
▶서로 인접한 동맥과 정맥 사이에 피하로 누공을 만들어 주거나 인조혈관으로 연결시켜 주는 동정맥루, 동정맥 인조혈관이식
항응고제
혈액이 혈관밖으로 나와 응고되고 투석튜브나 투석기막과 접촉하여 혈액 응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혈액투석시 항응고 요법이 반드시 필요하며 항응고제로 헤파린이 가장 널리 쓰임
목적
-혈액 투석을 하기 위해 → 일정한 혈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큰 혈관이 필요
방법
수술을 통해 환자의 팔과 다리 등에서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혈관을 굵게 만드는 것
부위
손목 부위에 만들지만 손목 부위에 혈관이 좋지 않을 경우 팔의 상부 또는 다리의 대퇴부 등 여러 부위
적용
혈관상태에 따라서 환자자신의 동맥과 정맥을 직접 연결하거나 당뇨병 등으로 인하여 환자의 혈관이 좋지 않을 경우 환자의 동맥과 정맥사이에 인조혈관을 삽입하여 연결
주요통로
단기 투석시 체외 동정맥 문합과 쇄골하 도관술,
장기투석 시 이용되는 체내 동정맥루와 이식술
체내 동정맥루 : 장기 투석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통로로서 가장 많이 사용. 동정맥루는 팔이나 다리의 동맥과 정맥을 문합하는 외과적인 과정을 통해 만들어짐. 큰 동맥과 정맥간에 커다란 구멍이나 루가 형성되면 정맥으로 흐르는 동맥의 흐름 때문에 정맥이 충혈되면서 굵어짐.
3) 혈액투석 통로
4) 동정맥루의 관리
① 투석 후에 바늘을 꽂았던 부위는 솜을 붙이고 24시간 지나면 뗀다. 샤워나
위장장애
위장관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2~4시간마다 제산제 투여
요독증에 대한 식이요법을 함
8. 투석
투석(dialysis)은 선택성 투과성을 지닌 반투막을 이용하여 확산, 삼투, 여과 작용에 의해 신부전 환자의 혈액 중에 쌓인 대사성 노폐물과 과다한 전해질 및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투석은 시행되는 동안에만 효과가 있으며 신장의 기타작용 즉 호르몬의 생성, 포도당, 인슐린 및 비타민 D의 중간 단계의 대사 작용 등과 같은 신기능을 완전히 대신할 수 없음.
1) 원리
확산(diffusion)
반투막을 통해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두 구간의 농도가 같아질 때까지 용질이 이동하는 것. 확산의 결과 혈 중의 요산, creatinine, 요소, 포타슘이 투석액으로 이동.
혈액의 적혈구와 단백질은 분자가 너무 크므로 반투막을 통과할 수 없음.
삼투(osmosis)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용매, 즉 수분이 이동하는 것.
투석액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환자의 혈액농도보다 고농도를 함으로써 환자 체내의 과다한 체액이 환자의 혈액에서 투석액으로 이동.
초여과(ultrafiltration)
인위적으로 형성된 압력차에 의해 반투막을 통해 수액의 이동이 일어나는 것. 수액제거효과가 삼투작용보다 크다.
- 반투막을 경계 → 한쪽에는 노폐물이 축적된 환자의 혈액, 다른 한편에는 정상인의 세포외액과 조성이 비슷한 투석액 →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 혈액 내에 축적된 요소와 다른 노폐물을 포함한 용질을 농도 차이에 의한 확산에 의해 제거 → 정수압의 차이를 만들어 혈장내의 과다한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
즉, 투석기는 환자 혈액이 지나가는 부분과 투석액이 지나가는 두부분으로 구성 사이에 얇은 막이 있으며 이 막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노폐물과 과다한 수분이 혈액으로부터 투석액으로 빠져나가고 혈액세포와 단백질과 같은 우리 몸에 필요한 성분들은 크기 때문에 통과하지 못하고 남게 됨.
2) 투석장치요소
투석기
상자나 튜브모양으로 두 개의 연결부위는 혈액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다른 두 개는 투석액 부분과 연결
투석기에 들어있는 막(cellulose, substituted cellose, cellulosynthetics, synthetics)이 두부분을 분리.
투석기의 종류로는 나선형, 평판형, 섬관형 투석기.
투석기계
혈류량을 조절하는 혈액펌프, 투석액을 공급하는 투석액 전달체계, 동맥압, 정맥압, 투석액 전도율 및 수온 등을 감시하면서 혈액누출이나 체외회로에서의 공기 등을 탐지해 내는 안전감시장치로 구성
투석액
sodium, potassium, cholride, glucose, buffer(acetate or bicarbonate)로 구혈장액과 비슷한 농도로 되어 있고, 투석 치료를 받을 때마다 약 120L 정도의 물에 노출
혈관통로
일시적 접근 방법
▶도관을 대퇴정맥, 쇄골하정맥, 내경정맥과 같은 큰 정맥에 경피적으로 삽입하거 나 서로 인접한 동맥과 정맥 사이를 외부에서 도관으로 연결시킨 체외 동정맥문합
영구적 접근방법
▶서로 인접한 동맥과 정맥 사이에 피하로 누공을 만들어 주거나 인조혈관으로 연결시켜 주는 동정맥루, 동정맥 인조혈관이식
항응고제
혈액이 혈관밖으로 나와 응고되고 투석튜브나 투석기막과 접촉하여 혈액 응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혈액투석시 항응고 요법이 반드시 필요하며 항응고제로 헤파린이 가장 널리 쓰임
목적
-혈액 투석을 하기 위해 → 일정한 혈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큰 혈관이 필요
방법
수술을 통해 환자의 팔과 다리 등에서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혈관을 굵게 만드는 것
부위
손목 부위에 만들지만 손목 부위에 혈관이 좋지 않을 경우 팔의 상부 또는 다리의 대퇴부 등 여러 부위
적용
혈관상태에 따라서 환자자신의 동맥과 정맥을 직접 연결하거나 당뇨병 등으로 인하여 환자의 혈관이 좋지 않을 경우 환자의 동맥과 정맥사이에 인조혈관을 삽입하여 연결
주요통로
단기 투석시 체외 동정맥 문합과 쇄골하 도관술,
장기투석 시 이용되는 체내 동정맥루와 이식술
체내 동정맥루 : 장기 투석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통로로서 가장 많이 사용. 동정맥루는 팔이나 다리의 동맥과 정맥을 문합하는 외과적인 과정을 통해 만들어짐. 큰 동맥과 정맥간에 커다란 구멍이나 루가 형성되면 정맥으로 흐르는 동맥의 흐름 때문에 정맥이 충혈되면서 굵어짐.
3) 혈액투석 통로
4) 동정맥루의 관리
① 투석 후에 바늘을 꽂았던 부위는 솜을 붙이고 24시간 지나면 뗀다. 샤워나
추천자료
만성 신부전 급성 신부전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혈액투석 복막투석
만성 신부전(사례연구)
만성 신부전증과 사회사업가의 역할
만성 신부전 투석치료 동정맥루 복막 투석 간호과정 간호진단 신장
만성 신부전 요독증 만성신부전 운동 만성신부전 치료
만성 신부전 case study
식사요법및 실습 급.만성 신부전 환자의 식단
만성 신부전, 당뇨병성 신증 환자 간호
만성 신부전
신부전(CRF) 병태생리, 치료 및 투석환자 간호
만성 신부전증
만성 신부전 case study (chronic renal failure) - 성인간호학 대학병원 실습 컨퍼런스
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