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도 음식문화
▷ 인도 음식문화의 특징
▷ 대표적인 음식
▷ 식사예절
▷ 식당에서의 간단한 힌디어
▷ 자주 쓰이는 단어
2. 중국 음식문화
▷ 중국 음식문화의 일반적 특성
▷ 4대 요리의 특징
▷ 식사예절
▷ 중국 음식의 명칭
3. 일본 음식문화
▷ 일본 음식문화의 특징
▷ 지역별 음식 특징
▷ 대표적인 음식
▷ 식사예절
4. 한국 음식문화
▷ 한국음식이란 무엇인가?
▷ 한국 식생활문화의 특징
▷ 대표적 음식
▷ 상차림과 식사예절
° 서양의 음식문화
1. 이탈리아 음식문화의 특징
▷ 이탈리아 지방음식의 특징
▷ 대표적인 음식
▷ 식사코스
▷ 식사예절
2. 프랑스 음식문화
▷ 대표적인 음식과 식품
▷ 식사예절
3. 영국 음식문화
▷ 영국 음식문화의 특징
°동서양의 음식문화(젓가락과 포크문화)
▷ 동양의 식문화와 서양의 식문화
▷ 숟가락과 한국의 수저문화
▷ 포크사용의 역사
▷ 젓가락 사용
▷ 인도 사람들이 손으로 밥을 먹는 이유
▷ 인도 음식문화의 특징
▷ 대표적인 음식
▷ 식사예절
▷ 식당에서의 간단한 힌디어
▷ 자주 쓰이는 단어
2. 중국 음식문화
▷ 중국 음식문화의 일반적 특성
▷ 4대 요리의 특징
▷ 식사예절
▷ 중국 음식의 명칭
3. 일본 음식문화
▷ 일본 음식문화의 특징
▷ 지역별 음식 특징
▷ 대표적인 음식
▷ 식사예절
4. 한국 음식문화
▷ 한국음식이란 무엇인가?
▷ 한국 식생활문화의 특징
▷ 대표적 음식
▷ 상차림과 식사예절
° 서양의 음식문화
1. 이탈리아 음식문화의 특징
▷ 이탈리아 지방음식의 특징
▷ 대표적인 음식
▷ 식사코스
▷ 식사예절
2. 프랑스 음식문화
▷ 대표적인 음식과 식품
▷ 식사예절
3. 영국 음식문화
▷ 영국 음식문화의 특징
°동서양의 음식문화(젓가락과 포크문화)
▷ 동양의 식문화와 서양의 식문화
▷ 숟가락과 한국의 수저문화
▷ 포크사용의 역사
▷ 젓가락 사용
▷ 인도 사람들이 손으로 밥을 먹는 이유
본문내용
이러한 습관은 숭유사상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즉 그는 한국인이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밥을 먹는 모습이 고대 중국의 『주례(周禮)』에 나오는 식사 예법과 매우 닮았다고 생각한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철저하게 주나라 때의 것을 모범으로 하여 인생관을 삼았고, 그것이 식사에도 영향을 미쳐 한국의 전통적 식사법에 『주례(周禮)』의 규칙이 반영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의 숟가락이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까지만 해도 중국의 것과 유사한 형태로 변화되다가 조선 중기 이후 독자적 형태를 띤다는 사실과도 부합한다.
조선 중기 이후 숟가락 자루는 길어지고 두꺼워지며 곧아지고, 숟가락 면은 둥글어진다. 젓가락은 아래쪽이 점차 가늘어져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조선 중기 이전만 해도 중국의 왕실에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사용했고, 그것이 일종의 제도로서 고려와 조선 왕실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일본이 중국으로부터 문화를 일회성으로 수입했다면, 고려와 조선은 중국과 지속적으로 접촉했기 때문에 귀족들의 관습에서는 중국과 한국 사이에 유사점이 많았을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중국이 숟가락보다 젓가락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 명나라 이후 조선은 기와에 형성된 음식 구조로 인해 원래의 식사 방법이 더욱 세련되는 과정을 거쳤고 오늘날에도 한국인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사용한다.
