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15세기 한글문헌의 받침 ㄷ과 ㅅ
1. 15세기 ㄷ과 ㅅ의 표기방법과 그 예
2. 'ㄷ'과'ㅅ' 표기 방법의 비경제성 도출과 그 예
3. 후음을 종성에서 배제한 원인
4. 'ㄷ,ㅅ'을 중화현상으로 볼 수 없는 이유
5. 받침 ㅿ의 고찰
Ⅲ. <諺文字母>에 대한 새로운 評價
1. 언문자모의 독창성 고찰
2. 언문자모의 현대 한글맞춤법 기여도
Ⅳ. 결론
Ⅱ. 15세기 한글문헌의 받침 ㄷ과 ㅅ
1. 15세기 ㄷ과 ㅅ의 표기방법과 그 예
2. 'ㄷ'과'ㅅ' 표기 방법의 비경제성 도출과 그 예
3. 후음을 종성에서 배제한 원인
4. 'ㄷ,ㅅ'을 중화현상으로 볼 수 없는 이유
5. 받침 ㅿ의 고찰
Ⅲ. <諺文字母>에 대한 새로운 評價
1. 언문자모의 독창성 고찰
2. 언문자모의 현대 한글맞춤법 기여도
Ⅳ. 결론
본문내용
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
목차
Ⅰ. 서론
Ⅱ. 15세기 한글문헌의 받침 ㄷ과 ㅅ
1. 15세기 ㄷ과 ㅅ의 표기방법과 그 예
2. \'ㄷ\'과\'ㅅ\' 표기 방법의 비경제성 도출과 그 예
3. 후음을 종성에서 배제한 원인
4. \'ㄷ,ㅅ\'을 중화현상으로 볼 수 없는 이유
5. 받침 ㅿ의 고찰
Ⅲ. <諺文字母>에 대한 새로운 評價
1. 언문자모의 독창성 고찰
2. 언문자모의 현대 한글맞춤법 기여도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Ⅰ. 서론
해례본의 본문 <例義>에서는 종성에 대하여 ‘終聲復用初聲’이라 하여 초성, 곧 자음글자를 다시 쓴다는 원칙을 세웠으나, <解例>의 종성해에서 全次全濁의 글자는 입성의 종성이 되고 不淸不濁의 글자는 평상거성의 종성이 되나 ㄱㆁㄷㄴㅂㅁㅅㄹ 8子면 가히 족히 쓸 수 있다(八字可足用)고 하여 실용을 위한 편법을 규정하였다. 용자례를 비롯한 해례본에 나타난 모든 종성의 용례는 이 편법에 따른 8자뿐이다. 그러므로 종성에 대한 규정은 해례본의 다른 규정과 마찬가지로 그 책만으로 본다면 완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잇따라 간행된 <東國正韻>에서는 ㅇㆆ( 의 )ㅱ이 종성으로 사용되고,<龍飛御天歌>와 <月印千江之曲>등에서는 고유어의 표기에 더 많은 종성이 받침으로 사용되어 8종성에 대한 종성해의 규정은 사실상 사문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곧이어 간행된 다른 한글 문헌에서는 관형형의 과 유성적 환경에서의 을 예외로 하면 고유어의 표기에 관한 한 8종성이 지켜져 있다. 관형형의 ㅀ의 ㆆ은 15세기 50년대에 폐기되어 종성으로 사용된 예가 없고 은 ㅅ의 이음이라 하여 국어의 문자화가 초기의 실험 기간을 거쳐 결국은 해례본의 8종성으로 되돌아가서 종성의 표기가 정착된 것이다.
