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생아의 분류
신생아 반사
황 달
산소요법&CPT
Transfusion
Nutrition
Specimen collecting
신생아 중환아실의 의료장비
신생아의 특징
고위험 신생아 간호
Ballard Examination
신생아 반사
황 달
산소요법&CPT
Transfusion
Nutrition
Specimen collecting
신생아 중환아실의 의료장비
신생아의 특징
고위험 신생아 간호
Ballard Examination
본문내용
대천문을 지나 대략5㎝ 뒤로 부드러운 막성부위가 만져졌으며 대부분의 정상아 에서는 만져지지 않았다.
산류 : 두피와 골막사이의 넓게 생긴 부종으로 분만동안 두 개에 가해진 압력 때문에 생기며 수일내에 사라짐.
두혈종 : 출산과정동안 머리에 생긴 손상으로 두개골과 골막사이에 파열된 혈관으로부터 혈액이 고인 것이 다. 두개골 한쪽에 국한된다. 2~3주 이상 흡수시간이 걸림.
Molding : 질분만동안 태아의 모리가 압력을 받으므로 생긴 자국이다.
태변 : 아이가 분만후 보는 첫 번째 변이다. 점액성, 암녹색, 무취이며 24시간내 배설되지 않을 시 장폐쇄 의심(위장관 상태 기능의 지표)
4일 후 없어짐
이행성변 : 태변의 이후에 보게 되는 변이다. 생후 4일~2주에 배설되는 점액성의 묽은 변
모유영양시 신우유 냄새의 노란빛 변이며 인공영양시 연노랑에서 연갈색의 더 굳고 불쾌한 냄새가 남
생후3일째인 날 끈적끈적하고 흰색의 덩어리같은 것이 변에 섞여 있었다.
색은 짙은 녹색 + 황토색 + 흰색의 덩어리로 관찰되었다.
Witch's milk
: 유방울혈은 여아와 남아에게 다 나타날 수 있는데 모체의 호르몬 때문에 나타난다. 가끔 액체가 유두에서
분비될 수 있는데 울혈이나 액체는 2주내에 사라진다. 이것을 짜내어서는 안된다.
Title. 고위험 신생아 간호
Date.
Part. NICU
▷ 고위험 신생아의 간호
1. 호흡의 유지 및 지지
neck-extension 산소공급
보조환기 제공 Incubator care
평가기준 : 분홍색 피부, 적절한 혈액가스 치, 정상범위의 활력징후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다. (열손실 ↑)
Radient warmer care ? Head cover : heat loss 방지에 매우 효과적
중성온도환경 유지
산소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 복부체온이 36.5-36.8 ℃사이
2. 감염으로부터의 보호
보육기의 정기적 세척과 소독 철저한 손 씻기, 가운 착용
3. 수분공급
Wt. I/O check, 수액요법 실시
수액요법의 침윤증상 관찰(조직의 발적과 부종)
Over hydration ; Wt. gain 30g/24hrs., 눈 주위 부종, 빈호흡, 빈맥, 폐수포음 청진
수화측정 : 체중, 소변비중, 삼투압측정, I&O
평가기준 : 평평한 천문, 정상활력 징후, 습한 점막, 소변량 25㎖/Kg 1hr
4. 영양공급
a. 생리적 특성
흡인의 가능성 ↑
단백질 소화능력은 만삭아와 유사
탄수화물 소화능력↓ (lactase는 34주 이후에 분비)
지방의 흡수 및 소화능력 ↓ (pancreatic lipase↓, bile acid ↓)
b. 영양요구
미숙아>만삭아
120~ 160 ㎈/㎏/day(미국 소아회 학회)
Ca, Fe, P, Protein, Vit A 저장량이 낮아 보충이 요구됨
Vit C 필요량의 증가 : 모체 내에서의 불충분한 공급, 성장률 빠름
인공영양 : 15-20분이 적절 자주 트림시키기, 충분한 휴식
모유수유 : 흡철, 연하반사의 협응이 이루어지는 시기가 적절
위관영양 (gavage feeding)
32주 이전 출생아, 체중이 1600g 이하의 영아에게 가장 안전한 영양 공급 방법
(시작 전 흡인:2㎖ 이내 정상), 빠는 능력 부족하고 연하곤란 있으며 청색증 있을 때 : Vit E 보충
(빈혈 예방), 철분 (Vit E 흡수 방해, 평균체중 후 시작) → 6 ~ 8주 후부터
모유 : 면역 성분 (권장)
5. 에너지 보존
minimal handling 중성온도 환경 유지
위관영양? 환경적 고려 : 소음, 광선, 조명
6. 피부간호
미성숙, 민감 주 2-3회 물로 부분 목욕 실시
반창고 : transpor tape, tape사용 최소화, 피부마찰 최소화
알칼리성 비누 사용 안함(산성막 파괴), 반창고 떼기 위한 용제 사용안함
7.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지지
영아 자극 부모의 참여 유도
부모-영아 관계의 증진
퇴원준비 ; 교육과 상담, 자조집단(self-help group) 에 소개
Title. Ballard Examination
Date.
