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2. Marketing Strategy Objective
3. Environment Analysis
3.1 시장환경 분석
3.2 경쟁자 분석
3.3 고객 분석
3.4 자사 분석
4. SWOT Analysis & S.C.A
4.1 SWOT Analysis
4.1.1 Strength
4.1.2 Weakness
4.1.3 Opportunity
4.1.4 Threat
4.2 S.C.A
5. STP Strategy
5.1 Segmentation
5.2 Targeting
5.3 Positioning
6. Marketing Mix
6.1 Product
6.1.1 Product Life Cycle
6.1.2 차별화 전략
6.2 Price
6.3 Promotion
6.4 Place
7. Summary
2. Marketing Strategy Objective
3. Environment Analysis
3.1 시장환경 분석
3.2 경쟁자 분석
3.3 고객 분석
3.4 자사 분석
4. SWOT Analysis & S.C.A
4.1 SWOT Analysis
4.1.1 Strength
4.1.2 Weakness
4.1.3 Opportunity
4.1.4 Threat
4.2 S.C.A
5. STP Strategy
5.1 Segmentation
5.2 Targeting
5.3 Positioning
6. Marketing Mix
6.1 Product
6.1.1 Product Life Cycle
6.1.2 차별화 전략
6.2 Price
6.3 Promotion
6.4 Place
7. Summary
본문내용
) 드럼 세탁기 시장 급성장
심각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드럼 세탁기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체 세탁기 시장에서 드럼 세탁기 판매량은 어느덧 67%에 달하고 있으며, 꾸준히 상승하여 머지 않아 드럼 세탁기가 일반 세탁기를 제치고 세탁기의 표준 모델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는 새로 혼수를 장만하는 신혼 부부의 혼수품이나, 세탁기 교체 시점에 놓인 일반 가정의 새로운 구입 시, 또한 오피스텔이나 원룸 등에 빌트인되는 경우에 일반 세탁기보다 드럼 세탁기를 선택하려는 성향이 확산되면서 꾸준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드럼세탁기 수요와 결코 따로 생각할 수 없는 드럼세탁기용 세제의 입장에서 볼 때 환영할 만한 환경이라 할 수 있다.
2) Well-being 붐으로 인해 가격보다 질을 따지는 소비 패턴 확산
2003년부터 하나의 키워드로 자리잡은 것이 바로 ‘웰빙’이다. 몇 년 전 ‘보보스족’의 탄생에서부터 발전해온 이 웰빙 바람은 이제 전국민의 생활 모토로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자신과 가족의 삶의 질을 무엇보다 최우선으로 삼는 생활, 소비 패턴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웰빙 바람은 가격보다 질을 우선하는 소비 양상을 보이면서 비교적 고가인 드럼세탁기나 드럼세탁기용 세제에 대한 수요 확산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3) 드럼 세탁기 판매 1위인 LG \'TROMM\'과의 연계 마케팅 가능
현재 국내 드럼 세탁기 판매 1위는 LG 의 TROMM 이다. 같은 LG 계열사 소속이라는 점 때문에 경쟁사들과는 달리 연계 마케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 번 쓰기 시작한 세제는 그리 쉽게 바꾸지 않는 소비자들의 사용 패턴을 생각할 때, 처음 TROMM을 구입시 Tech 드럼세탁기용 세제를 제공할 경우 이후 세제를 새로 사야 할 경우에 다른 세제보다는 Tech를 더 우선 선택하려는 심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4) 드럼 전용 섬유 유연제 ‘샤프란’ 출시로 씨너지 효과 창출 가능
LG 생활건강에서는 최근 드럼 전용 섬유 유연제 ‘샤프란’을 새롭게 출시했다. 이로 인해 세제와 섬유 유연제의 동반 마케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패키지 판매 등의 방식으로 동반 인지도 상승을 꾀할 수 있다.
