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술실에서 환자 맞이하기
Positioning
Gown Techinique
Glove Techinique
Spong count
Specimens다루는 법
봉합사와 봉합침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기구 및 소모품(종류, 특수성, 사용법)
Scrub Nurse의 책임
Circulating Nurse의 책임
마취의 종류
마취간호사의 역할
마취시 사용하는 기구 및 소모품 (종류, 특수성, 사용법)
Immediate Post-op care(회복실 간호)
회복실에서의 퇴실기준
Positioning
Gown Techinique
Glove Techinique
Spong count
Specimens다루는 법
봉합사와 봉합침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기구 및 소모품(종류, 특수성, 사용법)
Scrub Nurse의 책임
Circulating Nurse의 책임
마취의 종류
마취간호사의 역할
마취시 사용하는 기구 및 소모품 (종류, 특수성, 사용법)
Immediate Post-op care(회복실 간호)
회복실에서의 퇴실기준
본문내용
로 덮은 후에 소독보를 이용하여 aseptic technique으로 포장하여야 한다. 포장 후 겉면에는 환자의 history(날짜, 과, ID, 이름, 성별, 나이, 진단명, 해당 부위명, 주치의, 간호사 이름)를 정확하게 기록하여야 한다.
bone을 보관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
①동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70°C의 refrigerator bone bank(low temperature freezer)에 bone을 보관하는 것이다. 균 배양 검사에 대한 결과가 나오기 전의 bone과 음성으로 판독된 bone의 보관이 따로 되어야 한다.
②동결 건조(freeze-drying)
③산화 에틸렌
72시간동안 bone에 산화 작용을 일으켜 소독하는 방법으로 bone이 용해되지 않는다면 오fot동안 사용할 수 있다. 72시간 이후 냉동 보관해야 한다.
④포름 알데히드액
저장하는 동안 2°C-4°C의 냉장이 유지되어야 한다.
Skin 보관하는 방법
정형외과나 성형외과의 skin graft 수술 후 떼어낸 skin이 남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skin을 따로 보관하여 필요시 사용할 수 있다. skin을 보관할 때는 skin이 마르지 않도록 wet gauze로 덮은 후에 소독된 petri-dish에 담아 소독보를 이용하여 aseptic technique으로 포장하여야 한다. skin은 2-3주간 냉장 보관할 수 있으며,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skin은 소각처리 하여야 한다.
봉합사와 봉합침
(1)봉합사
가장 이상적인 봉합사는 상처가 스스로 지탱할 수 있을 정도까지만 잡아주고 신속히 흡수되는 봉합사로 다음의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한다.
①여러 가지 수술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함
②Handling이 우수하고 부드러워야 함
③최소한의 조직반응
④높은 인장강도
⑤매듭이 강하고 안정적이어야 함
⑥적절한 시기에 흡수되어야 함 :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난 뒤에 빠른 흡수가 이상적임
⑦조직에 손상을 적게 주어야 함 : 봉합침과의 사이즈 matching이 잘되어야 함
분류
자연사
합성사
Handling
좋은편
좋은편이나 자연사보다는 나쁨
Diameter
일정지름으로 압출이 어려움
일정 지름 압출이 용이함
Tensile strenth
인장강도는 합성사보다 약함
인장강도 좋음
Tissue reaction
체내의 염증반응이 다소있음
체내반응이 자연사에 비해 적음
Product
silk, chromic, steel wire
vicryl, PDS, ethilon, Dexon, Maxon
자연사(natural)와 인공합성사(synthetic)
분류
흡수사
비흡수사
Character
*일정기간의 인장강도를 유지한 후 상처가 더 이상 봉합사의 지탱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 흡수됨
*각각의 봉합사는 인장강도와 흡수 기간이 상이하므로 인지하여야함
*체내에 영구적으로 남아있는 봉합사
*이 종류의 봉합사중 체내에 생화학적 작용으로 다소 분해되는 제품도 있음
Product
Chromic, Vicryl, Dexon, PDS
Ethilon, Prolene, Silk, Ethibond
흡수사(absorbable)와 비흡수사(non-absorbable)
분류
복선사
단선사
Character
부드럽고 유연함
유연성이 다소 떨어짐
매듭
매듭의 안정성이 좋음
매듭의 안정성이 떨어짐
장점/단점
박테리아가 기생할 공간이 있음
-봉합사가 꼬인 틈새 사이
박테리아 기생공간이 적음
Surface
표면이 다소 거침 -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복선사는 coating처리함
표면이 매끄러움
Product
Vicryl, Ethibond, Dexon, Silk
Prolene, Ethilon, PDS, Monocryl
복선사(multifilament)와 단선사(monofilament)
(2)봉합침
수술용 바늘의 선택은 예리하면서 최소한의 바늘 자국을 남겨야 하고 강하여 조직 통과시 구부려지지 않고 소독이 용이하여야 한다.
