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대구분의 정의
시대구분의 기본 원리
조동일의 시대구분법
장덕순의 시대구분법
참고문헌
시대구분의 기본 원리
조동일의 시대구분법
장덕순의 시대구분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징이다.
다섯째 2기 - 1860년부터 최제우의 ‘용담유사’가 이루어진 시기 까지를 2기로 보았다. 이 시기는 20세기 들어와서 한동안 지속되었다.
여섯째 시기 - 1919년 또는 1920년 이후의 시기를 말한다. 이 때 신문학 운동을 거치면서 몇 가지 점에서 결정적인 전환이 이루어졌다. 교술시와 서정시가 오랜 공존을 청산하고 문학은 서정시, 소설, 희곡으로만 이루어져 있다고 하게 되었다. 한문학 및 교술문하그의 청산은 바로 사대문학의 종말을 뜻한다.
지금까지는 조동일의 시대구분 방법이었다. 다음으로 장덕순의 시대구분법을 보도록 하자.
장덕순의 시대구분법
장덕순은 고대에서 현재까지의 전 시기를 우선 4기로 구분했다.
제 1기 - 그가 고대에서 신라 초기까지를 1기로 본 것은 사실상 문학유적이 그렇게 만
다섯째 2기 - 1860년부터 최제우의 ‘용담유사’가 이루어진 시기 까지를 2기로 보았다. 이 시기는 20세기 들어와서 한동안 지속되었다.
여섯째 시기 - 1919년 또는 1920년 이후의 시기를 말한다. 이 때 신문학 운동을 거치면서 몇 가지 점에서 결정적인 전환이 이루어졌다. 교술시와 서정시가 오랜 공존을 청산하고 문학은 서정시, 소설, 희곡으로만 이루어져 있다고 하게 되었다. 한문학 및 교술문하그의 청산은 바로 사대문학의 종말을 뜻한다.
지금까지는 조동일의 시대구분 방법이었다. 다음으로 장덕순의 시대구분법을 보도록 하자.
장덕순의 시대구분법
장덕순은 고대에서 현재까지의 전 시기를 우선 4기로 구분했다.
제 1기 - 그가 고대에서 신라 초기까지를 1기로 본 것은 사실상 문학유적이 그렇게 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