< Threat >
1) 좁은 시장 ( 드럼 세탁기 사용자만이 구입)
드럼 세탁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아직까지는 일반 세탁기 사용자가 더 많다. 또한 드럼 세탁기 사용자 중 많은 사람들이 이미 사용하던 외국 세제를 사용하거나 국내용 일반 세제를 쓰고 있다. Tech 드럼 세탁기용 세제가 출시되자마자 전체 시장의 3%를 장악했으나, 아직도 많은 고객들은 외국 세제를 쓰거나 일반 세제를 쓰고 있다. 드럼 세탁기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만이 대상이다 보니 시장이 매우 좁다.
2) 국내 타 브랜드 드럼 전용 세제의 성장
국내에서는 LG 생활 건강에서 최초로 마이티라는 이름의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했다. 그 이후 Tech의 깨끗한 이미지와 부합하여 새로운 제품인 Tech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만들었다. 기존의 드럼 세탁기 사용자들이 외국 세제를 선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Tech 드럼 세탁기용 세제는 출시되자마자 시장의 3%장악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그 이후 다른 국내 경쟁사에서도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하고 있다. 외국 업체는 가격 경쟁력이 부족하고 특별한 메리트도 부족하기 때문에 미래의 시장은 크게 봐서 국내 업체끼리의 경쟁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특히 같은 생활용품 군에서 경쟁하는 CJ나 애경, 옥시 등의 업체와 경쟁이 예상되는데 그들 역시 드럼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했다. 애경산업의 \'퍼펙트 하나로 드럼세탁기용\' 세제, 롯데알미늄의 드럼세탁기 전용세제 \'샤키\', CJ \'비트 드럼\' 옥시의 ‘파워크린 z \'등이 있다.
3) 외국 세제 선호도가 높음
기존의 드럼 세탁기 사용자들은 모두 외국 세제를 사용해왔다. 국내 브랜드 중에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한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 LG생활건강에서 마이티라는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했으나 소비자들은 구하기 어려워서 기존에 사용하던 외국 세제를 썼다. 그 이후 LG 생활 건강에서 Tech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하면서 LG TROMM 세탁기와 함께 연계 마케팅을 하였다. 그러나 Tech 드럼 세탁기용 세제가 나오기 전에 소비자들이 ‘드럼 세탁기용 세제= 외국 세제’ 라는 인식이 워낙 강했기 때문에, 국내 드럼세탁기용 세제보다 고가임에도 외국 세제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유명 제품으로 Henkel사의 Persil이나 Reckitt-Bencksier사의 Colon, Dalli-Werke사의 dalli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백화점이나 인터넷 판매를 통해 판매망을 구축하였으며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가격 면에서 볼 때 국내 세제에 비해 가격이 1만 원 이상 월등히 높으며, 유통에 있어서도 일반 소비자가 가까이서 구매하기는 쉽지 않으나 , 기존에 외제 세제를 사용하던 소비자 층이 적지 않기 때문에 중요한 경쟁자라고 볼 수 있다.
4) 무세제 드럼 세탁기 출시 예정
대우일렉트로닉스는 지난 2001년 세제를 넣지 않고도 세탁할 수 있는 무세제세탁기 \"마이더스\"를 출시,국내.외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대우일렉트로닉스는 웰빙 붐이 일기 전인 지난 2001년부터 \'친건강·친가족·친환경\'이라는 기업모토로 무세제 세탁기 외 여러 가전제품을 출시했다. 특히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은 선진국 시장에서 주목을 받았다. 세제없이 물로만 세탁하기 때문에 면역성이 낮은 아기나 외부저항력이 약한 피부를 가진 사람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세제를 사용했던 기존 세탁방식은 환경오염 및 피부질환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마이더스는 세제사용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했을 뿐 아니라 의류, 세탁기 내부에 숨어있는 세균 및 박테리아를 제거함으로써 기존 세탁기 사용시 문제되는 세균걱정을 말끔히 해결했다.