또한 바늘이 사용 중 부러져 수술 부위 안쪽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고 단지 구부려지는 연성이 있어 장기 내부로 바늘이 들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①Straight Needle : 주로 Skin, Tendon용
②1/4 Circle : Opthalmic
③3/8 Circle : Skin, Vascular
④1/2 Circle : Abdominal, OB/GYN 다소 깊은 부위
⑤5/8 Circle : Oral, Dental, Vaginal, URO 매우깊은 부위
⑥J-Shape : OS, GS Trocar hole
⑦Compound Circle : Opthalmic, PS Cleft palate
⑧Ski Needle : ENDO용으로 드물게 사용함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기구 및 소모품(종류, 특수성, 사용법)
1. knife
조직을 절개하거나 절제하기 위해 사용한다.
2. adenotome
adenoids를 절제하는데 사용한다.
3. bougie, urethral
소식자 또는 확장기라고 하며 가늘고 길며, 유연하고 속은 비어있을 수도 있는 원통형 기구로써 요도 또는 다른 관상기관에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통 협착부를 계측하거나 확장시킬 목적으로 사용함.)
4. burr, cranial
천공기라고 하며 도자를 삽입하기 위해 두개골에 구멍을 뚫기 위해 사용한다.
5. caliper
단단한 물체의 부피 또는 직경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6. carrier, ligature
수송기라고 하며 봉합사를 원하는 위치에다 놓기위해 봉합사를 꿰어 옮겨주는 역할을 한다.
7. clamp
조직이나 혈관을 잡거나 지지하고 눌러 주는데에 이용하며 혈관을 잡을 경우 지혈목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8. contractor
벌려 놓았던 늑골을 접근시켜 원위치 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
9. curette
강이나 상처의 표면에서 조직을 긁어내어 종양 또는 비정상적인 조직을 제거하거나 현미경적인 검사물을 얻기 위해서 사용한다.
10. dilator uterine
확장기라고 하며 기관의 입구나 관을 확장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11. drll, cranial
드릴, 천공기라고 하며 뼈조직과 같은 치아조직 같은 단단한 조직에 구멍을
bone을 보관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
①동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70°C의 refrigerator bone bank(low temperature freezer)에 bone을 보관하는 것이다. 균 배양 검사에 대한 결과가 나오기 전의 bone과 음성으로 판독된 bone의 보관이 따로 되어야 한다.
②동결 건조(freeze-drying)
③산화 에틸렌
72시간동안 bone에 산화 작용을 일으켜 소독하는 방법으로 bone이 용해되지 않는다면 오fot동안 사용할 수 있다. 72시간 이후 냉동 보관해야 한다.
④포름 알데히드액
저장하는 동안 2°C-4°C의 냉장이 유지되어야 한다.
Skin 보관하는 방법
정형외과나 성형외과의 skin graft 수술 후 떼어낸 skin이 남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skin을 따로 보관하여 필요시 사용할 수 있다. skin을 보관할 때는 skin이 마르지 않도록 wet gauze로 덮은 후에 소독된 petri-dish에 담아 소독보를 이용하여 aseptic technique으로 포장하여야 한다. skin은 2-3주간 냉장 보관할 수 있으며,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skin은 소각처리 하여야 한다.
봉합사와 봉합침
(1)봉합사
가장 이상적인 봉합사는 상처가 스스로 지탱할 수 있을 정도까지만 잡아주고 신속히 흡수되는 봉합사로 다음의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한다.
