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향가란
2.향가의 명칭
3.향가의 기원
4.향가의 성격
5.향가의 발전과 소멸.
6.향가의 잔영
7.현대 향가연구
2.향가의 명칭
3.향가의 기원
4.향가의 성격
5.향가의 발전과 소멸.
6.향가의 잔영
7.현대 향가연구
본문내용
정리, 보존한다는 것은 향가창작이 쇠퇴의 기미를 보이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④가의 표기수단이었던 향찰이 그 전성기를 지나 지식인에게는 한문에 의하여 그 기능이 많이 대치되었다. 향가의 주류 작가층인 화랑 또는 낭도계층은 그 역사적 존재가치를 상실하게 되었으며, 승려계층은 구산(九山)을 중심으로 한 선종(禪宗)으로의 방향전환이 일어나 거리를 나다니며 가요를 읊는 대신 심산유곡의 사찰 속으로 잠입해버렸다는 점 등이 향가를 쇠퇴의 길로 들어서게 하였을 것이다. 그 뒤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등장을 계기로 향가는 소멸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6.향가의 잔영
향가는 \'보현십원가\'를 마지막으로 소멸하였으나, 고려 16대 예종이 지은 \'도이장가\'와 의종 때 정서가 지은 \'정과정곡\'에서 향가의 잔영을 엿볼 수 있다.
향가의 완성형이라고 볼 수 있는 10구체의 향가의 끝 구절의 ‘아아’라는 영탄구는 고려 말에 크게 유행한 시조의 종장 첫 구에서 그 형식적 전통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고려 가요에서도 향가의 모습이 보인다. 비관적이고 회의적인 태도의 고려 가요와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정서의 향가와 내용상 다르지만 형식상으로는 매우 비슷한 점으로 보아 고려 가요와 시조는 향가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다고 할 수 있겠다.
7.현대 향가연구
반세기 이상에 걸친 여러 연구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만족할 만한 단계에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20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해독에의 길이 열리게 되는데, 이 단계의 작업이 주로 일본인 학자들에 의하여 영위되었다는 것도 눈에 띄는 일 가운데 하나이다.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 ≪향가 및 이두의 연구 鄕歌及び吏讀の硏究≫(1929)를 효시로 한다. 비록, 〈우적가〉 같은 노래에 있어 일부 해독을 유보한 부분이 있기는 하나 25수 전체를 읽어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업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양주동(梁柱東)의 ≪조선고가연구 朝鮮古歌硏究≫(1942)는 오구라의 경지를 넘어서서 향가해독을 본궤도에 올려놓았다. 이 책이 오랫동안 향가 해독의 정본으로서의 권위를 유지하여 왔다는 것은 향가에 대한 어학적·문학적 연구의 대부분이 그의 해독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곽정식, “허균”, [한국 문학사상의 이해], 신지사원, 2001.
*윤희중 외, [고전 문학의 이해와 감상], 1999, 문원각
④가의 표기수단이었던 향찰이 그 전성기를 지나 지식인에게는 한문에 의하여 그 기능이 많이 대치되었다. 향가의 주류 작가층인 화랑 또는 낭도계층은 그 역사적 존재가치를 상실하게 되었으며, 승려계층은 구산(九山)을 중심으로 한 선종(禪宗)으로의 방향전환이 일어나 거리를 나다니며 가요를 읊는 대신 심산유곡의 사찰 속으로 잠입해버렸다는 점 등이 향가를 쇠퇴의 길로 들어서게 하였을 것이다. 그 뒤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등장을 계기로 향가는 소멸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6.향가의 잔영
향가는 \'보현십원가\'를 마지막으로 소멸하였으나, 고려 16대 예종이 지은 \'도이장가\'와 의종 때 정서가 지은 \'정과정곡\'에서 향가의 잔영을 엿볼 수 있다.
향가의 완성형이라고 볼 수 있는 10구체의 향가의 끝 구절의 ‘아아’라는 영탄구는 고려 말에 크게 유행한 시조의 종장 첫 구에서 그 형식적 전통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고려 가요에서도 향가의 모습이 보인다. 비관적이고 회의적인 태도의 고려 가요와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정서의 향가와 내용상 다르지만 형식상으로는 매우 비슷한 점으로 보아 고려 가요와 시조는 향가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다고 할 수 있겠다.
7.현대 향가연구
반세기 이상에 걸친 여러 연구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만족할 만한 단계에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20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해독에의 길이 열리게 되는데, 이 단계의 작업이 주로 일본인 학자들에 의하여 영위되었다는 것도 눈에 띄는 일 가운데 하나이다.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 ≪향가 및 이두의 연구 鄕歌及び吏讀の硏究≫(1929)를 효시로 한다. 비록, 〈우적가〉 같은 노래에 있어 일부 해독을 유보한 부분이 있기는 하나 25수 전체를 읽어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업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양주동(梁柱東)의 ≪조선고가연구 朝鮮古歌硏究≫(1942)는 오구라의 경지를 넘어서서 향가해독을 본궤도에 올려놓았다. 이 책이 오랫동안 향가 해독의 정본으로서의 권위를 유지하여 왔다는 것은 향가에 대한 어학적·문학적 연구의 대부분이 그의 해독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곽정식, “허균”, [한국 문학사상의 이해], 신지사원, 2001.
*윤희중 외, [고전 문학의 이해와 감상], 1999, 문원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