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日本 古代 建築에 影響을 미치는 神道와 佛敎 建築
序 論
本 論
Ⅰ. 日本 建築의 發達
Ⅱ. 神道 建築
ⅰ) 神寺의 發生
1) 神寺 建築의 發生 背景
2) 神寺 乾縮의 特徵
3) 初期 神寺 建築의 形態
ⅱ) 神社의 發展
1) 多樣한 神寺 建築의 形態
2) 神寺 建築의 佛敎 建築化
Ⅲ. 佛敎 建築
ⅰ) 佛敎建築의 傳來
1) 佛敎의 傳來
ⅱ) 佛敎建築의 發達
1) 大陸 文化의 流入
2) 寺院의 形態의 變化
3) 日本 佛敎 建築의 黃金期
Ⅳ. 城과 都市 庶民의 住宅
ⅰ) 日本人의 建築觀
ⅱ) 日本 建築의 材料와 構造
ⅱ) 城郭 建築
Ⅴ. 디자인 컨셉
Ⅵ. 現代 建築
結 論
序 論
本 論
Ⅰ. 日本 建築의 發達
Ⅱ. 神道 建築
ⅰ) 神寺의 發生
1) 神寺 建築의 發生 背景
2) 神寺 乾縮의 特徵
3) 初期 神寺 建築의 形態
ⅱ) 神社의 發展
1) 多樣한 神寺 建築의 形態
2) 神寺 建築의 佛敎 建築化
Ⅲ. 佛敎 建築
ⅰ) 佛敎建築의 傳來
1) 佛敎의 傳來
ⅱ) 佛敎建築의 發達
1) 大陸 文化의 流入
2) 寺院의 形態의 變化
3) 日本 佛敎 建築의 黃金期
Ⅳ. 城과 都市 庶民의 住宅
ⅰ) 日本人의 建築觀
ⅱ) 日本 建築의 材料와 構造
ⅱ) 城郭 建築
Ⅴ. 디자인 컨셉
Ⅵ. 現代 建築
結 論
본문내용
었다고 본다. 木材를 주된 材料로 하기 때문에 平面은 直線的인 模樣이 되고 특히 만들기 쉬운 長方形이 보통이다. 6각, 8각의 平面은 드물게 있으며, 圓形 平面은 多寶塔의 上層에서나 볼 수 있을 뿐이다. 凹凸이 있는 平面은 傾斜있는 지붕이 걸어야 되기 때문에 지붕에 골이 생기게 되므로 만들지 않았고, 큰 面積을 요할 때에는 長方形 平面의 建築을 몇 개 세우고 이것을 복도로 잇고 있다. 木構造이기 때문에 그 方式은 기둥과 보로 構成되는 이른바 미식構造로, 佛敎 導入 이전의 建築은 기둥을 흙 속에 박아 세우고 그 위에 도리와 보를 걸고, 보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를 받치고 종보와 도리위에 서까래를 걸치고 위에 짚으로 지붕을 덮는다. 原始的은 벽은 풀과 갈대 같은 것을 사용하고 더욱 발전한 것은 板璧을 사용한다. 바닥은 마루바닥으로 하고 바깥쪽으로 툇마루를 設置한다. 構造 그 自體를 볼 수 있기 때문에 建築은 裝飾으로 꾸민 아름다움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構造가 갖는 力學的인 아름다움을 表現한다. 構造材 그 自體의 模襲도 可能한 한 洗練味를 가해 하나하나를 아름다운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지붕의 아름다움은 中國 建築의 特徵이다. 똑같은 木造라도 西洋 建築에서는 이같이 크고 처마 깊이가 깊은 지붕을 사용한 것이 없고, 지붕의 아름다움을 주로 한 建築은 없다. 그렇지만 같은 系統에 속한다고 하는 中國 建築의 지붕과 日本 建築의 지붕의 模襲은 상당히 다르다. 가장 눈에 띄기 쉬운 차이는 처마의 휘어짐에 있다. 中國 建築은 처마가 추녀로 감에 따라서 크게 휘어져 올라간다. 日本 建築은 표현이 直線的이므로 강한 曲律이 있는 曲線을 좋아하지 않아 휘어짐이 적다. 또, 하나의 差異는 처마 내밀기에 있다. 日本 建築의 처마내밀기는 中國 建築에 비해 상당히 깊다. 이 두가지가 日本 建築에 적절한 表現을 보여준다.
ⅱ) 城郭 建築
많은 城郭을 없애게 되었고, 第2次 世界大戰에서도 많이 消失되었다. 이들 城郭이 가지는 建築 表現은 白色을 바탕으로 崇高한 趣向을 가진 領主의 威勢 表現임에도 불구하고, 誇張的 部分을 많이 內包하지 않는 것은 그들의 財力 縮尺이 다른 外國과 비교할 때 훨씬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지만, 그것이 日本 建築의 特性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기둥을 내밀지 않고 흰벽을 바르기 때문에 社寺와 달리 큰벽을 갖게 되는데도 上層으로의 體感度가 커지고, 더구나 각 層에 지붕박공을 設置해서 크고 작게 나눠지며, 威壓的인 重量感보다도 작게 整頓된 安定感과 變化의 妙味를 시도했던 점에서 그 特性을 볼 수 있다.
Ⅴ. 디자인 컨셉
過去에 日本 家屋의 內部는 個人 空間을 分割하는 칸막이조차 없는 開放的 構造였다. 漸次的으로 먹고, 잠자고, 옷을 입는 등 特別한 空間과 그 機能性에 대한 槪念이 登場하게되자‘뵤부’(屛風)라고 하는 가리개가 사용되었는데, 그 후 아직도 傳統家屋에서 볼 수 있는 종이로 만들어진 미닫이문‘쇼지’(障子) 또는‘푸스마’이 등장하였다. 이 문은 소리를 차단하지는 못하지만 얼마간의 私的인 空間을 제공해 주었고 더 넓은 空間이 필요할
ⅱ) 城郭 建築
많은 城郭을 없애게 되었고, 第2次 世界大戰에서도 많이 消失되었다. 이들 城郭이 가지는 建築 表現은 白色을 바탕으로 崇高한 趣向을 가진 領主의 威勢 表現임에도 불구하고, 誇張的 部分을 많이 內包하지 않는 것은 그들의 財力 縮尺이 다른 外國과 비교할 때 훨씬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지만, 그것이 日本 建築의 特性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기둥을 내밀지 않고 흰벽을 바르기 때문에 社寺와 달리 큰벽을 갖게 되는데도 上層으로의 體感度가 커지고, 더구나 각 層에 지붕박공을 設置해서 크고 작게 나눠지며, 威壓的인 重量感보다도 작게 整頓된 安定感과 變化의 妙味를 시도했던 점에서 그 特性을 볼 수 있다.
Ⅴ. 디자인 컨셉
過去에 日本 家屋의 內部는 個人 空間을 分割하는 칸막이조차 없는 開放的 構造였다. 漸次的으로 먹고, 잠자고, 옷을 입는 등 特別한 空間과 그 機能性에 대한 槪念이 登場하게되자‘뵤부’(屛風)라고 하는 가리개가 사용되었는데, 그 후 아직도 傳統家屋에서 볼 수 있는 종이로 만들어진 미닫이문‘쇼지’(障子) 또는‘푸스마’이 등장하였다. 이 문은 소리를 차단하지는 못하지만 얼마간의 私的인 空間을 제공해 주었고 더 넓은 空間이 필요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