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itle. Ventilator
Title. Tracheostomy
Title. Arterial Blood Pressure (A-line)
Title. Suction
Title. Echo, PFT
Title. GCS
Title. 의학용어
Title. Tracheostomy
Title. Arterial Blood Pressure (A-line)
Title. Suction
Title. Echo, PFT
Title. GCS
Title. 의학용어
본문내용
간을 정하여 준다.
5. 검사준비
- 환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검사의뢰서에 체중과 신장을 기록한다.
환자를 의무기록과 함께 검사실로 보낸다
▷뇌파검사
1. 목 적
- 대뇌반구의 전기활동을 그대프로 나타내어 분석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전기활동을 반영하여 병변의 위치와 상태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2. 적응증
- 발작장애, 중독- 대사성 뇌질환, 원인이 불분명한 혼수, 뇌사 판정시, 뇌염, 무도병
3. 접수 및 예약
- 뇌파검사 Slip에 EEG를 표시한 후 뇌파검사실에 접수하면 전화로 예약, 날짜와 시간을 정하여 준다.
4. 검사준비
환자에게 검사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정온제, 자극제, 항경련제와 같은 약물을 검사 24~48시간 동안 끊는다.
검사전 금식하지 않는다.
검사전에 커피와 차를 금하도록 한다.
머리와 두피는 청결하게 하고 기름과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머리핀을 제거한다.
수면 내파 검사시 밤동안 깨어있도록 한다.
환자를 의무기록과 함께 뇌파실로 보낸다.
Title. Suction
Date. 05. 8. 4
Part. MICU
▷ Suction
1. 적용대상
- 기관 내 튜브나 기관절개관을 한 환자
2. 준비물
- 흡인기, 개구기, 설압자, 소독수, suction tip, 거즈 또는 화장지
3. 방 법
① 준비물품을 확인한 뒤 환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② 흡인기의 전원을 연결하고 스위치를 켜 흡인관을 손으로 막아봐서 정상기능을 점검 하고 적당한 압력 80-120mmHg 정도로 regulator를 돌려 조절한 후 흡인관에 suction tip을 연결한다.
③ suction tip을 소독수에 한 번 넣었다 빼어 suction을 시작하는데 suction tip을 cavity 에 넣었을 때는 우 선 tip을 damp한 뒤 5-10cm정도 넣고 clamp를 풀고 tip은 부드럽게 돌려 분비물을 제거한다.
④ Suction tip을 독수에 넣고 깨끗이 씻어낸 후 tip바깥 부분의 분비물을 닦고 suction tip을 적어도 8시간마 다 갈아준다.
⑤ 간호 기록지에 흡인전후의 환자상태와 분비액을 기록한다.
4. 주의사항
- 흡인을 하지 않을 때는 regulator 을 잠궈 놓도록 한다.
- 매 환자마다 환자와 collection bottle을 연결하는 tube는 잘 닦아 소독액을 통과시킨 후 완전히 말린 것을 사용한다.
- collection bottle은 1/2 이상 차기 전에 비운다.
5. 간 호
- 기관내 흡인은 정기적으로 하지 않으며, 흉부음을 청진하여 기관내 흡인을 사정한 후 필요시에 시행한다.
- suction이 필요할 경우는 흡인기를 켜고 적정 음압을 설정한다. 과도한 음압의 설정은 기관 내벽의 점막 손 상 및 저산소증을 일으킬 수 있다. 적정 음압은 성인의 경우 120-150mmHg이며, 75세 이상은 80-120mmHg 이다.
- suction 카테터는 삽관된 튜브 내경의 반을 넘지 않아야한다. 카테터가 너무 크면 무기폐나 hypoxemia를 유 발할 수 있으며, 카테터가 너무 작으면 기도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의 카테터를 선택하 고 소독 상태를 유지하면서 개봉한다. 성인은 12-16Fr이며, 75세 이상은 10-14Fr rubber 카테터를 권장한다.
- suction 전 고농도의 산소를 ambu bag에 연결하여 3회 정도 과호흡시켜 저산소증을 예방한다.
- 흡인기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흡기시에 인공 기도로 흡인 카테터를 빠르게 밀어넣고, 저항이 느껴지면 2-3cm 정도 카테터를 빼낸 후 다시 시도한다.
- 반대쪽 손으로 airvent를 막으면서 적절한 음압을 적용하여 카테터를 돌리면서 빼낸다. 돌리지 않으면 기도점 막을 손상시킬 수 있다. 카테터는 심각한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기도 내에 15초 이상 머무르지 않도록 한다.
- suction 이전의 혈중 산소포화도 회복은 suction 후 1-5분이 소요되므로 전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흡인 후 다시 ambu bah을 이용하여 산소 공급을 한다.
- suction중에는 호흡음을 청진하여 효과를 확인한다.
- 잦은 suction(1일 12회 이상)이 필요한 경우, 즉, 고농도 산소요법에도 불구하고, 개방식 흡인시에 저산소 상태에 빠지는 경우, 높은 호기말 양압법(PEEP)이 필요한 경우, 세균 감염이 의심되거나 호흡기계 격리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등에는 폐쇄식 흡인법을 사용한다.
