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들어가며
1. 인터넷 언어의 등장 배경
2. 일상어와 구별되는 통신언어의 대표적 특징 고찰
2.1 축약된 형태의 단어 사용
2.2 이모티콘 사용
2.3 독특한 문체 및 어투와 용어 사용
2.4 특정한 상황에서 파생된 언어 사용
3. 인터넷 언어를 바라보는 두 가지 견해
3.1 인터넷 언어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
3.2 인터넷 언어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4. 올바른 인터넷 언어 사용을 위한 방안
4.1 사용자의 측면
4.2 사회적 측면
5. 나오며
6. 참고문헌
7. 그림자료
1. 인터넷 언어의 등장 배경
2. 일상어와 구별되는 통신언어의 대표적 특징 고찰
2.1 축약된 형태의 단어 사용
2.2 이모티콘 사용
2.3 독특한 문체 및 어투와 용어 사용
2.4 특정한 상황에서 파생된 언어 사용
3. 인터넷 언어를 바라보는 두 가지 견해
3.1 인터넷 언어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
3.2 인터넷 언어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4. 올바른 인터넷 언어 사용을 위한 방안
4.1 사용자의 측면
4.2 사회적 측면
5. 나오며
6. 참고문헌
7. 그림자료
본문내용
. 그 유래는 2002 한일 월드컵 기간 중 코스타리카 취재진들이 입고 온 티셔츠에서 찾을 수 있다. 그들이 착용했던 셔츠 뒤에는 ‘press of Costa Rica’라고 적혀있었는데 이를 정확히 해석하면 ‘코스타리카의 취재진’이라고 해야 한다. 어느 안내 책자에 이 문구가 각 국의 언어로 해석되어 있었으나 한국어로는 \'코스타리카의 압박\'이라고 되어 있었다. press가 누르다란 뜻으로 상황에 맞지 않게 해석이 된 것이다. 이 모습이 담긴 사진이 디시인사이드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고, 온라인상의 신조어가 되었다. 여기서 ‘압박하다’는 기존의 ‘힘을 가하다’라는 의미 이상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인터넷상에서 다른 사람이 올린 글에 옳지 않은 부분,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 등을 지적하며 댓글을 다는 경우 ‘압박’한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어떤 대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때나, 심리적으로 좋지 않은 경우에 실로 말할 수 없는 고통이나 심리적 부담 등을 느끼게 될 때 사용한다. 그 예로 ‘이 글에 압박을 가하자’는 특정 글을 지적하고자 할 때, \'졸림의 압박\'은 졸려서 어떤 일을 하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받아들이면 되겠다.
이런 용어에는 기존의 단어가 뜻보다 확장된 경우가 있는가 하면, 기존에 없던 말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방법, 압박은 전자의 예이고, 아쥑쥑, 득쥑, 쥑자 등은 후자의 예로 들 수가 있다.
독특한 문체 사용의 예로는 일본의 온라인상에서 많이 쓰이는 문체, 특히는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에서 많이 쓰이는 어투를 비슷하게 옮겨와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문체는 ‘-여’ 등의 문체처럼 종결형 어미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표현 방식이 색다르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이는 굳이 애니, 게임 등을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만이 아니라 소위 인터넷상의 ‘매니아’ 계층에서 많이 퍼져서 쓰인다. 이는 애니메이션 상의 직역한 대사나 연출을 따라하기 시작한 데서 온 것으로, 나아가 일본어투의 문체를 형성한 것으로 보이며 가장 눈에 띄는 것으로는 괄호 속에 어떤 의성어나 의태어를 집어넣고 말꼬리에 붙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는 일본에서 (笑), (爆) 등으로 쓰이던 것들이 (웃음), (폭발) 등으로 바뀌어 넘어온 것으로, 사용이 확장되어 오면서는 (콜록), (먼산), (털썩), (도망) 등등 사용하는 사람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임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덧붙여 (웃음)과 같은 것은 일본과 한국의 잡지 인터뷰에서도 많이 쓰인다. 그리고 그 외에도 으음, 에에 등의 말을 자주 섞어 사용한다거나 난무, 궁극과 같은 일본식 한자어를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카와이(귀엽다), 스고이(멋지다), 다이스키(아주 좋아하다) 등의 간단한 일본어 사용, 문두의 말더듬는 습관, ‘힘내세요.’ 대신 ‘힘내주세요.’를 사용한다든지 하는 것들이 그 예가 될 수 있겠다.
