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사의 종류와 방법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성하게 되는데 이것이 많아지면 순 환장애가 올 수 있으므로 신경써서 한번에 성공하도록 한다.
수액주입시 주사부위가 부풀거나 통증이 있으면 바늘이 혈관에서 빠져나온 상태이므로 바늘을 제거한다.
Drop chamber를 1/2가량 수액을 채운다. 환자가 움직여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한 것이다.
소아과 환자, 노인, 혈관이 약한분들, 관절부위에 IV한 경우는 arm board를 대주면 유지 가 잘 된다.
4. 피내주사
* 부위 : 혈관분포가 적고 동통에 대한 감수성이 약한 전박 안쪽과 견갑골과 쇄골 부위의 진피이다.
* 목적 : 소량의 주사액을 피부의 진피에 주입하여 결핵균 감염 여부, 알레르기 검사 등의 진단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BCG접종도 같은 방법이다.)
* 주의 : ①바늘의 사면이 상면으로 오게하여 약 15°각도로 피부 외층 바로 밑에 삽입한다.
② 문지르거나 긁지 않도록 하고 반응을 관찰 판정한다.
* PPD (purified protein dervative)
- TB진단 목적으로 5TU, 2TU, 1TU등이 있고 0.1cc ID로 준다.
* Allergy 반응은 1:9로 mix해서 0.1cc주입 하고 15분후 발적 유무 판정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9.01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6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