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 전에
본론
1.독일 아우토반
1) 배경과 과정
2)건설목적
3)특징
4)영향
5)오늘날 독일 아우토반의 변화
2.오스트리아의 아우토반
1) 아우토반의 종류
2)특징
3.우리나라의 경부 고속도로
1)경부고속도로 건설의 계기
2)경부고속도로 건설의 목적
3)경부고속도로 건설에 있어 특징
끝내며....
본론
1.독일 아우토반
1) 배경과 과정
2)건설목적
3)특징
4)영향
5)오늘날 독일 아우토반의 변화
2.오스트리아의 아우토반
1) 아우토반의 종류
2)특징
3.우리나라의 경부 고속도로
1)경부고속도로 건설의 계기
2)경부고속도로 건설의 목적
3)경부고속도로 건설에 있어 특징
끝내며....
본문내용
아우토반을 운행하는 화물차에 대해 일정 수준의 통행요금을 물리는 제도가 처음으로 시행된 것이다.
아우토반에 대해서 대부분 사람들은 속도 무제한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다. 나 역시 그랬었는데, 하지만 아우토반이 무료 도로였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다. 그리고 사실 놀라웠다.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고속도로가 무료였다니... 하지만 이런 아우토반도 위의 기사에서 알 수 있듯이 무료->유료로 올해 초 바뀌었다. 이런 변화의 배경과 이유에 대해서는 본론에서 밝히고자 한다.
본론
1.독일 아우토반 독일 아우토반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본 보고서에서 오스트리아의 아우토반을 조금 다룰 것이기 때문에, 이 두 아우토반을 구분하기 위해서 씀.
1) 배경과 과정 기본적으로 한국도로공사의 ‘독일의 교통정책’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참고하였음.
가)1945년 이전 본보고서는 제2차 세계대전 전에 건설된 아우토반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나, 독일 아우토반의 완성 과정을 서술하기 위해서 전후 시기별로 나누어 추가로 서술함.
세계 최초의 자동차 전용길인 고속도로는 독일이 건설했다. 독일의 황태자였던 프리드리히 빌헴름은 막 생겨나기 시작한 자동차를 매우 좋아한 카레이스광이었다. 그는 당시 자동차를 타고 마음껏 달릴 수 있는 길이 제대로 없어 아쉬워했는데, 베를린 교외에다 자동차 전용도로를 건설하여 젊은 자동차광들로부터 대환영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그는 매주말 한번씩 유럽 최초의 자동차스피드경기를 선보였다. 그는 독일의 아우토반을 구상하여 1927년 독일북부 브레멘-함부르크-프랑크푸르트 간을 연결하는 길이 880KM의 아우토반 건설을 구상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에서의 배경과 이후 전 세계에 불어 닥친 경제대공황으로 고속도로 건설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하지만 1913년부터 1921년까지 베를린에서 실험적으로 아부스고속도로(Avus experimential highway)이 건설되었고, 밀라노에서 이탈리아 북부의 호수들까지 연결시켜 놓은 130km 길이의 아우토스트라다 유료도로가 완성되었다. 한편 1933년 2월 11일 히틀러가 정권을 잡은 뒤 제국 자동차도로(라이히스 아우토반)의 건설에 착수할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그는 같은 해 6월 아스팔트 포장전문가 프리츠 토토를 도로총감으로 기용하고 9월 23일 자동차도로의 건설에 착수했다. 히틀러는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주등에 의해 관리되고 있던 도로를 도로총감의 관할에 두었다. 그리고 가솔린세가 건설의 주요재원으로 이용되었다. 1934년 도로총감 토토는 편도 2차선으로, 중앙에 4미터의 분리대를 가진 폭 24미터의 아우토반를 건설할 것을 결정했다. 1936년 1000km의 아우토반이 완성되었고, 1938년에는 3000km가 연장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2년에 건설이 중지되기까지 3900km의 고속 자동차도로가 건설되었다. 도로 건설에는 고온의 아스팔트를 붓고 흙손으로 마무리하는 방법이 채택되었다. 하룻밤에 읽는 물건사, 미야자키 마사카츠, 랜덤하우스 중앙, p257-258
그러나 제2차세계대전의 피해는 극심하여 전후에 이영가능했던 아우토반은 2175km였다.
나)1945 ~1960년
전후 서독의 교통정책은 초대 교통장관 재범에서 시작되었다. 1953년 연방장거리도로법 1955년 교통제정법의 제정에 의해 연방장거리 도로의 건설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재원을 바탕으로 도로정비가 진행되어 아우토반의 건설도 재개되었으나, 1950년대 제봄의 교통정책은 철도 중시형 정책이었다.
