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自然 風流詩
3. 우국과 저항의 고뇌
4. 나오며
2. 自然 風流詩
3. 우국과 저항의 고뇌
4. 나오며
본문내용
선구자의 노랫소리로도 같아 빛과 희망을 주는 것으로 보아도 되지 않을까 한다.
지금까지 만해 저항 한시에서 일제에 식민지 수탈정책에 저항하는 주제의식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저항한시의 세계와 국문시의 시정신은 서로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만해는 시인으로서 줄기차게 일제와 맞서는 저항시인었다
) 김용직, 염무웅, 일제시대의 저항문학, 신구문화사, 1974, p51
고 단정한 김용직이나, <님의 침묵> 그것은 역시 철저한 레지스탕스의 성전이었다
) 박노순, 한용운의 님의 침묵, 사상계 165호, 1967, 1月, p97.
고 주장한 박노순의 견해들이 그런대로 올바른 판단이라고 여겨진다. 일제의 검열을 계기로 국문시가 여성취향이나 부정어 등의 사용을 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우회적 수법은 저항적인 요소로 활용되었다고 보여진다.
일생을 일제하에서 호적없이 살았던 萬海, 감옥 안에서는 사식을 금하고 보역을 금하고 변호사를 대지말라고 했던 만해는 망하고야 만 일본을 보지 못한 채 해방 일 년 전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 이희숙, 『만해 한용운의 한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4
4. 나오며
) 이희숙, 『만해 한용운의 한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4
만해의 한시는 평생을 통해 祖國 獨立을 이루려는 의지를 충분히 담아내고 있다. 다양한 主題와 素材가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는 한시에서 결국 하나의 귀결점은 祖國光復의 염원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만해가 憂國에 대한 저항한시를 쓸 수 있었던 배경은 儒敎的인 정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어려서부터 漢學을 했고, 이를 통해 시대 상황을 바르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이 생긴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만해의 저항적인 정신과 행동은 삼일 운동 후 옥중에서 멈추어 지는 듯 했지만 오히려 더욱 더 강력하게 민족운동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만해의 한시의 特徵은 먼저, 국문학의 맥을 잇는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또한 국문시집 <님의 침묵>의 모체가 되었다. 그리고 그의 저항정신은 부정어를 통해 祖國 喪夫의 憂國을 표현하고 있다. 국문 시에 비해 한시는 생의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한시에서 그의 삶의 총체적인 모습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시의 일반적인 형식에 치우치지 않았으며 시의 내용과 뜻을 중심으로 作詩하엿던 것은 그의 한시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만해 한시는 국문시의 시정신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것은 그의 시속에 民族愛가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사실로써 파악된다.
<참고문헌>
1. 金美善, 『韓龍雲의 漢詩 硏究』, 淸州大 大學院 석사학위 논문, 청주대학교, 1989
2. 金美善, 『淸大漢林 』4 「韓龍雲의 漢詩硏究」, 淸州大學校漢文敎育科, 1989
3. 이종찬, 『韓國文學硏究 』제24집 「만해(萬海)의 한시(漢詩)」, 東國大學校韓國文學硏究所, 2001
4. 이희숙, 『만해 한용운의 한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4
지금까지 만해 저항 한시에서 일제에 식민지 수탈정책에 저항하는 주제의식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저항한시의 세계와 국문시의 시정신은 서로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만해는 시인으로서 줄기차게 일제와 맞서는 저항시인었다
) 김용직, 염무웅, 일제시대의 저항문학, 신구문화사, 1974, p51
고 단정한 김용직이나, <님의 침묵> 그것은 역시 철저한 레지스탕스의 성전이었다
) 박노순, 한용운의 님의 침묵, 사상계 165호, 1967, 1月, p97.
고 주장한 박노순의 견해들이 그런대로 올바른 판단이라고 여겨진다. 일제의 검열을 계기로 국문시가 여성취향이나 부정어 등의 사용을 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우회적 수법은 저항적인 요소로 활용되었다고 보여진다.
일생을 일제하에서 호적없이 살았던 萬海, 감옥 안에서는 사식을 금하고 보역을 금하고 변호사를 대지말라고 했던 만해는 망하고야 만 일본을 보지 못한 채 해방 일 년 전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 이희숙, 『만해 한용운의 한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4
4. 나오며
) 이희숙, 『만해 한용운의 한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4
만해의 한시는 평생을 통해 祖國 獨立을 이루려는 의지를 충분히 담아내고 있다. 다양한 主題와 素材가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는 한시에서 결국 하나의 귀결점은 祖國光復의 염원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만해가 憂國에 대한 저항한시를 쓸 수 있었던 배경은 儒敎的인 정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어려서부터 漢學을 했고, 이를 통해 시대 상황을 바르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이 생긴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만해의 저항적인 정신과 행동은 삼일 운동 후 옥중에서 멈추어 지는 듯 했지만 오히려 더욱 더 강력하게 민족운동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만해의 한시의 特徵은 먼저, 국문학의 맥을 잇는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또한 국문시집 <님의 침묵>의 모체가 되었다. 그리고 그의 저항정신은 부정어를 통해 祖國 喪夫의 憂國을 표현하고 있다. 국문 시에 비해 한시는 생의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한시에서 그의 삶의 총체적인 모습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시의 일반적인 형식에 치우치지 않았으며 시의 내용과 뜻을 중심으로 作詩하엿던 것은 그의 한시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만해 한시는 국문시의 시정신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것은 그의 시속에 民族愛가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사실로써 파악된다.
<참고문헌>
1. 金美善, 『韓龍雲의 漢詩 硏究』, 淸州大 大學院 석사학위 논문, 청주대학교, 1989
2. 金美善, 『淸大漢林 』4 「韓龍雲의 漢詩硏究」, 淸州大學校漢文敎育科, 1989
3. 이종찬, 『韓國文學硏究 』제24집 「만해(萬海)의 한시(漢詩)」, 東國大學校韓國文學硏究所, 2001
4. 이희숙, 『만해 한용운의 한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4
추천자료
- 1920년대와 김소월 시에 대해서☆
- 김현승시의 기독교적 연구
- 정지용의 시세계
- 1920년대 대표 시인 조사
- 정지용의 시세계
- 1930년대 시의 특성
- 무신 집권기 신진사인의 시적 행로 - 백운 이규보
- 김현승의 시 세계를 세 시기로 나누고 작품을 분석 주제의식을 논하시오jo
- [현대시론]서정시의 전통과 사회변혁의 특성
- [한국근대 국어 표기법][한국근대 국어 파생형용사][한국근대 희곡][한국근대 시][한국근대 ...
- 한국현대시사★
- 한국현대시사별 대표작가와 시정리
- [국어국문학] 시인 정지용에 관해서 (정지용 시인 소개, 정지용 시인의 작품세계)
- 김운초(金雲楚) 시 - 냉정과 열정사이의 절묘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