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대 대통령의 리더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리더십의 이론적 배경
․리더십에 대한 정의
1. 전략형 리더십
2. 인적자원형 리더십
3. 전문가형 리더십
4. 규제형 리더십
5. 혁신형 리더십

Ⅲ리더십과 대통령의 관계
1.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리더십
(1) 이승만 대통령의 리더십
(2) 박정희 대통령의 리더십
(3) 전두환 대통령의 리더십
(4) 노태우 대통령의 리더십
(5) 김영삼 대통령의 리더십
(6) 김대중 대통령의 리더십
(7) 노무현 대통령의 리더십

Ⅳ결론

본문내용

가지고 있지 못한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있다. 이렇게 리더로서의 자질에는 많은 것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부하들을 동기 부여시킬 수 있는 능력과 새로운 일을 함에 있어서의 추진력인 것이다. 이것이 그가 나라를 통치하는 첫 번째 노하우이자 가장 중요한 히든카드라고 할 수 있다. 깊숙이 들어가 생각해보면 자신의 정치영역을 굳건히 하고 장점으로 받아들 일 것은 받아들이는 수용적 자세를 취함으로서 자신의 목표 달성과 함께 국민에 대한 인정을 받고자 했다. 경제위기 속에서 대통령이란 막중한 자리를 맡게 된 김대중 대통령은 그의 계획대로 리더로서의 장점을 살려 우리나라를 위기 속에서 회복시켰다. 하지만 이렇게 성공을 거둔 김대중 대통령은 이상하게도 '여야 대결정국', '현대사태', '의료대란' 등 국정 전반의 난맥상에 처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그의 정치력은 발휘되지 못했다.
(7) 노무현 대통령의 리더십
노대통령 리더십의 첫번째 특징인 민주적 리더십은 화이부동(和而不同)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합하되 같지 않다는 뜻으로 같은 걸 구하되 다른 건 인정한다는 구동존이(求同尊異)와 같은 이치다. 반면 권위주의 리더십은 동이불화(同而不和)다. 똑같되, 화합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민주적 리더십에 있어 노대통령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건 권력의 포기, 권력의 절제다. 두번째 원칙은 법치주의, 혹은 시스템에 의한 통치다. 대통령이 나서서 대통령이 결정짓는 게 아니다. 과거 권위주의 리더십의 특징은 1인 전횡이었다. 권위주의 리더십의 다른 특징은 측근 부패다.
노대통령 리더십의 두번째 특징은 실용주의적, 효율적 리더십이다. 외교부문에서 나오는 실용주의는 바로 국익 외교다. 친미도 반미도 아니다. 우리 국익에 가장 맞는 걸 골라서 하자는 것이다. 어느 국회의원이 참여정부는 나토(NATO)정부다, 노 액션(No Action) 토킹 온리(Talking Only)다라고 했다고 비판했지만 참여정부는 로드맵 퍼스트(roadmap first), 액션 레이터(action later)라고 말할 수 있다. 로드맵과 매뉴얼을 먼저 정하자는 것이다. 설계도 없이 작업하다가 역대 정부가 모두 망쳤지 않나. 그래서 개혁 프로그램을 만들자고 한 것이고 현재 로드맵과 매뉴얼로 작성된 것이 250여개나 된다.
마지막으로 역동적 리더십이다. 지금 세계를 이끌고 있는 주요 지도자는 모두 다 젊고 역동적인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세계는 이렇듯 역동적 리더십의 흐름에 있다.
Ⅳ결론
우리 사회는 지금 리더십의 부재를 염려하고 개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민주사회에서 리더십은 결국 시민사회를 통해 국민들의 선택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이다. 결국 좋은 리더십의 육성은 국민의 몫이며 과제인 것이다.
과거 권위주의 체제 하에서 우리는, 군부나 독재자의 퇴진이 곧 민주주의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탈권위주의 이후의 우리 정치현실은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운영한다는 것이 실상은 탈권위주의민주화의 과제보다 훨씬 어려운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적 가치와 절차, 규칙 등이 사회구성원의 보편적 규범으로 정착되어 내면화일상화될 때 민주주의는 비로소 현실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와 정치권뿐 아니라 시민사회의 가치와 행태가 함께 변화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민주화 이후 정부와 정치의 기능은 보다 적극적인 의미에서 재 규정되어야 한다. 시장이 해결할 수 없는 사회 공공이익의 실현을 보장하는 것, 그것이 바로 국가의 역할이며 정치의 기능인 것이다. 그리고 국가와 정치가 그러한 역할과 기능을 하도록 만들기 위한 시민적 감시와 통제, 그것이 우리가 정치에 대하여 가져야 할 바람직한 자세인 것이다. 21세기 한국사회의 미래상은 결코 다른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구성원 공동의 참여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는 사실을 명심할 때, 21세기 한국을 이끌어갈 바람직한 정치리더십의 형성 그것은 우리 모두에게 맡겨진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참 고 문 헌]
1. 이청원최창현, 새조직론, 대영문화사, 2003
2. 헨리 민쯔버그, 리더십, 21세기북스, 1999
3. 함성득, 대통령학, 나남출판사, 2002
4. 황주홍 고경민 공저, 지도자론, 2002
5. 이종률, 대통령, 통일시대연구소, 2002
6. 박내희, 현대리더십론, 법문사
7. http://foothouse.com/bbs/view.php?id=nohtong&no=104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3.13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