3) 젓가락 문화와 손가락 문화
나라마다 민족마다 제각기 독특하고 고유한 음식문화가 있기 마련이다. 음식문화는 어느 나라든지 혹은 어떤 민족이든지 모두 소중한 의미를 담고 있다. 그것은 결코 우습거나 시시한 것이 아니다. 음식의 종류는 세계 여러 나라와 민족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햄버거를 즐기는 민족이 있는가 하면 우동과 라면을 즐기는 민족이 있고 더 나아가 벌레를 먹는 민족도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음식을 먹는 방식에서도 각 나라와 민족 나름대로의 고유한 방식이 있다. 포크와 나이프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민족이 있는가 하면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는 민족이 있으며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민족도 있는 것이다. 이들 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뿐 우열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도 우리는 어려서부터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매우 대단한 것이라는 교육을 받아왔다. 아주 어릴 적부터 젓가락을 사용하는 데 익숙했기 때문에 젓가락을 쥐는 손의 특정 부위의 근육이 다른 외국인보다 훨씬 잘 발달했으며 그 때문에 세계 제일의 손재주를 보유하게 되었다는 말을 심심찮게 들으면서 자랐다.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최근에는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점차 늘어나면서 우리의 손 기술이 급속히 쇠퇴할지 모른다는 우려마저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사람들에 대한 멸시와 경멸이 포함되어 있다.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으며 온갖 병균이 입을 통해 몸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병에 걸린다는 식으로 가르침으로써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것을 금기시하여 못하게 했다. 그것은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사람들이나 그들의 음식문화는 더럽고 비위생적이며 저급한 것으로 여기는 태도를 낳았다. 즉,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는 우리의 방식이나 포크나 나이프를 사용하는 서양의 방식은 고급스럽거나 대단한 것이고,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처럼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것은 문화가 아닌 야만적이거나 미개한 것으로 보는 인식과 태도를 만들어낸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서양 사람들도 닭다리나 피자를 먹을 때에는 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새우나 게, 오징어처럼 해산물을 먹을 때에는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보다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편리하다고 생각한다. 손가락으로 먹는 것을 더럽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가 노점에서 튀김이나 어묵을 먹을 때를 생각해 보가. 여러 사람이 하나의 종지에 담긴 간장에 찍어 먹고 있지 않은가. 더럽다면 더러운 이 행위를 우리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지 않는가. 문화는 어떤 행위나 생각이 습관화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너무나 친숙하여 일단 자연스러운 행위나 사고방식이 되어버리면 그에 대해 별다른 의문을 갖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동남아시아의 경우와 같이 어려서부터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것이 맛이 있으며, 손가락으로 먹는 것이 더 편하다고 배워온 사람들에게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행위나 그에 대한 관념은 더럽거나 비위생적이라는 생각보다 맛있고 편안하다는 생각이 앞서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다는 것을 우리의 기준으로 무조건 더럽다고 말하는 것은 다시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동남아시아 사람들이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것에는 음식의 맛이 입맛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의 촉감에도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들은 종종 음식의 진정한 맛은 손으로 먹을 때 비로소 알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이 먹는 음식에는 해산물처럼 손으로 먹기에 적합한 음식들이 아주 많다. 이제 우리는 양식집에서 포크와 나이프로 스테이크를 먹는 것이나 일본식 식당에서 젓가락으로 회를 먹는 것만이 교양 있고 세련된 사람들의 고급스럽고 위생적인 음식문화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노점에서 떡볶이나 순대, 튀김 등을 이쑤시개로 먹는 것도 교양 없고 무식한 사람들의 하찮고 시시껄렁한 행위가 아니라 나름대로의 방식을 갖춘 고유한 음식문화의 일부로 존중되어야 한다.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행위 역시 더럽고 비위생적인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의 문화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 김장철에 잘 버무린 김치 속을 손으로 집어 입을 벌리고 먹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손으로 음식을 먹는다는 것이 지닌 묘미를. 음식문화에 대해 여기에 미칠 때 우리는 아시아를 비롯한 세계의 다양한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고유한 음식문화의 성격과 의미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세계화를 위한 출발점이 아닐까.
▷ 숟가락과 한국의 수저문화
(1) 숟가락(spoon)
숟가락은 밥국 따위를 떠먹는 기구를 일컫는 말이다. 숟가락의 \'숟\'은 \'쇠(鐵)\'의 조어 \'
조선 중기 이후 숟가락 자루는 길어지고 두꺼워지며 곧아지고, 숟가락 면은 둥글어진다. 젓가락은 아래쪽이 점차 가늘어져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조선 중기 이전만 해도 중국의 왕실에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사용했고, 그것이 일종의 제도로서 고려와 조선 왕실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일본이 중국으로부터 문화를 일회성으로 수입했다면, 고려와 조선은 중국과 지속적으로 접촉했기 때문에 귀족들의 관습에서는 중국과 한국 사이에 유사점이 많았을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중국이 숟가락보다 젓가락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 명나라 이후 조선은 기와에 형성된 음식 구조로 인해 원래의 식사 방법이 더욱 세련되는 과정을 거쳤고 오늘날에도 한국인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사용한다.