지금까지는 일반 세탁기만 출시되었으나, 곧 무세제 드럼 세탁기를 출시할 예정이다. 드럼 세탁기의 가장 큰 단점이 ‘잘 헹구어지지 않는다’인 것에 비해 세제 시장에서는 큰 위협이 될 수
심각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드럼 세탁기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체 세탁기 시장에서 드럼 세탁기 판매량은 어느덧 67%에 달하고 있으며, 꾸준히 상승하여 머지 않아 드럼 세탁기가 일반 세탁기를 제치고 세탁기의 표준 모델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는 새로 혼수를 장만하는 신혼 부부의 혼수품이나, 세탁기 교체 시점에 놓인 일반 가정의 새로운 구입 시, 또한 오피스텔이나 원룸 등에 빌트인되는 경우에 일반 세탁기보다 드럼 세탁기를 선택하려는 성향이 확산되면서 꾸준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드럼세탁기 수요와 결코 따로 생각할 수 없는 드럼세탁기용 세제의 입장에서 볼 때 환영할 만한 환경이라 할 수 있다.
2) Well-being 붐으로 인해 가격보다 질을 따지는 소비 패턴 확산
2003년부터 하나의 키워드로 자리잡은 것이 바로 ‘웰빙’이다. 몇 년 전 ‘보보스족’의 탄생에서부터 발전해온 이 웰빙 바람은 이제 전국민의 생활 모토로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자신과 가족의 삶의 질을 무엇보다 최우선으로 삼는 생활, 소비 패턴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웰빙 바람은 가격보다 질을 우선하는 소비 양상을 보이면서 비교적 고가인 드럼세탁기나 드럼세탁기용 세제에 대한 수요 확산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3) 드럼 세탁기 판매 1위인 LG \'TROMM\'과의 연계 마케팅 가능
현재 국내 드럼 세탁기 판매 1위는 LG 의 TROMM 이다. 같은 LG 계열사 소속이라는 점 때문에 경쟁사들과는 달리 연계 마케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 번 쓰기 시작한 세제는 그리 쉽게 바꾸지 않는 소비자들의 사용 패턴을 생각할 때, 처음 TROMM을 구입시 Tech 드럼세탁기용 세제를 제공할 경우 이후 세제를 새로 사야 할 경우에 다른 세제보다는 Tech를 더 우선 선택하려는 심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4) 드럼 전용 섬유 유연제 ‘샤프란’ 출시로 씨너지 효과 창출 가능
LG 생활건강에서는 최근 드럼 전용 섬유 유연제 ‘샤프란’을 새롭게 출시했다. 이로 인해 세제와 섬유 유연제의 동반 마케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패키지 판매 등의 방식으로 동반 인지도 상승을 꾀할 수 있다.
< Threat >
1) 좁은 시장 ( 드럼 세탁기 사용자만이 구입)
드럼 세탁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아직까지는 일반 세탁기 사용자가 더 많다. 또한 드럼 세탁기 사용자 중 많은 사람들이 이미 사용하던 외국 세제를 사용하거나 국내용 일반 세제를 쓰고 있다. Tech 드럼 세탁기용 세제가 출시되자마자 전체 시장의 3%를 장악했으나, 아직도 많은 고객들은 외국 세제를 쓰거나 일반 세제를 쓰고 있다. 드럼 세탁기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만이 대상이다 보니 시장이 매우 좁다.
2) 국내 타 브랜드 드럼 전용 세제의 성장
국내에서는 LG 생활 건강에서 최초로 마이티라는 이름의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했다. 그 이후 Tech의 깨끗한 이미지와 부합하여 새로운 제품인 Tech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만들었다. 기존의 드럼 세탁기 사용자들이 외국 세제를 선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Tech 드럼 세탁기용 세제는 출시되자마자 시장의 3%장악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그 이후 다른 국내 경쟁사에서도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하고 있다. 외국 업체는 가격 경쟁력이 부족하고 특별한 메리트도 부족하기 때문에 미래의 시장은 크게 봐서 국내 업체끼리의 경쟁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특히 같은 생활용품 군에서 경쟁하는 CJ나 애경, 옥시 등의 업체와 경쟁이 예상되는데 그들 역시 드럼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했다. 애경산업의 \'퍼펙트 하나로 드럼세탁기용\' 세제, 롯데알미늄의 드럼세탁기 전용세제 \'샤키\', CJ \'비트 드럼\' 옥시의 ‘파워크린 z \'등이 있다.
