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수의 마케팅 성공 전략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화수의 마케팅 성공 전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NDEX
Part.1
서론
1. 설화수 선정 동기
2. 회사 소개
(1) 아모레퍼시픽
3. 환경 분석
(1) 거시환경 분석 (2) 미시환경 분석

Part.2
본론
4. 4P Analysis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5. STP Analysis
(1) S : segmentation (2) T : targeting (3) P : positioning
6. 경쟁사 Analysis
(1) 수려한 (2) 자인과 한방미인 (3) 다나한
7. SWOT Analysis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Part.3
결론
8. TOWS (향후 전략)
9. 결론

본문내용

이미지를 받게 해준다.
4) [제품의 특징이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은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설화수는 알코올이 아닌 물로 추출되고 달여지는 달여지며 동의보감에 나와 있는 한방 처방 5가지 한약재를 18시간 달여 만들고 있으며 성분의 변질을 막기 위해 필요할 때마다 새롭게 달인다. 또한 경희대 한의대와 공동 리서치를 통하여 설화수의 주성분은 이미 한방특허를 얻었다.
5) [제품의 유통 경로가 한정적이어서 고객으로부터 고급스러운 이미지 유지가 가능하다]
유통경로방법에는 개방적/집중적 유통과 선택적 유통. 그리고 마지막이 배타적/전속적 유통방법이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개방적은 생필품과 같이 늘 사용하는 담배나 과자 등을 동네 슈퍼나 일반 할인점, 백화점 등등 여러 경로를 통해 유통함으로써 소비자가 제품을 만나는 횟수와 기회가 증가되는 것이고 배타적/전속적 유통은 앙드레 김의 의상과 같이 한군데만 유통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선택적 유통이 “파로돈탁스”라는 치약 제품처럼 생필품인 치약이지만 약국이라는 한정된 곳만 유통시킴으로서 제품의 차별성이나 치료약이라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추구할 수 있다. 바로 설화수도 일반 화장품 업체나 할인점에는 유통하지 않고, 백화점과 방문 판매만을 유통 경로로 가짐으로서 타사 화장품보다 조금 더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고객으로부터 희소성이나, 특별한 이미지의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 Weakness (약점)
1) [사용 연령층이 한정되어 있다]
설화수의 제품 컨셉 자체가 “설화수“ 눈설/꽃화/빼어날 수 인 것처럼 겨울철 앙상한 가지만 들어낸 나뭇가지 속에 눈꽃이 빼어나다는 의미처럼 30대 후반이후 여성들의 거친 피부 속에 한 송이 아름다운 꽃이 핀다는 컨셉으로 설화수의 사용연령층은 30대 후반이후의 여성 대부분이다. 그만큼 고급화 이미지 전략이 한편으로는 20대~30대 초반의 고객들에는 아직은 어필이 부족한 상태다.
2) [제품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타사 제품과는 달리 설화수는 오로지 기초라인에 집중하고 있어 제품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가 늘고 있는 국내 화장품 시장의 트랜드에 비추어볼 때, 이는 설화수의 큰 약점이 될 수 있다.
3) [강한 한방적 향을 낸다]
화장품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향이다. 피부에 직접 닿아 고객들에게 매우 민감한 제품이기에 향은 제품의 기능만큼이나 중요하다. 하지만 설화수는 강한 한방의 향을 내기 때문에 고객들의 호감도를 저하 시킬 수 있다.
4) [매우 제한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설화수의 주 타겟은 30대 후반 이후의 고객들이며 제품의 다양성 또한 부족하다. 한방이라는 지극히 한국적인 이미지와 함께 이러한 요소는 설화수의 이미지를 매우 제한시키고 있다. 즉 설화수는 오직 중년 여성의 기초라인 화장품이라는 이미지가 지배적인 것이다.
(3) Opportunity (기회)
1) [Well-being 족의 등장으로 인해 브랜드 인지도가 향상되고 있다]
현재의 사회적으로 웰빙을 추구하는 트렌드는 설화수는 30대 이후는 물론 20대 여성들에게까지 어필할 수 있게 만들었고 이러한 트렌드가 지속되는 한 설화수에게는 지속적인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웰빙 트렌드와 함께 고급스러운 설화수 이미지가 고객들에게 좀 더 적극적으로 어필 될 수 있을 것이다.
2) [화장품 업계의 해외시장의 진출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설화수의 국내성공 역량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의 진출을 통하여 현재의 내수 중심의 수익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설화수의 해외진출의 성공여부는 설화수의 기회 및 위협 요인으로 함께 작용할 수 있다. 한류 열풍과 함께 최근 들어 높아진 한방이나 다도문화와 같은 동양문화에 대한 관심은 국내 화장품에 대한 해외의 관심으로 이어져 해외시장 진출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국내외적으로 황진이, 주몽 등 사극 열풍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사극에 출연하는 고운 여자 연예인의 피부는 더없이 한방 화장품의 선호도를 증가 시키고 있다.
3) [신제품의 출시를 기대하는 고객들이 많다]
설화수는 메이크업 세트 출시를 시작으로 기초 화장품중심의 상품 카테고리를 색조 화장품으로까지 확대 하고 있다. 이것은 시장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는 설화수에게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때 고려해야 할 점은 기존에 외국계 회사의 다양한 색조화장품에 뒤지지 않는 제품 개발로 제품의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4) [외국 화장품과 차별화가 가능한 소재이다]
프랑스나 미국화장품의 경우 한방이라는 소재가 없다. 한방은 동양의 독특한 문화임은 틀림없다. 반면 그러한 동양적 문화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일본이나 중국의 화장품 시장은 크지 않으며, 한방화장품에 대한 수입이 우리나라에는 없다. 그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한방 화장품이라는 소재자체만으로도 외국 화장품과 차별화가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한방화장품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5) [남성들의 미용에 관한 관심도가 증대 되고 있다] 최근에는 남성들도 자신을 가꾸는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물론 피부에 대한 관심도 빠지지 않는다. 예전과는 달리 남성들이 팩을 이용하고, 기능성 화장품을 이용하는 것은 전혀 이상하게 생각되지 않는다. 설화수는 남성들이 사용하기에도 손색없는 제품이며 이미 설화수를 이용하고 있는 남성 고객층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4) Threat (위협)
1) [경쟁사들의 한방화장품 출시로 인한 시장의 경쟁과열]
현재 아모레퍼시픽의 많은 경쟁사들은 설화수의 성공에 자극 받아 경쟁적으로 한방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다. 그로인해 예전에 비해 한방화장품 시장이 많이 커진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경쟁업체들의 가격은 설화수와 비교하여 비교적 낮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에 있어서 매우 불리한 입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설 화수는 고객의 감성적 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활용해 선도기업의 위치를 고수해야 한다.
2) [대체재의 위협이 커지고 있다]
DHC와 더바디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6.12.15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9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