위와 같은 독특한 용어들을 처음 접하는 사람은 용어의 설명 없이 문장의 뜻을 이해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처럼 독특한 문체나 용어의 사용은 그 집단 내의 사람들 사이에 일종의 동질감을 형성하며, 다른 집단과의 차별화로 집단 내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런 용어들은 서서히 집단과 크게 상관없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통용되기 시작하는데 아까 예로 제시한 ‘압박’이나 ‘방법’과 같은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는 기존의 상식과 고정관념 탈피와도 그 의의를 연관지어볼 수 있다.
2.4 특정한 상황에서 파생된 언어 사용
이에 관련된 단어는 개체수도 많고 그에 따라 파생된 상황도 논쟁 상황, 특정인에 대한 안티, 게임 등 매우 다양하다. 대표적인 예로 \'
이런 용어에는 기존의 단어가 뜻보다 확장된 경우가 있는가 하면, 기존에 없던 말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방법, 압박은 전자의 예이고, 아쥑쥑, 득쥑, 쥑자 등은 후자의 예로 들 수가 있다.
독특한 문체 사용의 예로는 일본의 온라인상에서 많이 쓰이는 문체, 특히는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에서 많이 쓰이는 어투를 비슷하게 옮겨와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문체는 ‘-여’ 등의 문체처럼 종결형 어미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표현 방식이 색다르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이는 굳이 애니, 게임 등을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만이 아니라 소위 인터넷상의 ‘매니아’ 계층에서 많이 퍼져서 쓰인다. 이는 애니메이션 상의 직역한 대사나 연출을 따라하기 시작한 데서 온 것으로, 나아가 일본어투의 문체를 형성한 것으로 보이며 가장 눈에 띄는 것으로는 괄호 속에 어떤 의성어나 의태어를 집어넣고 말꼬리에 붙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는 일본에서 (笑), (爆) 등으로 쓰이던 것들이 (웃음), (폭발) 등으로 바뀌어 넘어온 것으로, 사용이 확장되어 오면서는 (콜록), (먼산), (털썩), (도망) 등등 사용하는 사람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임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덧붙여 (웃음)과 같은 것은 일본과 한국의 잡지 인터뷰에서도 많이 쓰인다. 그리고 그 외에도 으음, 에에 등의 말을 자주 섞어 사용한다거나 난무, 궁극과 같은 일본식 한자어를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카와이(귀엽다), 스고이(멋지다), 다이스키(아주 좋아하다) 등의 간단한 일본어 사용, 문두의 말더듬는 습관, ‘힘내세요.’ 대신 ‘힘내주세요.’를 사용한다든지 하는 것들이 그 예가 될 수 있겠다.
위와 같은 독특한 용어들을 처음 접하는 사람은 용어의 설명 없이 문장의 뜻을 이해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처럼 독특한 문체나 용어의 사용은 그 집단 내의 사람들 사이에 일종의 동질감을 형성하며, 다른 집단과의 차별화로 집단 내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런 용어들은 서서히 집단과 크게 상관없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통용되기 시작하는데 아까 예로 제시한 ‘압박’이나 ‘방법’과 같은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는 기존의 상식과 고정관념 탈피와도 그 의의를 연관지어볼 수 있다.
2.4 특정한 상황에서 파생된 언어 사용
이에 관련된 단어는 개체수도 많고 그에 따라 파생된 상황도 논쟁 상황, 특정인에 대한 안티, 게임 등 매우 다양하다. 대표적인 예로 \'
추천자료
채팅(통신언어)을 통해 일어 나고 있는 언어 파괴 현상
통신언어
언어와 해체주의
컴퓨터 통신언어의 매체언어적 성격 및 대화양식에 관한 고찰
통신언어에 대한 고찰
통신언어의실태와개선방안(휴대폰,게시판,온라인게임을중심으로)
[언어와생활]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언어의 자료를 직접수집 조사하여 분석해보시오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
[교육사회학]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
[언어와생활]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