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띄어쓰기 원리
혼동하기 쉬운 띄어쓰기

2.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틀리기 쉬운 한글맞춤법
혼동하기 쉬운 어휘

3.외래어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

본문내용

니, 윗입술, 윗눈썹, 윗목
2) ‘위’ : 거센소리나 된소리 단어 앞
예) 위쪽, 위층, 위채
3) 웃 : 위 아래 대립이 없는 경우
예) 웃어른, 웃돈, 웃옷(겉에 입는 옷)
23. 접두사 ‘수/숫’ : 수개미, 수캉아지, 숫쥐
1) 수 :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
예) 수개미, 수곰, 수고양이, 수고래, 수벌, 수꿩, 수나사, 수놈, 수소, 수은행나무
2) ‘수-/암-’ 다음에서 거센소리를 인정하는 경우
예) 수(암)캉아지, 수(암)퇘지, 수(암)컷, 수(암)탉, 수(암)탕나귀, 수(암)평아리
3) 숫 : ‘숫-’은 ‘숫양, 숫염소, 숫쥐’에만 결합됨
예) 숫양, 숫염소, 숫쥐
24. ‘미장이’, ‘점쟁이’
1) ‘-장이’ : 전통적인 수공업에 종사하는 기술자를 의미할 때
예) 미장이, 유기장이, 땜장이
2) ‘-쟁이’ : 요술쟁이, 욕심쟁이, 중매쟁이, 점쟁이
25. 복수표준어
1) 깨뜨리다/깨트리다, 넘어뜨리다/넘어트리다, 무너뜨리다/무너트리다
2) 소고기/쇠고기, 소기름/쇠기름, 예/네, 가엽다/가엾다, 서럽다/섧다
혼동하기 쉬운 어휘
1. ‘맞추다’와 ‘맞히다’
1) 맞추다 : 계산을 맞추어 보다 / 발을 맞추어 걷다 / 음식의 간을 맞추다
2) 맞히다 : “옳은 답을 대다”의 의미
예) 우승팀을 맞히다 / 정답을 맞히다 / 도둑을 맞히다 /답을 알아 맞혀 보세요
2. ‘벌이다/벌리다’, ‘늘이다/늘리다’
1) 벌이다 : 싸움을 벌이다 / 사업을 벌이다, / 화투짝을 벌여 놓다
벌리다 : 입을 벌리다 / 자루를 벌리다
2) 늘이다 : 고무줄을 당겨 늘이다 / 머리를 길게 땋아 늘이다(늘어뜨리다)
늘리다 : 인원을 늘리다 / 재산을 늘리다 / 실력을 늘리다
3. ‘빌다’와 ‘빌리다’
1) 빌다 : 축하하다(祝), 빌어 먹다, 구하다(乞)의 의미
예) 밥을 빌어먹다 / 잘못했다고 빌다 / 당신의 행복을 빕니다
2) 빌리다 : 차용하다(借, 貸)의 의미.
예) 차용증을 받고 돈을 빌려 주다 / 술의 힘을 빌려 사랑을 고백하다
이 자리를 빌려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4. ‘개발’과 ‘계발’
1) 개발(開發) : 개척하여 발전시킴.
예) 개발사업본부 / 리조트 개발 / 경제 개발 / 신약을 개발하다
2) 계발(啓發) : 지능이나 정신 따위를 깨우쳐 열어 줌
예) 지능 계발 / 인성 계발 / 자녀의 소질을 계발하다
5. ‘결제’와 ‘결재’
1) 결제(決濟) : 증권 또는 대금을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간의 거래 관계를 끝맺음.
예) 이 물건은 어음으로 결제했어.
2) 결재(決裁) : 부하 직원이 제출한 안건을 허가하거나 승인함.
예) 결재를 받다 / 결재 서류를 올리다
6. ‘받치다, 받히다, 바치다
1) 받치다 : ‘-치-’는 강세접사
예) 우산을 받치다 / 쟁반을 받쳐 들다
2) 받히다 : -히-는 피동접사
예) 기둥에 머리를 받히다 / 소에게 받히다
3) 바치다 : 예물을 바치다 /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다
7.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1) 부딪다 : 뱃전에 부딪는 잔물결 소리 / 마침내 두 사람의 눈길이 부딪게 되자
2) 부딪치다 : 취객이 영수에게 몸을 부딪치며 시비를 걸어 왔다.
3) 부딪히다 : 철수는 골목에서 나오는 자전거에 부딪혀 팔이 부러졌다 /
냉혹한 현실에 부딪히다 /그들의 결혼은 부모의 반대에 부딪혀 성사되지 못했다
8. ‘부치다’와 ‘붙이다’
1) 부치다 : 힘이 부치다/ 편지를 부치다/ 안건을 회의에 부치다 /논밭을 부치다 /
빈대떡을 부치다
2) 붙이다 : 흥정을 붙이다 / 꽃꽂이에 취미를 붙이다 / 별명을 붙이다
9. ‘썩이다’와 ‘썩히다’
1) 썩이다 : ‘속을 썩이다’만 썩이다
예) 너는 왜 이렇게 속을 썩이니?
2) 썩히다 : ‘속을 썩이다’ 외에는 모두 썩히다.
예) 음식을 썩히다 / 재주를 썩히다
10. ‘띠다’, ‘띄다’, ‘떼다’
1) 미소를 띠다 / 파란색을 띠다 / 그는 역사적인 사명을 띠고 태어 났다.
2) 눈에 띄는 행동을 하지 마라 / 알맞게 띄어 써야 글이 읽기가 쉽다
3) 젖을 떼다 / 영수증을 떼다 / 천자문을 떼다
3.외래어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
1.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2. 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f] 발음은 ‘ㅍ’으로 적는다.
예) 파이팅(0)/화이팅(×), 파일(0)/화일(×), 판타지 소설(0)
3. 외래어의 받침은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적는다.
예) 커피숍(0)/커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5.03
  • 저작시기200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