Part. NICU
▷ Ballard Examination
1. 신경학적 소견
자세 : 팔 다리가 완전히 굴곡될수록 높은 점수이다.
0-팔과 허리가 뻗치고 있다.
1-힙과 무릅이 약각 굴곡되어 있다.
2-힙과 무릅이 많이 굴국되어 있다.
3-다리가 굴곡되고 팔이 약간 굴곡되어 있다.
4-팔 다리가 완전히 굴곡되어 있다.
정상아에서는 완전굴곡을 확인할 수있있고 미숙아에서는 신전되어진 모습을 관찰하였다.
각창 (square window) : 팔목에서 손을 굴곡시킨다.
0-90°
1-60°
2-45°
3-30°
4-0°
팔의 되돌아오기 반응 (arm recoil) : 아기를 바로 눕히고 전신을 5초동안 충분히 굴곡한 다음 팔을 잡아
당겨 충분히 펼친후 놓는다. 그 때 팔의 각도를 본다.
0-180°
1-140~180°
2-110~140°
3-90~110°
4-0°
팔이 천천히 예전의 굴곡자세로 돌아갔다.
오슬각도 (popliteal angle) : 아기를 바로 눕히고 골반을 진찰대 위에 평평히 놓은 다음 다리를 고관절에서
충분히 굴곡시키고 다리를 펼쳐서 그 각도를 보고 점수를 매긴다.
0-160°
1-140°
2-120°
3-110°
4-90°
5-<90°
스카프 징후 (scarf sign) : 아기를 반드시 눕히고 아기의 한 손을 다른쪽 어깨로 가능한 대로 당긴다.
0-아무 저항 없다.
1-팔꿈치가 다른쪽 정중흉선에 도달한다.
2-팔꿈치가 다른쪽 정중흉선과 중앙선사이까지 온다.
3-팔꿈치가 중앙선까지 온다.
4-팔꿈치가 중앙선까지 온다.
-정상아는 팔이 잘꺽이지 않았지만 미숙아는 다른 어깨쪽까지 완전히 당겨짐을 관찰함.
발뒤꿈치→귀 (heel to ear)
: 아기를 바로 눕히고 아기의 다리를 머리쪽으로 너무 무리하지는 말고 가까이 가져간다.
-신생아는 저항이 느껴져서 귀까지 닿지 않았고 미숙아는 발꿈치가 귀에 닿임을 관찰함.
산류 : 두피와 골막사이의 넓게 생긴 부종으로 분만동안 두 개에 가해진 압력 때문에 생기며 수일내에 사라짐.
두혈종 : 출산과정동안 머리에 생긴 손상으로 두개골과 골막사이에 파열된 혈관으로부터 혈액이 고인 것이 다. 두개골 한쪽에 국한된다. 2~3주 이상 흡수시간이 걸림.
Molding : 질분만동안 태아의 모리가 압력을 받으므로 생긴 자국이다.
태변 : 아이가 분만후 보는 첫 번째 변이다. 점액성, 암녹색, 무취이며 24시간내 배설되지 않을 시 장폐쇄 의심(위장관 상태 기능의 지표)
4일 후 없어짐
이행성변 : 태변의 이후에 보게 되는 변이다. 생후 4일~2주에 배설되는 점액성의 묽은 변
모유영양시 신우유 냄새의 노란빛 변이며 인공영양시 연노랑에서 연갈색의 더 굳고 불쾌한 냄새가 남
생후3일째인 날 끈적끈적하고 흰색의 덩어리같은 것이 변에 섞여 있었다.
색은 짙은 녹색 + 황토색 + 흰색의 덩어리로 관찰되었다.
Witch's milk
: 유방울혈은 여아와 남아에게 다 나타날 수 있는데 모체의 호르몬 때문에 나타난다. 가끔 액체가 유두에서
분비될 수 있는데 울혈이나 액체는 2주내에 사라진다. 이것을 짜내어서는 안된다.
Title. 고위험 신생아 간호
Date.
