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가야사의 전개
2.임나와 기마민족설
3.가야사연구의 현주소
4.가야의 강역
5.가야의 문화와 인물
6.가야사의 교훈
1.가야사의 전개
2.임나와 기마민족설
3.가야사연구의 현주소
4.가야의 강역
5.가야의 문화와 인물
6.가야사의 교훈
본문내용
도하는 문장을 구사(驅使)할 수 있었던 것은 가야의 학문적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임나가량인 강수는 삼국사기열전에 삼국시대의 학자로서는 첫머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신라에 투항한 금관국의 마지막 왕 구형왕의 직계손인, 김무력(金武力)-김서현(金舒玄)-김유신(金庾信)의 삼대에 걸친 일가(一家)가 펼치는 삼국통일전에서의 활약상은, 김유신 일가의 전공이 없이 신라가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룰 수 있었을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가야의 문화적 수준이나 인물은 당시의 삼국 어느 나라와 비교해 보아도 뒤지지 않고 있다.
6.가야사의 교훈
가야사를 둘러싸고 전개되었던 여러가지의 문제들은 우리에게 새삼 많은 것들을 일깨워 준다. 일본인들은 우리가 방치했던 가야의 역사를 훔쳐서 그들의 역사에 끼워 넣고 싶었는지 모른다. 마치 혈통이 좋은 집안의 아이를 훔쳐다가 친자식을 만들려고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온갖 정성을 기울인 모습이다.
다행이도 우리는 광복과 더불어 잃었던 가야사를 되찾아 입은 옷을 벗기고 새로 지은 옷을 갈아 입히긴 하였지만, 자라는 동안에 주입된 잘못된 생각을 고치는 일이 쉽지 않음을 새삼스럽게 깨닳는다.
가야는 왜 망했는가? 강역이 좁아서 였던가? 문화나 기술이 낙후되었던 탓인가? 국가의 동량인 인재가 없어서 였던가? 모두가 가야가 망한 원인이 아니다.
가야가 망했던 원인은 가야 여러 나라의 분열상에서 드러나듯이 단합하여 통일을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가야의 음악에 대한 신라인들의 평가를 통해서 볼 수 있는 것 처럼 그 문화가 건강함을 잃었기 때문에, 강수전이나 김유신전에서 보듯이 그들의 고국안에는 가야의 인재들이 설 땅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가야의 역사는 우리 역사에서 가장 연구가 부진한 부분이고, 망한 나라의 역사이지만, 가야의 역사를 뒤집어 보면 우리가 되새겨야 할 숱한 교훈을 담고 있다.
겁션
1.창원 삼동동 토광묘3호의 유물 출토 상태,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보이는 한(韓)사회의 풍속에 관한 기록에 “ - - 구슬을 재보(財寶)로 생각하여 옷에 달아서 장식하거나 목에 걸고 귀에 달았으며, 금은비단은 귀히 여기지 않았다 - -”고 한 것처럼, 삼동동유적에서는 금동제품은 없고 많은 구슬이 출토되었다.
2.부산 연산동4호분의 재조사 광경, 일제시대에 마구 파헤쳐졌던 고분군의 하나로서 아무런 조사기록도 없다.
3.김해대성동 발굴 중간발표 광경, 최근 김해지역에서 발굴되고 있는 자료들은 “임나일본부” 문제와 결부되어 한일 양국 고고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집중 시키고 있다.
4.울주 하대유적의 발굴 광경, 가야의 변천은 신라의 확대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 경주 주변에서 조사되는 유적은 가야사연구자료로서도 중요하다.
5.부산 복천동고분의 유물 출토 상태, 가야나 신라고분에는 많은 유물이 부장되는데, 이러한 것은 백제고분과 다른 점으로, 장례풍속에 차이가 있어음을 보인다.
6. 산청 중촌리3호분에서 출토된 그릇받침과 단지, 그릇받침의 다리가 곡선을 이루며 벌어지는 것은 가야적이며, 투창을 교열로 배치한 것은 신라적이다.
6.가야사의 교훈
가야사를 둘러싸고 전개되었던 여러가지의 문제들은 우리에게 새삼 많은 것들을 일깨워 준다. 일본인들은 우리가 방치했던 가야의 역사를 훔쳐서 그들의 역사에 끼워 넣고 싶었는지 모른다. 마치 혈통이 좋은 집안의 아이를 훔쳐다가 친자식을 만들려고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온갖 정성을 기울인 모습이다.
