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산모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위험 산모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유도분만 산부간호(Induction of labor).........................................................1
1)prostaglandin E2
2)IVP(Intravenous pitocine)
3)인공파막(amniotomy)

조기분만 임부간호(Permature labor)...........................................................3
조기파막 임부간호(Pretu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 PROM).............4

임신중절술 임부간호(termination of pregnancy/artificial abortion)......5

산후출혈 산모간호(Postpartum hemorrhage : PPH)...................6

임신성 고혈압 임부간호(PIH :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 Prerclampsia 및 clampsia)..............................7

전치태반 임부간호(Placenta previa) ........................................11

태반 조기박리 임부간호(Abruptio placenta)..............................12

본문내용

으로 양막을 파막한다.
간호
간호진단
양막파막이 진행되는 동안 간호사는 산부와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여야 하며, 비정상적인 변화에 대해 담당의사에게 보고한다. 제대압박이나, 제대탈출 여부를 사정한다.
양수파막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자궁수축의 강도 증가와 관련된 통증
생소한 시술절차와 관련된 공포와 불안
간호계획과 중재
간호사는 산부에게 시술 절차를 설명한다.
양막파열이 내진하는 것보다 불편하지 않음을 설명하여 산부를 안심시킨다.
시술 후 양수가 세어나와 축축하고 따뜻한 느낌을 경험할 것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자궁수축 강도가 증가하게 됨을 설명한다.
시술전에 산부를 똑바로 눕힌다.
무릎을 굽혀 양쪽으로 벌려 이완시킨다.
외음부를 소독한다.
태아 선진부를 확인 후 날카로운 도구나 amniohook으로 파막한다.
시술 중, 후에 태아심박동을 관찰하며, 제대압박이나 제대탈출 여부를 사정한다.
파막후 간호사는 흘러나오는 양수의 색, 특성, 양을 관찰하여 파막시간과 함께 정확히 기록한다.
감염의 징후를 알기 위하여 체온을 2~4시간마다 측정한다.
산부의 안위를 위해 양수에 젖지 않도록 깨끗한 침대커버를 제공한다.
조기분만 임부간호(Permature labor)
조기분만은 임신 20주~37주 사이에 분만하는 것을 말한다.
조산의 유발요인
요소
내용
인구학적 요소
미혼모
두 자녀가 있을때 낮은 경제수준
임부 혼자일 때
모성 연령 : 20세 이하 40세 이상 키 : 150cm이하 45kg이하
산과적 과거력
심한 위험 요소들
-과거 조기분만 경험
-자궁기형
-임신 중기 유산 경험 1회
경한 위험 요소들
-임신중기 유산경헙 1회
-임신 12주에 질 출혈
-DES 노출(diethylstillbestrol)
-경관 원추절제 생검 경험
-출산 간격이 1년미만일 때
-임신초기 유산경험 2회이상
현재 임신과 관련된 산과적 요소
산전관리의 태만
32주 아두 진입
임신합병증 : 다태임신, 양수과다, 발열성 질활
임신중 복부수술
32주 경관의 길이 1cm이하
임신중 저체중 : 32주에 5kg이하
32주에 경관1cm 이상 개대
자궁의 불안전성
내과적 과거력
심장병, 빈혈, 비뇨기 감염
임신에 대한 부정적 태도
심리적 요소, 스트레스
정신적 요소
관습, 환경적 요인
흡연, 음주 또는 약물남용
가사외에 노동, 중노동, 스트레스성 직업
심한 피로
독성 물질에 노출경험
장기간 힘든 여행
임신시 간호
-예방 : 조기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험요인들을 빨리 알아내어 효과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 일찍 치료를 하면 할수록 조산을 예방 할 수가 있다.
-분만 억제제 투여 : 분만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물을 분만 억제제라고 하며 지금까지 ethanol, vasodilan, Magnesium sulfate 등이 사용되며, ritodrine hydrochloride가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태아 폐성숙을 위한 약물투여 : 호흡부전증이나 초자양막질환 등은 조산아에게 흔히 일어날 수 있는 문제로, 태아 폐성숙을 축진시키기 위해 산부에게 스테로이드 제제를 투여함으로써 개선 할 수 있다.
-입원중 간호
치료중에는 왼쪽으로 누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태아 감시기를 이용하여 계속 자궁 수축 상태와 태아 심박동을 사정한다.
활력징후를 10~15분 간격으로 측정한다,
적절한 수분 공급을 해준다.
3~6시간마다 혈당, 칼륨, 나트륨 및 혈색소치를 사정한다.
조산으로 인한 저체중, 성장발달저하와 같은 아기의 건강상태에 대해 매우 불안해 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아기의 상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준다.
조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임부들은 장기 입원을 한다. 이때 간호사는 안위도모를 위한 간호와 권태로움에 대처할 수 있는 간호 등을 제공한다.
분만시 간호
분만이 확실하면 보육기 간호가 가능한 병원으로 보내는 것이 안전하다.
조산 증세가 있으면 절대 안정을 시켜 파수되지 않도록 한다.
파수되면 내진하여 제대탈출 유무를 확인한다.
미숙아 태아에게 호흡곤란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진통제 사용은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분만 2기 단축과 아두보호를 위하여 회음절개가 필수적이다.
미숙아일 경우, 특히 재대혈액이 신생아에게 많이 보내지는 것은 황달의 요인이 되기 쉬우므로 일찍 혈관겸자로 잡아준다.
즉시 따뜻한 자리에 눕히고 신생아 출혈을 예방하도록 vit. K 1mg을 근육주사 한다.
조기파막 임부간호(Pretu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 PROM)
원인
확실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경관무력증, 선진부의 늦은 진입, 자궁내 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연령, 다산부, 흡연, 조산, 임신중 저체중 증가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 임신 말기에 파수가 될 경우에는 파수된 후 24시간 이내에 80~90%가 분만을 시작하게 되고, 임신 말기 이전에는 조기 파수된 며칠 혹은 몇 주 이후에 분만이 시작된다.
간호중재
임신 말기(37주 이후)인 경우 아두가 고정되어 있고 다른 이상이 없을 때는 관장을 해 주고 24시간 기다려 보아 분만의 진전이 없으면 유도분만을 시키도록 한다.
양수를 관찰하면서 자주 패드를 갈아주고, 체온과 맥박을 4시간마다 측정하고 태아심음, 혈압, 단백뇨 등알 매일 검사한다. 간호사는 내진을 피하고 산부를 침대에 눕혀 안정을 시키고, 항생제 투여를 시작할 수도 있으나 가능한 균배양 검사 후 저항력 검사의 소견에 따라서 결정한다. 염증의 증세가 있거나 양수 색까이 변한 상태라면 산부가 패혈증에 빠질 수 있으므로 옥시토신 투여로 무조건 유도분만을 시도한다. 조기파막이 되면 분만 후 균감염, 분만 중단, 자궁 파열, 병리적 수축륜형성 등으로 분만이 지연될 수도 있고 태아패혈증, 조산, 제대탈출의 위험이 있으므로 적절한 간호가 시행되어야 한다.
임신중절술 임부간호(termination of pregnancy/artificial abortion)
산후출혈 산모간호(Postpartum hemorrhage : PPH)
원인
가장 많은 원인은 태반 조작의 잔류이고, 태반 부착 부위 자궁의 복구 분전과 감염 등으로 생긴다. 태반 부착부위 자궁의 복구 부전과 감염 등으로 생긴다. 대반 부착 부위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6.04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