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중환자실 데일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 중환자실 데일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중환자실의 설비 및 기구 >

< Emergency kit 에 포함되는 기구, 약물 >

< 심폐소생술과 간호 >

< 인공호흡기(Ventilator) >

< shock 환자간호 >

< 동맥혈 가스분석 >

< 중심정맥압 측정(CVP) >

본문내용

L씩 감소한다.
3)정상치 및 임상적 의의
동맥혈가스 정상치
정의/해석
치료 및 간호중재
PaO2
(80~100mmHg)
동맥혈 산소분압은 조직의 산화상태를 반영하지 않는다. 보통 방안 공기(21%)로 숨을 쉴 때 80mmHg이하이면 저산소혈증이다. 60세 이상의 노인은 매년 1년마다 1mmHg감소된다.
저산소혈증은 산소로 치료한다. 이 때 너무 많이 산소를 주지 않아도 정상치를 유지하게끔 조절한다. 동맥혈가스는 산소상태를 알아보는 유일한 방방법이다. 생명을 위협하는 저산소혈증에는 산소를 중단하지 않는다. 흡입산소 농도를 증가시키면 PaCO2가 예상보다 적제 증가하면 O2의 농도에 5를 곱하여 확인한다.
PaCO2
(35~45mmHg)
일차적으로 환기 효율을 반영하며 환기양식에 영향을 받는다. PaCO2의 증가는 과소환기(과탄산증)의 결과이다. 정상보다 낮은 PaCO2는 과대환기의 결과이고 저탄산증을 의미한다.
PaCO2가 점점 올라가고 대상자가 피로해하면 인공기도를 설치하여 호흡을 도와준다 PaCO2가 정상보다 낮다면 과한기의 원인을 해소시켜준다.
pH
(7.35~7.45)
혈액의수소이온 농도는 7.45이상이면 알카로시스이고 7.35이하이면 acidosis이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몇 시간에서 몇 일간의 기간에 변화한다. 정상pH와 동반되는 PaCO2변화는 기본원인이 보상되었으며 급성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호흡성 산독증은 PaCO2가 증가하고 pH가 감소한다. 호흡성 알카로시스는 PaCO2가 감소하고pH가 증가한다.
pH, HCO3- 그리고 염기의 과잉 부족을 중재한다. 대사성 비정상이 발생되면 급히 교정해주어야 한다. 대사성산독증은 중탄산 나트륨(NaHCO3-)을 투여해서 교정하고 대사성 알카로시스는 비정상전해질을 교정해주고 NH4Cl(ammonium choride)나 희석된 HCl을 투여해 치료한다. 호흡성 산독증은 호흡을 증진시켜 환자를 지지하고 전해질의 불균형을 조절하고 정맥내로 NaHCO3를 투여한다. 호흡성 알칼리증은 호흡수를 느리게 맞추고 CO2를 재흡입한다. 즉, 자기 산소를 다시 들여마시도록 한다.
HCO3
(22~26mmEq/L)
HCO3-는 혈액탄산의 양을 의미한다. 일차적으로 대사성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pH와 PCO2로부터 계산 할 수 있다. 낮은 HCO3-는 대사성 산독증을 의미하고 높은 HCO3-는 대사성 알카로시스를 의미한다.
(윗 설명과 동일해요)
Base excess/deficit
(+20 to~2mEq/L)
산염기 평형의 비 호흡성 부분을 반영하다. pH와 PaCO2 그리고 Hematocrit으로부터 계산해낸다. 대사성 알카로시스에서 Base excess는 양의 값을 갖고 대사성 산독증에서는 음의 값을 갖는다.
산염기 평형의 비 호흡성 부분을 반영하다. pH와 PaCO2 그리고 Hematocrit으로부터 계산해낸다. 대사성 알카로시스에서 Base excess는 양의 값을 갖고 대사성 산독증에서는 음의 값을 갖는다.
SPO2
(95~100%)
산소포화도는 혈색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를 보여준다. 만일 PaCO2가 50mmHg보다 밑으로 떨어지면 산소포화도는 급하게 떨어진다.
이것이 조직의 산화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조직에 산소를 해리하는 Hb의 능력은 온도, pH, PCO2혈액의 효소와 화학물질에 영향을 받는다. 산소포화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들 요소를 변화시켜야 한다. 산소의 투여는 혈색소의 산소포화도는 개선해주지만 조직의 산화를 개선해 주지는 않는다.
< 중심정맥압 측정(CVP) >
1)목적
-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 CVP) 측정은 우심방 압력과 우심실 압력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줍니다.
- 혈액량과 심장으로 귀환하는 정맥혈액량의 적절성을 평가하는데 이용됩니다.
- 쇼크의 상태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합니다.
- 울혈성 심부전의 초기진단을 합니다.
2)방법
(1) 준비물품
① CVP catheter (arrow catheter)
②Cut down set, Glove
③Tranducer, Holder, IV stand pole, Pressure bag
④Pressure monitoring kit
⑤N/S 1L pack, Heparin 1,000u, 국소마취제(2% Lidocaine)
(2) 삽입방법
① 삽입부위를 선정하여 피부준비(필요시 면도)를 하고 적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②카테터의 삽입 길이는 포장된 상태하에서 삽입부위와 흉골절흔 사이의 수평, 직선거리를 정하여 도자의 길이를 간접 추정.
③정맥내 삽입하여 상대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삽입.
④ X-ray를 찍어 카테터 끝이 우심방(RA)위의 상대정맥(SVC)에 위치하도록 확인.
(3) Monitoring 과정
Ocilloscope(Monitor에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한 측정방법
* 준비물품
- Transducer, Holder, IV stand pole, Pressure bag
- Pressure monitoring kit
- N/S(1,000cc) 1 pack, Heparin 1,000u, 1% Lidocain 3cc
- Arm board, Plaster
- Vinca needle - 성인 : 22G, 20G, 18G, 소아 : 24G, 22G
- Dressing set(필요하면 Glove) : Arterial monitoring 준비물과 같다.
* 측정방법
- Tranducer의 line과 CVP catheter를 3-way를 통하여 연결한다.
- Calibration을 시도한다.(방법은 arterial monitoring 시와 같다.)
- CVP cath.를 통하여 주입되고 있는 수액의 3-way를 막는다.
- CVP cath.와 tranducer의 방향이 연결되게 한 후 monitor에 나오는 wavetorm을 보고 수치를 읽는다.
단, 여기서 수치단위는 \"mmHg\"임을 유의한다. (1mmHg = 1.36cmH20)
A. 압력계와 정맥관을 연결한다.
B. 압력계의 용액을 채우기 위해 3-way stopcock를 돌린다.
C. 정맥관 쪽의 stopcock를 잠그고 압력계 안의 용액이 대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2.21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0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