다행이도 우리는 광복과 더불어 잃었던 가야사를 되찾아 입은 옷을 벗기고 새로 지은 옷을 갈아 입히긴 하였지만, 자라는 동안에 주입된 잘못된 생각을 고치는 일이 쉽지 않음을 새삼스럽게 깨닳는다.
가야는 왜 망했는가? 강역이 좁아서 였던가? 문화나 기술이 낙후되었던 탓인가? 국가의 동량인 인재가 없어서 였던가? 모두가 가야가 망한 원인이 아니다.
가야가 망했던 원인은 가야 여러 나라의 분열상에서 드러나듯이 단합하여 통일을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가야의 음악에 대한 신라인들의 평가를 통해서 볼 수 있는 것 처럼 그 문화가 건강함을 잃었기 때문에, 강수전이나 김유신전에서 보듯이 그들의 고국안에는 가야의 인재들이 설 땅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가야의 역사는 우리 역사에서 가장 연구가 부진한 부분이고, 망한 나라의 역사이지만, 가야의 역사를 뒤집어 보면 우리가 되새겨야 할 숱한 교훈을 담고 있다.
겁션
1.창원 삼동동 토광묘3호의 유물 출토 상태,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보이는 한(韓)사회의 풍속에 관한 기록에 “ - - 구슬을 재보(財寶)로 생각하여 옷에 달아서 장식하거나 목에 걸고 귀에 달았으며, 금은비단은 귀히 여기지 않았다 - -”고 한 것처럼, 삼동동유적에서는 금동제품은 없고 많은 구슬이 출토되었다.
2.부산 연산동4호분의 재조사 광경, 일제시대에 마구 파헤쳐졌던 고분군의 하나로서 아무런 조사기록도 없다.
3.김해대성동 발굴 중간발표 광경, 최근 김해지역에서 발굴되고 있는 자료들은 “임나일본부” 문제와 결부되어 한일 양국 고고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집중 시키고 있다.
4.울주 하대유적의 발굴 광경, 가야의 변천은 신라의 확대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 경주 주변에서 조사되는 유적은 가야사연구자료로서도 중요하다.
5.부산 복천동고분의 유물 출토 상태, 가야나 신라고분에는 많은 유물이 부장되는데, 이러한 것은 백제고분과 다른 점으로, 장례풍속에 차이가 있어음을 보인다.
6. 산청 중촌리3호분에서 출토된 그릇받침과 단지, 그릇받침의 다리가 곡선을 이루며 벌어지는 것은 가야적이며, 투창을 교열로 배치한 것은 신라적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동북공정][중국][고구려]동북공정 전개과정, 전략과 중국의 고구려에 관한 입장 및 한국의 ...
[냉전][냉전의 개념][냉전의 기원][냉전의 성립][냉전의 전개과정][냉전의 붕괴][신세계질서...
[항일전쟁][항일독립전쟁][항일전쟁(항일독립전쟁) 전개][의병][광복][독립]항일전쟁(항일독...
[시대구분][시대구분 기준][시대구분 전개][시대구분 경향][시대구분 전망][시대구분 과제][...
국제금융위기의원인과전개방향
(A+ 레포트, 유아교육)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의 전개방법 유아교육의 전개방법
[서양윤리사상][서양윤리사상의 의의][서양윤리사상의 특징][서양윤리사상의 연원][서양윤리...
협동학습의 전개, 의의, 효과, Jigsaw(직소우)Ⅰ과 Jigsaw(직소우)Ⅱ 협동학습모형, STAD(모둠...
소비자행동이론의 전개 과정
[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 문학 전개][고전주의 문학 이념][고전주의 문학 이행][풍자문학]고...
[남북방송교류, 남북방송교류 논의, 전개, 남북방송교류 과정, 남북방송교류 추진방향, 남북...
[뉴딜정책, 뉴딜정책 의미, 뉴딜정책 출현, 뉴딜정책 목표, 뉴딜정책 전개과정, 뉴딜정책 내...
[불교][불교 의미][불교 특징과 목적][불교 전개][불교 교리체계]불교의 의미, 불교의 특징과...
[신경영][경영][신경영 전개과정][신경영 E비즈니스][신경영 마케팅][신경영 전략][신경영 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