3) 젓가락 문화와 손가락 문화
나라마다 민족마다 제각기 독특하고 고유한 음식문화가 있기 마련이다. 음식문화는 어느 나라든지 혹은 어떤 민족이든지 모두 소중한 의미를 담고 있다. 그것은 결코 우습거나 시시한 것이 아니다. 음식의 종류는 세계 여러 나라와 민족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햄버거를 즐기는 민족이 있는가 하면 우동과 라면을 즐기는 민족이 있고 더 나아가 벌레를 먹는 민족도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음식을 먹는 방식에서도 각 나라와 민족 나름대로의 고유한 방식이 있다. 포크와 나이프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민족이 있는가 하면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는 민족이 있으며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민족도 있는 것이다. 이들 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뿐 우열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도 우리는 어려서부터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매우 대단한 것이라는 교육을 받아왔다. 아주 어릴 적부터 젓가락을 사용하는 데 익숙했기 때문에 젓가락을 쥐는 손의 특정 부위의 근육이 다른 외국인보다 훨씬 잘 발달했으며 그 때문에 세계 제일의 손재주를 보유하게 되었다는 말을 심심찮게 들으면서 자랐다.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최근에는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점차 늘어나면서 우리의 손 기술이 급속히 쇠퇴할지 모른다는 우려마저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사람들에 대한 멸시와 경멸이 포함되어 있다.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으며 온갖 병균이 입을 통해 몸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병에 걸린다는 식으로 가르침으로써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것을 금기시하여 못하게 했다. 그것은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사람들이나 그들의 음식문화는 더럽고 비위생적이며 저급한 것으로 여기는 태도를 낳았다. 즉,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는 우리의 방식이나 포크나 나이프를 사용하는 서양의 방식은 고급스럽거나 대단한 것이고,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처럼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것은 문화가 아닌 야만적이거나 미개한 것으로 보는 인식과 태도를 만들어낸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서양 사람들도 닭다리나 피자를 먹을 때에는 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새우나 게, 오징어처럼 해산물을 먹을 때에는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보다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편리하다고 생각한다. 손가락으로 먹는 것을 더럽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가 노점에서 튀김이나 어묵을 먹을 때를 생각해 보가. 여러 사람이 하나의 종지에 담긴 간장에 찍어 먹고 있지 않은가. 더럽다면 더러운 이 행위를 우리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지 않는가. 문화는 어떤 행위나 생각이 습관화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너무나 친숙하여 일단 자연스러운 행위나 사고방식이 되어버리면 그에 대해 별다른 의문을 갖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동남아시아의 경우와 같이 어려서부터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것이 맛이 있으며, 손가락으로 먹는 것이 더 편하다고 배워온 사람들에게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행위나 그에 대한 관념은 더럽거나 비위생적이라는 생각보다 맛있고 편안하다는 생각이 앞서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다는 것을 우리의 기준으로 무조건 더럽다고 말하는 것은 다시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동남아시아 사람들이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것에는 음식의 맛이 입맛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의 촉감에도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들은 종종 음식의 진정한 맛은 손으로 먹을 때 비로소 알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이 먹는 음식에는 해산물처럼 손으로 먹기에 적합한 음식들이 아주 많다. 이제 우리는 양식집에서 포크와 나이프로 스테이크를 먹는 것이나 일본식 식당에서 젓가락으로 회를 먹는 것만이 교양 있고 세련된 사람들의 고급스럽고 위생적인 음식문화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노점에서 떡볶이나 순대, 튀김 등을 이쑤시개로 먹는 것도 교양 없고 무식한 사람들의 하찮고 시시껄렁한 행위가 아니라 나름대로의 방식을 갖춘 고유한 음식문화의 일부로 존중되어야 한다.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행위 역시 더럽고 비위생적인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의 문화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 김장철에 잘 버무린 김치 속을 손으로 집어 입을 벌리고 먹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손으로 음식을 먹는다는 것이 지닌 묘미를. 음식문화에 대해 여기에 미칠 때 우리는 아시아를 비롯한 세계의 다양한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고유한 음식문화의 성격과 의미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세계화를 위한 출발점이 아닐까.
▷ 숟가락과 한국의 수저문화
(1) 숟가락(spoon)
숟가락은 밥국 따위를 떠먹는 기구를 일컫는 말이다. 숟가락의 \'숟\'은 \'쇠(鐵)\'의 조어 \'
추천자료
중국의 역사적 배경과 관련된 식생활
일본의 음식문화의 형성배경 일본음식의 특징 일본의 식사예절
일본 문화의 이해 - 일본의 음식문화
한일 음식문화 비교
프랑스의 음식의 특징
일본의 음식문화와 식생할에 대한 자료입니다.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도자기 문화, 주거문화, 건축문화, 음식문화)
[일본문화][일본의 문화][일본][일본인]일본의 꽃꽂이문화, 술문화(음주문화), 음식문화, 결...
[중국][중국문화]중국내 소수민족의 환경과 주거문화, 중국의 주거문화, 중국의 민족구성과 ...
[사회과학] 음식문화
[사회과학] 프랑스음식문화
프랑스음식문화
세계문화의 이해 - 러시아의 음식문화에 관해서
중국음식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