- 기관내 suction은 무
5. 검사준비
- 환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검사의뢰서에 체중과 신장을 기록한다.
환자를 의무기록과 함께 검사실로 보낸다
▷뇌파검사
1. 목 적
- 대뇌반구의 전기활동을 그대프로 나타내어 분석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전기활동을 반영하여 병변의 위치와 상태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2. 적응증
- 발작장애, 중독- 대사성 뇌질환, 원인이 불분명한 혼수, 뇌사 판정시, 뇌염, 무도병
3. 접수 및 예약
- 뇌파검사 Slip에 EEG를 표시한 후 뇌파검사실에 접수하면 전화로 예약, 날짜와 시간을 정하여 준다.
4. 검사준비
환자에게 검사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정온제, 자극제, 항경련제와 같은 약물을 검사 24~48시간 동안 끊는다.
검사전 금식하지 않는다.
검사전에 커피와 차를 금하도록 한다.
머리와 두피는 청결하게 하고 기름과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머리핀을 제거한다.
수면 내파 검사시 밤동안 깨어있도록 한다.
환자를 의무기록과 함께 뇌파실로 보낸다.
Title. Suction
Date. 05. 8. 4
Part. MICU
▷ Suction
1. 적용대상
- 기관 내 튜브나 기관절개관을 한 환자
2. 준비물
- 흡인기, 개구기, 설압자, 소독수, suction tip, 거즈 또는 화장지
3. 방 법
① 준비물품을 확인한 뒤 환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② 흡인기의 전원을 연결하고 스위치를 켜 흡인관을 손으로 막아봐서 정상기능을 점검 하고 적당한 압력 80-120mmHg 정도로 regulator를 돌려 조절한 후 흡인관에 suction tip을 연결한다.
③ suction tip을 소독수에 한 번 넣었다 빼어 suction을 시작하는데 suction tip을 cavity 에 넣었을 때는 우 선 tip을 damp한 뒤 5-10cm정도 넣고 clamp를 풀고 tip은 부드럽게 돌려 분비물을 제거한다.
④ Suction tip을 독수에 넣고 깨끗이 씻어낸 후 tip바깥 부분의 분비물을 닦고 suction tip을 적어도 8시간마 다 갈아준다.
⑤ 간호 기록지에 흡인전후의 환자상태와 분비액을 기록한다.
4. 주의사항
- 흡인을 하지 않을 때는 regulator 을 잠궈 놓도록 한다.
- 매 환자마다 환자와 collection bottle을 연결하는 tube는 잘 닦아 소독액을 통과시킨 후 완전히 말린 것을 사용한다.
- collection bottle은 1/2 이상 차기 전에 비운다.
5. 간 호
- 기관내 흡인은 정기적으로 하지 않으며, 흉부음을 청진하여 기관내 흡인을 사정한 후 필요시에 시행한다.
- suction이 필요할 경우는 흡인기를 켜고 적정 음압을 설정한다. 과도한 음압의 설정은 기관 내벽의 점막 손 상 및 저산소증을 일으킬 수 있다. 적정 음압은 성인의 경우 120-150mmHg이며, 75세 이상은 80-120mmHg 이다.
- suction 카테터는 삽관된 튜브 내경의 반을 넘지 않아야한다. 카테터가 너무 크면 무기폐나 hypoxemia를 유 발할 수 있으며, 카테터가 너무 작으면 기도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의 카테터를 선택하 고 소독 상태를 유지하면서 개봉한다. 성인은 12-16Fr이며, 75세 이상은 10-14Fr rubber 카테터를 권장한다.
- suction 전 고농도의 산소를 ambu bag에 연결하여 3회 정도 과호흡시켜 저산소증을 예방한다.
- 흡인기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흡기시에 인공 기도로 흡인 카테터를 빠르게 밀어넣고, 저항이 느껴지면 2-3cm 정도 카테터를 빼낸 후 다시 시도한다.
- 반대쪽 손으로 airvent를 막으면서 적절한 음압을 적용하여 카테터를 돌리면서 빼낸다. 돌리지 않으면 기도점 막을 손상시킬 수 있다. 카테터는 심각한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기도 내에 15초 이상 머무르지 않도록 한다.
- suction 이전의 혈중 산소포화도 회복은 suction 후 1-5분이 소요되므로 전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흡인 후 다시 ambu bah을 이용하여 산소 공급을 한다.
- suction중에는 호흡음을 청진하여 효과를 확인한다.
- 잦은 suction(1일 12회 이상)이 필요한 경우, 즉, 고농도 산소요법에도 불구하고, 개방식 흡인시에 저산소 상태에 빠지는 경우, 높은 호기말 양압법(PEEP)이 필요한 경우, 세균 감염이 의심되거나 호흡기계 격리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등에는 폐쇄식 흡인법을 사용한다.
- 기관내 suction은 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