3) 외국 세제 선호도가 높음
기존의 드럼 세탁기 사용자들은 모두 외국 세제를 사용해왔다. 국내 브랜드 중에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한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 LG생활건강에서 마이티라는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했으나 소비자들은 구하기 어려워서 기존에 사용하던 외국 세제를 썼다. 그 이후 LG 생활 건강에서 Tech 드럼 세탁기용 세제를 출시하면서 LG TROMM 세탁기와 함께 연계 마케팅을 하였다. 그러나 Tech 드럼 세탁기용 세제가 나오기 전에 소비자들이 ‘드럼 세탁기용 세제= 외국 세제’ 라는 인식이 워낙 강했기 때문에, 국내 드럼세탁기용 세제보다 고가임에도 외국 세제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유명 제품으로 Henkel사의 Persil이나 Reckitt-Bencksier사의 Colon, Dalli-Werke사의 dalli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백화점이나 인터넷 판매를 통해 판매망을 구축하였으며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가격 면에서 볼 때 국내 세제에 비해 가격이 1만 원 이상 월등히 높으며, 유통에 있어서도 일반 소비자가 가까이서 구매하기는 쉽지 않으나 , 기존에 외제 세제를 사용하던 소비자 층이 적지 않기 때문에 중요한 경쟁자라고 볼 수 있다.
4) 무세제 드럼 세탁기 출시 예정
대우일렉트로닉스는 지난 2001년 세제를 넣지 않고도 세탁할 수 있는 무세제세탁기 \"마이더스\"를 출시,국내.외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대우일렉트로닉스는 웰빙 붐이 일기 전인 지난 2001년부터 \'친건강·친가족·친환경\'이라는 기업모토로 무세제 세탁기 외 여러 가전제품을 출시했다. 특히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은 선진국 시장에서 주목을 받았다. 세제없이 물로만 세탁하기 때문에 면역성이 낮은 아기나 외부저항력이 약한 피부를 가진 사람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세제를 사용했던 기존 세탁방식은 환경오염 및 피부질환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마이더스는 세제사용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했을 뿐 아니라 의류, 세탁기 내부에 숨어있는 세균 및 박테리아를 제거함으로써 기존 세탁기 사용시 문제되는 세균걱정을 말끔히 해결했다.
지금까지는 일반 세탁기만 출시되었으나, 곧 무세제 드럼 세탁기를 출시할 예정이다. 드럼 세탁기의 가장 큰 단점이 ‘잘 헹구어지지 않는다’인 것에 비해 세제 시장에서는 큰 위협이 될 수
추천자료
LG칼텍스정유의 아시아 지역 윤활유시장에서의 마케팅 믹스 전략
오리온 초코파이의 국내경영전략 및 해외시장 성공마케팅 전략분석
피자헛 VS 도미노피자 시장분석 및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피자헛 VS 도미노피자 시장분석 및 마케팅전략 비교분석(파워포인트)
대형할인점의 성공적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 국내시장의 E-mart 사례 중심으로
스포츠 마케팅을 통한 우리나라 글로벌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 대한 고찰
[국제마케팅]미원의 인도네시아 진출배경과 시장분석
[국제마케팅]신세계 이마트(E-Mart) 국제시장 진출전략
중국 차음료 시장의 진입에 대한 마케팅 연구서(코카콜라)
콜라시장(코카콜라,펩시)의 마케팅사례
꼬꼬면의 마케팅 전략 분석,꼬꼬면분석,라면시장분석
미술품 거래시장의 이해 및 기업의 미술품 마케팅 전략
삼성 VS 애플 스마트폰시장에서의 마케팅전략 비교분석.ppt
노스페이스 vs 코오롱스포츠 아웃도어시장에서의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PPT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