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한론부터 야스쿠니 신사참배까지의 일본에 대한 한국의 시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한론부터 야스쿠니 신사참배까지의 일본에 대한 한국의 시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한론을 시작으로한 ‘대동아시아공영론’

동아시아의 제국주의시대와 조선병합 -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계획

전쟁전후의 일본의 만행과 결과 - 위안부와 재일조선인,그리고 사할린땅에 버려진 한국인들

일본의 역사왜곡과 신사참배

본문내용

게되는데, 이러한 외교개혁 속에는 조선이 거절할 것을 전제로한 침한론을 주장한 것은 일본인 기도 다카요시의 사료에서조차 확인된 바 있다. 이후 청나라와 먼저 조약을 맺어두면 전쟁을 일으켜도 임진왜란 때 명군이 원조하듯 청나라가 조선을 원조할 수 없을 것이란 판단에 조선에는 조선의 요구대로 서계를 수정해 화평을 유지하자는 의견이 주도하게 되었다.
1871년 10월 8일 이와쿠라 도모미를 전권으로하는 구미사절단이 파견되었고, 정부는 근대화 작업을 하면서 사족들의 불평불만을 밖으로 돌리기 위해 스스로 침한의 구실을 만들겠다고 했다. 1873년 9월 이와쿠라 사절단이 귀국하면서 권력을 돌려받기 위해 이 계획에 반대해 정부가 분열되는데, 이것이 1873년 침한론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 침한론이란 조선측의 쇄국정책이나 외교적 무례 때문이 아닌 조선의 내우(內憂)를 외환(外患)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일본의 전략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동아시아의 제국주의시대와 조선병합 -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계획
청일전쟁에서 승리해 시모노세키조약을 맺은 일본은 1895년 6월 타이완과 펑후제도를 할양받게 되는데, 타이완은 독립을 선언하고 계속 저항을 시도하지만 결국 무릎을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6.15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