①여러 가지 수술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함
②Handling이 우수하고 부드러워야 함
③최소한의 조직반응
④높은 인장강도
⑤매듭이 강하고 안정적이어야 함
⑥적절한 시기에 흡수되어야 함 :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난 뒤에 빠른 흡수가 이상적임
⑦조직에 손상을 적게 주어야 함 : 봉합침과의 사이즈 matching이 잘되어야 함
분류
자연사
합성사
Handling
좋은편
좋은편이나 자연사보다는 나쁨
Diameter
일정지름으로 압출이 어려움
일정 지름 압출이 용이함
Tensile strenth
인장강도는 합성사보다 약함
인장강도 좋음
Tissue reaction
체내의 염증반응이 다소있음
체내반응이 자연사에 비해 적음
Product
silk, chromic, steel wire
vicryl, PDS, ethilon, Dexon, Maxon
자연사(natural)와 인공합성사(synthetic)
분류
흡수사
비흡수사
Character
*일정기간의 인장강도를 유지한 후 상처가 더 이상 봉합사의 지탱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 흡수됨
*각각의 봉합사는 인장강도와 흡수 기간이 상이하므로 인지하여야함
*체내에 영구적으로 남아있는 봉합사
*이 종류의 봉합사중 체내에 생화학적 작용으로 다소 분해되는 제품도 있음
Product
Chromic, Vicryl, Dexon, PDS
Ethilon, Prolene, Silk, Ethibond
흡수사(absorbable)와 비흡수사(non-absorbable)
분류
복선사
단선사
Character
부드럽고 유연함
유연성이 다소 떨어짐
매듭
매듭의 안정성이 좋음
매듭의 안정성이 떨어짐
장점/단점
박테리아가 기생할 공간이 있음
-봉합사가 꼬인 틈새 사이
박테리아 기생공간이 적음
Surface
표면이 다소 거침 -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복선사는 coating처리함
표면이 매끄러움
Product
Vicryl, Ethibond, Dexon, Silk
Prolene, Ethilon, PDS, Monocryl
복선사(multifilament)와 단선사(monofilament)
(2)봉합침
수술용 바늘의 선택은 예리하면서 최소한의 바늘 자국을 남겨야 하고 강하여 조직 통과시 구부려지지 않고 소독이 용이하여야 한다.
또한 바늘이 사용 중 부러져 수술 부위 안쪽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고 단지 구부려지는 연성이 있어 장기 내부로 바늘이 들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①Straight Needle : 주로 Skin, Tendon용
②1/4 Circle : Opthalmic
③3/8 Circle : Skin, Vascular
④1/2 Circle : Abdominal, OB/GYN 다소 깊은 부위
⑤5/8 Circle : Oral, Dental, Vaginal, URO 매우깊은 부위
⑥J-Shape : OS, GS Trocar hole
⑦Compound Circle : Opthalmic, PS Cleft palate
⑧Ski Needle : ENDO용으로 드물게 사용함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기구 및 소모품(종류, 특수성, 사용법)
1. knife
조직을 절개하거나 절제하기 위해 사용한다.
2. adenotome
adenoids를 절제하는데 사용한다.
3. bougie, urethral
소식자 또는 확장기라고 하며 가늘고 길며, 유연하고 속은 비어있을 수도 있는 원통형 기구로써 요도 또는 다른 관상기관에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통 협착부를 계측하거나 확장시킬 목적으로 사용함.)
4. burr, cranial
천공기라고 하며 도자를 삽입하기 위해 두개골에 구멍을 뚫기 위해 사용한다.
5. caliper
단단한 물체의 부피 또는 직경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6. carrier, ligature
수송기라고 하며 봉합사를 원하는 위치에다 놓기위해 봉합사를 꿰어 옮겨주는 역할을 한다.
7. clamp
조직이나 혈관을 잡거나 지지하고 눌러 주는데에 이용하며 혈관을 잡을 경우 지혈목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8. contractor
벌려 놓았던 늑골을 접근시켜 원위치 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
9. curette
강이나 상처의 표면에서 조직을 긁어내어 종양 또는 비정상적인 조직을 제거하거나 현미경적인 검사물을 얻기 위해서 사용한다.
10. dilator uterine
확장기라고 하며 기관의 입구나 관을 확장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11. drll, cranial
드릴, 천공기라고 하며 뼈조직과 같은 치아조직 같은 단단한 조직에 구멍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