Part. NICU
▷ 고위험 신생아의 간호
1. 호흡의 유지 및 지지
neck-extension 산소공급
보조환기 제공 Incubator care
평가기준 : 분홍색 피부, 적절한 혈액가스 치, 정상범위의 활력징후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다. (열손실 ↑)
Radient warmer care ? Head cover : heat loss 방지에 매우 효과적
중성온도환경 유지
산소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 복부체온이 36.5-36.8 ℃사이
2. 감염으로부터의 보호
보육기의 정기적 세척과 소독 철저한 손 씻기, 가운 착용
3. 수분공급
Wt. I/O check, 수액요법 실시
수액요법의 침윤증상 관찰(조직의 발적과 부종)
Over hydration ; Wt. gain 30g/24hrs., 눈 주위 부종, 빈호흡, 빈맥, 폐수포음 청진
수화측정 : 체중, 소변비중, 삼투압측정, I&O
평가기준 : 평평한 천문, 정상활력 징후, 습한 점막, 소변량 25㎖/Kg 1hr
4. 영양공급
a. 생리적 특성
흡인의 가능성 ↑
단백질 소화능력은 만삭아와 유사
탄수화물 소화능력↓ (lactase는 34주 이후에 분비)
지방의 흡수 및 소화능력 ↓ (pancreatic lipase↓, bile acid ↓)
b. 영양요구
미숙아>만삭아
120~ 160 ㎈/㎏/day(미국 소아회 학회)
Ca, Fe, P, Protein, Vit A 저장량이 낮아 보충이 요구됨
Vit C 필요량의 증가 : 모체 내에서의 불충분한 공급, 성장률 빠름
인공영양 : 15-20분이 적절 자주 트림시키기, 충분한 휴식
모유수유 : 흡철, 연하반사의 협응이 이루어지는 시기가 적절
위관영양 (gavage feeding)
32주 이전 출생아, 체중이 1600g 이하의 영아에게 가장 안전한 영양 공급 방법
(시작 전 흡인:2㎖ 이내 정상), 빠는 능력 부족하고 연하곤란 있으며 청색증 있을 때 : Vit E 보충
(빈혈 예방), 철분 (Vit E 흡수 방해, 평균체중 후 시작) → 6 ~ 8주 후부터
모유 : 면역 성분 (권장)
5. 에너지 보존
minimal handling 중성온도 환경 유지
위관영양? 환경적 고려 : 소음, 광선, 조명
6. 피부간호
미성숙, 민감 주 2-3회 물로 부분 목욕 실시
반창고 : transpor tape, tape사용 최소화, 피부마찰 최소화
알칼리성 비누 사용 안함(산성막 파괴), 반창고 떼기 위한 용제 사용안함
7.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지지
영아 자극 부모의 참여 유도
부모-영아 관계의 증진
퇴원준비 ; 교육과 상담, 자조집단(self-help group) 에 소개
Title. Ballard Examination
Date.
Part. NICU
▷ Ballard Examination
1. 신경학적 소견
자세 : 팔 다리가 완전히 굴곡될수록 높은 점수이다.
0-팔과 허리가 뻗치고 있다.
1-힙과 무릅이 약각 굴곡되어 있다.
2-힙과 무릅이 많이 굴국되어 있다.
3-다리가 굴곡되고 팔이 약간 굴곡되어 있다.
4-팔 다리가 완전히 굴곡되어 있다.
정상아에서는 완전굴곡을 확인할 수있있고 미숙아에서는 신전되어진 모습을 관찰하였다.
각창 (square window) : 팔목에서 손을 굴곡시킨다.
0-90°
1-60°
2-45°
3-30°
4-0°
팔의 되돌아오기 반응 (arm recoil) : 아기를 바로 눕히고 전신을 5초동안 충분히 굴곡한 다음 팔을 잡아
당겨 충분히 펼친후 놓는다. 그 때 팔의 각도를 본다.
0-180°
1-140~180°
2-110~140°
3-90~110°
4-0°
팔이 천천히 예전의 굴곡자세로 돌아갔다.
오슬각도 (popliteal angle) : 아기를 바로 눕히고 골반을 진찰대 위에 평평히 놓은 다음 다리를 고관절에서
충분히 굴곡시키고 다리를 펼쳐서 그 각도를 보고 점수를 매긴다.
0-160°
1-140°
2-120°
3-110°
4-90°
5-<90°
스카프 징후 (scarf sign) : 아기를 반드시 눕히고 아기의 한 손을 다른쪽 어깨로 가능한 대로 당긴다.
0-아무 저항 없다.
1-팔꿈치가 다른쪽 정중흉선에 도달한다.
2-팔꿈치가 다른쪽 정중흉선과 중앙선사이까지 온다.
3-팔꿈치가 중앙선까지 온다.
4-팔꿈치가 중앙선까지 온다.
-정상아는 팔이 잘꺽이지 않았지만 미숙아는 다른 어깨쪽까지 완전히 당겨짐을 관찰함.
발뒤꿈치→귀 (heel to ear)
: 아기를 바로 눕히고 아기의 다리를 머리쪽으로 너무 무리하지는 말고 가까이 가져간다.
-신생아는 저항이 느껴져서 귀까지 닿지 않았고 미숙아는 발꿈치가 귀에 닿임을 관찰함.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발달의 출산과 신생아기,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의 발달단계
고위험 신생아
신생아의 특징, 신생아의생리적 현상,신생아의 특징 ,신생아의생리적 현상,신생아기신체적특...
안락사 찬반논쟁과 사회복지의 윤리적 딜레마, 중증장애 신생아의 치료와 윤리적 달레마 보고서
[간호학]신생아실데일리
[간호학]신생아실(New born nursery) Check list
RDS case study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실습 :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스터디
[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 및 예방방법에 대해
아동간호학케이스/미숙아/아동간호학실습/premature infant/아동간호실습/신생아/NICU
고위험신생아, 고위험신생아약물투약, 고위험신생아감염, 고위험신생아감염예방, 고위험신생...
신생아건강사정, 신생아초기사정, 신생아신체검진, 신생아재태연령, 신생아반응기, 신생아이...
[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특징 [미숙아 과숙아]
[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