다)1960년대
1960년대의 교통정책은 시장경재 중시, 즉 경제 촉진적 성격이 강하게 반영되어, 1960년에 ‘도로건설재정법’이 제정되어 광유세의 대부분을 목적세화 하는 것으로 연방장거리 도로건설 재원이 강화되었다. 이런 배경으로 1959~1970년에는 3차에 걸쳐 도로정비 4개년 계획이 시행되어 12년 동안 아우토반3000km의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라)1970년대
후술하는 경부고속도로 부분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이 시기에 서독을 방문하여 아우토반을 보았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걸쳐서는 서독에 있어서의 본격적인 모터리제이션의 시대이기도하여 도로건설이 활발히 행하여졌다. 1971년~1975년의 제1차 5개년 계획에서는 약 290억 마르크가 지출되어(약70%가 도로투자) 아우토반의 계획목표는 1900km였다. 그러나 실제 건설된 것 1700km이었다.
마)1980년대
제3차 5개년 계획에서는 약 3610억 마르크가 지출되어 800km의 아우토반이 건설되었다. 그리고 양보다 질의 정책으로 아우토반 정체구간의 6~8차선화 , 환경개선을 위한 우회도로의 건설 등이 시행되었다. 그리고 1986년의 법개정에 따라 제4차 5개년 계획이 책정되어 아우토반의 최종연장은 1만300km가 예정하고, 6차선 이상의 아우토반을 2800km로 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바)1990년대 이후
1990년에 동서독이 통일이 되어서 정비목표는 새로운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건설이나, 구동독에 있어서는 아우토반의 개선이 주 목표이다.
이런 아우토반의 건설을 통해 독일은 세계 최고의 고속도로망을 가지게 되었다. 독일의 경우 1998년에 고속도로 114000kn인데, 일본의 2000년 말에 고속도로의 총길이가 7840km였다는 것을 비교해보면, 독일의 고속도로망이 얼마나 잘되어있는지 알 수 있다. 하룻밤에 읽는 물건사, p257 독일의 고속도로망 도표 참고
참고로 독일의 도로 분류를 표로 적으며,
간선도로
지방도로
농림도로
연방장거리도로
- 아우토반
- 연방도로
주도
군도
시가지도로
지역내
- 주요도로
- 일반도로
- 우회도로
- 지선도로
지역외
- 연결도로
- 기타지역도로
농도
- 주요농도
- 경작도
임도
- 주욤임도
- 진입로
- 퇴출로
이를 통해, 아우토반은 연방장거리 도로임을 알 수 있다.
2)건설목적 건설목적은 1945년 전 히틀러의 아우토반 건설의 목적을 서술한 것임.
가)경제적 목적
1929년 ‘황금의 20년대’로 일컬어지는 경제호황이 갑작스런 주식의 폭락을 계기로 대공황으로 돌아섰다. 이때 대량의 실업자를 흡수하기 위한 대규모 도로사업이 이루어
아우토반에 대해서 대부분 사람들은 속도 무제한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다. 나 역시 그랬었는데, 하지만 아우토반이 무료 도로였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다. 그리고 사실 놀라웠다.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고속도로가 무료였다니... 하지만 이런 아우토반도 위의 기사에서 알 수 있듯이 무료->유료로 올해 초 바뀌었다. 이런 변화의 배경과 이유에 대해서는 본론에서 밝히고자 한다.
본론
1.독일 아우토반 독일 아우토반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본 보고서에서 오스트리아의 아우토반을 조금 다룰 것이기 때문에, 이 두 아우토반을 구분하기 위해서 씀.
1) 배경과 과정 기본적으로 한국도로공사의 ‘독일의 교통정책’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참고하였음.
가)1945년 이전 본보고서는 제2차 세계대전 전에 건설된 아우토반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나, 독일 아우토반의 완성 과정을 서술하기 위해서 전후 시기별로 나누어 추가로 서술함.
세계 최초의 자동차 전용길인 고속도로는 독일이 건설했다. 독일의 황태자였던 프리드리히 빌헴름은 막 생겨나기 시작한 자동차를 매우 좋아한 카레이스광이었다. 그는 당시 자동차를 타고 마음껏 달릴 수 있는 길이 제대로 없어 아쉬워했는데, 베를린 교외에다 자동차 전용도로를 건설하여 젊은 자동차광들로부터 대환영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그는 매주말 한번씩 유럽 최초의 자동차스피드경기를 선보였다. 그는 독일의 아우토반을 구상하여 1927년 독일북부 브레멘-함부르크-프랑크푸르트 간을 연결하는 길이 880KM의 아우토반 건설을 구상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에서의 배경과 이후 전 세계에 불어 닥친 경제대공황으로 고속도로 건설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하지만 1913년부터 1921년까지 베를린에서 실험적으로 아부스고속도로(Avus experimential highway)이 건설되었고, 밀라노에서 이탈리아 북부의 호수들까지 연결시켜 놓은 130km 길이의 아우토스트라다 유료도로가 완성되었다. 한편 1933년 2월 11일 히틀러가 정권을 잡은 뒤 제국 자동차도로(라이히스 아우토반)의 건설에 착수할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그는 같은 해 6월 아스팔트 포장전문가 프리츠 토토를 도로총감으로 기용하고 9월 23일 자동차도로의 건설에 착수했다. 히틀러는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주등에 의해 관리되고 있던 도로를 도로총감의 관할에 두었다. 그리고 가솔린세가 건설의 주요재원으로 이용되었다. 1934년 도로총감 토토는 편도 2차선으로, 중앙에 4미터의 분리대를 가진 폭 24미터의 아우토반를 건설할 것을 결정했다. 1936년 1000km의 아우토반이 완성되었고, 1938년에는 3000km가 연장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2년에 건설이 중지되기까지 3900km의 고속 자동차도로가 건설되었다. 도로 건설에는 고온의 아스팔트를 붓고 흙손으로 마무리하는 방법이 채택되었다. 하룻밤에 읽는 물건사, 미야자키 마사카츠, 랜덤하우스 중앙, p257-258
그러나 제2차세계대전의 피해는 극심하여 전후에 이영가능했던 아우토반은 2175km였다.