8종성은 현대국어의 종성에 나타나는 음소 7개와 차이가 있다. 곧 ㄷ으로 중화되는 ㅅ이 더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해례본이 간행된 15세기 중엽의 국어는 음절 말 위치에서 ㅅ이 ㄷ과 음운론적으로 변별되었느냐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해례본이 발견된 이후로 우리는 표기상의 차이로만 인식하여 왔다. 다시 말하면 ‘얻-’등 ㄷ말음, ‘벗-’등 ㅅ말음은 자음어미 앞에서도 교체되지 않으나, ‘
목차
Ⅰ. 서론
Ⅱ. 15세기 한글문헌의 받침 ㄷ과 ㅅ
1. 15세기 ㄷ과 ㅅ의 표기방법과 그 예
2. \'ㄷ\'과\'ㅅ\' 표기 방법의 비경제성 도출과 그 예
3. 후음을 종성에서 배제한 원인
4. \'ㄷ,ㅅ\'을 중화현상으로 볼 수 없는 이유
5. 받침 ㅿ의 고찰
Ⅲ. <諺文字母>에 대한 새로운 評價
1. 언문자모의 독창성 고찰
2. 언문자모의 현대 한글맞춤법 기여도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Ⅰ. 서론
해례본의 본문 <例義>에서는 종성에 대하여 ‘終聲復用初聲’이라 하여 초성, 곧 자음글자를 다시 쓴다는 원칙을 세웠으나, <解例>의 종성해에서 全次全濁의 글자는 입성의 종성이 되고 不淸不濁의 글자는 평상거성의 종성이 되나 ㄱㆁㄷㄴㅂㅁㅅㄹ 8子면 가히 족히 쓸 수 있다(八字可足用)고 하여 실용을 위한 편법을 규정하였다. 용자례를 비롯한 해례본에 나타난 모든 종성의 용례는 이 편법에 따른 8자뿐이다. 그러므로 종성에 대한 규정은 해례본의 다른 규정과 마찬가지로 그 책만으로 본다면 완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잇따라 간행된 <東國正韻>에서는 ㅇㆆ( 의 )ㅱ이 종성으로 사용되고,<龍飛御天歌>와 <月印千江之曲>등에서는 고유어의 표기에 더 많은 종성이 받침으로 사용되어 8종성에 대한 종성해의 규정은 사실상 사문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곧이어 간행된 다른 한글 문헌에서는 관형형의 과 유성적 환경에서의 을 예외로 하면 고유어의 표기에 관한 한 8종성이 지켜져 있다. 관형형의 ㅀ의 ㆆ은 15세기 50년대에 폐기되어 종성으로 사용된 예가 없고 은 ㅅ의 이음이라 하여 국어의 문자화가 초기의 실험 기간을 거쳐 결국은 해례본의 8종성으로 되돌아가서 종성의 표기가 정착된 것이다.
8종성은 현대국어의 종성에 나타나는 음소 7개와 차이가 있다. 곧 ㄷ으로 중화되는 ㅅ이 더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해례본이 간행된 15세기 중엽의 국어는 음절 말 위치에서 ㅅ이 ㄷ과 음운론적으로 변별되었느냐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해례본이 발견된 이후로 우리는 표기상의 차이로만 인식하여 왔다. 다시 말하면 ‘얻-’등 ㄷ말음, ‘벗-’등 ㅅ말음은 자음어미 앞에서도 교체되지 않으나, ‘
추천자료
[법학개론리포트] 법학개론 *권리와 의무*
구운몽과 어부사시사의 창작배경과 문학성
[사회복지] (장애인 복지론) 재활의 과정 및 분야
훈민정음 기원설 조사
PBL 임상종합평가
[사회] 마르크스의 생애와 사상
오체불만족 감상문[오체불만족 요약][오체불만족 서평]
1)즐거운 생활-신나는 놀이-여러 가지 훌라후프 놀이 하기(중안)
외팔보의 진동모드 및 공진실험
구운몽 독후감 [독후감/서평/요약]
초등2) <수학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65~67 (6/10)> 4. 덧셈과 뺄셈 (2) - 받아내림이 두 ...
[의학] 근골격계 질환의 이해.ppt
[유아교육과] 부모교육4A) 영아기 발달 특성과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역할에 관하여 논하시오
저채중아 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