나)1945 ~1960년
전후 서독의 교통정책은 초대 교통장관 재범에서 시작되었다. 1953년 연방장거리도로법 1955년 교통제정법의 제정에 의해 연방장거리 도로의 건설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재원을 바탕으로 도로정비가 진행되어 아우토반의 건설도 재개되었으나, 1950년대 제봄의 교통정책은 철도 중시형 정책이었다.
다)1960년대
1960년대의 교통정책은 시장경재 중시, 즉 경제 촉진적 성격이 강하게 반영되어, 1960년에 ‘도로건설재정법’이 제정되어 광유세의 대부분을 목적세화 하는 것으로 연방장거리 도로건설 재원이 강화되었다. 이런 배경으로 1959~1970년에는 3차에 걸쳐 도로정비 4개년 계획이 시행되어 12년 동안 아우토반3000km의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라)1970년대
후술하는 경부고속도로 부분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이 시기에 서독을 방문하여 아우토반을 보았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걸쳐서는 서독에 있어서의 본격적인 모터리제이션의 시대이기도하여 도로건설이 활발히 행하여졌다. 1971년~1975년의 제1차 5개년 계획에서는 약 290억 마르크가 지출되어(약70%가 도로투자) 아우토반의 계획목표는 1900km였다. 그러나 실제 건설된 것 1700km이었다.
마)1980년대
제3차 5개년 계획에서는 약 3610억 마르크가 지출되어 800km의 아우토반이 건설되었다. 그리고 양보다 질의 정책으로 아우토반 정체구간의 6~8차선화 , 환경개선을 위한 우회도로의 건설 등이 시행되었다. 그리고 1986년의 법개정에 따라 제4차 5개년 계획이 책정되어 아우토반의 최종연장은 1만300km가 예정하고, 6차선 이상의 아우토반을 2800km로 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바)1990년대 이후
1990년에 동서독이 통일이 되어서 정비목표는 새로운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건설이나, 구동독에 있어서는 아우토반의 개선이 주 목표이다.
이런 아우토반의 건설을 통해 독일은 세계 최고의 고속도로망을 가지게 되었다. 독일의 경우 1998년에 고속도로 114000kn인데, 일본의 2000년 말에 고속도로의 총길이가 7840km였다는 것을 비교해보면, 독일의 고속도로망이 얼마나 잘되어있는지 알 수 있다. 하룻밤에 읽는 물건사, p257 독일의 고속도로망 도표 참고
참고로 독일의 도로 분류를 표로 적으며,
간선도로
지방도로
농림도로
연방장거리도로
- 아우토반
- 연방도로
주도
군도
시가지도로
지역내
- 주요도로
- 일반도로
- 우회도로
- 지선도로
지역외
- 연결도로
- 기타지역도로
농도
- 주요농도
- 경작도
임도
- 주욤임도
- 진입로
- 퇴출로
이를 통해, 아우토반은 연방장거리 도로임을 알 수 있다.
2)건설목적 건설목적은 1945년 전 히틀러의 아우토반 건설의 목적을 서술한 것임.
가)경제적 목적
1929년 ‘황금의 20년대’로 일컬어지는 경제호황이 갑작스런 주식의 폭락을 계기로 대공황으로 돌아섰다. 이때 대량의 실업자를 흡수하기 위한 대규모 도로사업이 이루어
추천자료
운전면허 시험
천성산 터널공사의 현황 및 견해
천성산 도룡뇽 갈등사례 고찰
국내 주요 화물 운송 수단 현황 및 운송형태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실태와 정책부재로 인한 공원내 대규모 개발사업 사례
우리나라 철도산업의 경쟁력
[교통][교통안전][교통사고][교통안전 필요성][교통사고 발생요인][교통사고 예방방안]교통안...
BCG-MATRIX 분석
소음진동측정 실험
대구시 교통환경과 정체현상 분석.
화물차운전행태에따른문제점및대안조사
[광역권, 광역권 고용성장, 제4차 국토종합계획, 광역권 지역적 충격, 광역교통망체계, 지역...
[광역교통, 광역교통망체계, 가구통행, 수도권, 제4차 국토종합계획, 광역교통망, 교통망체계...
행정복합도시 건설이 서울의 입지에 미칠 영향.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