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근육의 종류
2. 골격근의 구조
3. 부위별 골격근들
4. 근육의 피로
2. 골격근의 구조
3. 부위별 골격근들
4. 근육의 피로
본문내용
피로해지지만 적색근은 골격근 가까운 심층부에 주로 분포하여 지속적인 동작에도 피로해지지 않고 오랫동안 수축을 계속할 수 있어 일명 자세유지근이라고도 한다. 활동은 느리지만 지속적인 자극으로 강한 수축을 일으킨다.
◈ 골격근의 일반적 기능
운동(movement) : 골격근은 수축과 이완에 의하여 운동을 가능케한다.
자세(position)의 유지 : 부분적인 수축을 지속하여 서기, 눕기, 앉기, 기대기등의 신체의 자세를 유지시킨다.
열생산(heat production) : 모든 근세포들은 이화작용을 통해 열을 생산하며,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3. 부위별 골격근들
1) 머리의 근육
머리의 근육들은 크게 나누어 두개표근, 안면근, 저작근등 3종으로 나눌 수 있다.
(1) 두개표근
두개표근(epicranius)은 2종으로 안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전두근(frontalis)은 이마와 전두부 피부의 근육으로서 전두부를 덮고 있으며, 후두근(occipitalis)은 후두부를 덮어 두피에 주름을 만들어 준다. 이들 두 근육은 두개골의 측두골과 두정골을 덮는 강력한 모상건막(aponeurosis)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두근은 눈썹을 끌어올리며 이마에 주름을 형성해준다. 주름은 근섬유의 장축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이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주름을 만들어준다.
(2) 안면근
안면근은 얼굴의 피부 밑에 있는 30여개의 작은 근육들로서 얼굴의 표정을 가능케하는 일명 표정근(mimic muscle)이다. 이들은 근막이나 뼈에서 기시하여 피부의 표피에 정지하며, 모두 안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안면근외에 근육에는 안구의 운동을 지배하는 눈의 외래근과 음식물을 씹거나 대화를 할 때 사용하는 저작근등이 있다.
◈ 눈 주변의 근육들
눈에는 시각에 관여하는 내기성 근육들과 안구의 운동을 지배하는 외기성 근육들 그리고 순목(blinking)에 관여하는 안와 주변근들이 있다. 내기성근육(intrinsic muscle)은 안구내의 평활근들로서, 동공을 싸는 동공괄약근과 동공산대근으로 구성된 홍채근과 모양체근이 있다. 이들 근육들은 평활근으로서 홍채근은 빛이 입사량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하여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며, 주변부의 산란광을 흡수하여 초점심도를 강화하는 기능을 갖지만, 모양체근은 빛의 입사량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하여 수정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얇게 하여 물체의 원근에 관계없이 빛이 망막에 상을 맺도록 해준다. 안구의 주변근으로는 안륜근과 안검근이 있다. 안륜근은 괄약근으로 상안검거근에 대한 길항근이다. 안와의 내측벽에서 기시하여 안와 주변의 피부에 윤상으로 정지하고, 안명신경의 지배를 받아 반사적으로 수축하거나 이완한다. 안륜근은 안검부와 안와부로 나누며, 안검부의 수축은 눈을 가볍게 감게 하지만 안와부 안륜근은 눈을 강하게 감게 하며, 안검부 누선을 압박하여 눈물의 분비촉진과 내안각의 누낭을 넓게 하여 눈물의 흡수를 촉진시킨다.
◈ 구강주변의 근육
구강의 주된 주변근은 구륜근(orbiculalis oris)이다. 구륜근은 괄약근으로 수축에 의해 입을 다물게 한다. 특히 내측 구륜근은 입을 가볍게 닫게 하지만, 외측 구륜근은 입을 강하게 닫게 한다. 안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이들 외에 대협골근(zygomaticus major)과 소협골근(zygomaticus minor)은 웃을 때에 작용하고, 구각하제근(depressor anguli oris)은 양측 구각부를 아래로 당겨 슬픈 표정을 짓게 한다. 미소를 지을 때는 대협골근과 소근(risorius)이 작용하지만, 슬픈표정에는 구각하제근, 입술을 내밀 때는 이근(mentalis), 공기를 저장하거나 내
◈ 골격근의 일반적 기능
운동(movement) : 골격근은 수축과 이완에 의하여 운동을 가능케한다.
자세(position)의 유지 : 부분적인 수축을 지속하여 서기, 눕기, 앉기, 기대기등의 신체의 자세를 유지시킨다.
열생산(heat production) : 모든 근세포들은 이화작용을 통해 열을 생산하며,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3. 부위별 골격근들
1) 머리의 근육
머리의 근육들은 크게 나누어 두개표근, 안면근, 저작근등 3종으로 나눌 수 있다.
(1) 두개표근
두개표근(epicranius)은 2종으로 안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전두근(frontalis)은 이마와 전두부 피부의 근육으로서 전두부를 덮고 있으며, 후두근(occipitalis)은 후두부를 덮어 두피에 주름을 만들어 준다. 이들 두 근육은 두개골의 측두골과 두정골을 덮는 강력한 모상건막(aponeurosis)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두근은 눈썹을 끌어올리며 이마에 주름을 형성해준다. 주름은 근섬유의 장축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이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주름을 만들어준다.
(2) 안면근
안면근은 얼굴의 피부 밑에 있는 30여개의 작은 근육들로서 얼굴의 표정을 가능케하는 일명 표정근(mimic muscle)이다. 이들은 근막이나 뼈에서 기시하여 피부의 표피에 정지하며, 모두 안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안면근외에 근육에는 안구의 운동을 지배하는 눈의 외래근과 음식물을 씹거나 대화를 할 때 사용하는 저작근등이 있다.
◈ 눈 주변의 근육들
눈에는 시각에 관여하는 내기성 근육들과 안구의 운동을 지배하는 외기성 근육들 그리고 순목(blinking)에 관여하는 안와 주변근들이 있다. 내기성근육(intrinsic muscle)은 안구내의 평활근들로서, 동공을 싸는 동공괄약근과 동공산대근으로 구성된 홍채근과 모양체근이 있다. 이들 근육들은 평활근으로서 홍채근은 빛이 입사량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하여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며, 주변부의 산란광을 흡수하여 초점심도를 강화하는 기능을 갖지만, 모양체근은 빛의 입사량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하여 수정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얇게 하여 물체의 원근에 관계없이 빛이 망막에 상을 맺도록 해준다. 안구의 주변근으로는 안륜근과 안검근이 있다. 안륜근은 괄약근으로 상안검거근에 대한 길항근이다. 안와의 내측벽에서 기시하여 안와 주변의 피부에 윤상으로 정지하고, 안명신경의 지배를 받아 반사적으로 수축하거나 이완한다. 안륜근은 안검부와 안와부로 나누며, 안검부의 수축은 눈을 가볍게 감게 하지만 안와부 안륜근은 눈을 강하게 감게 하며, 안검부 누선을 압박하여 눈물의 분비촉진과 내안각의 누낭을 넓게 하여 눈물의 흡수를 촉진시킨다.
◈ 구강주변의 근육
구강의 주된 주변근은 구륜근(orbiculalis oris)이다. 구륜근은 괄약근으로 수축에 의해 입을 다물게 한다. 특히 내측 구륜근은 입을 가볍게 닫게 하지만, 외측 구륜근은 입을 강하게 닫게 한다. 안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이들 외에 대협골근(zygomaticus major)과 소협골근(zygomaticus minor)은 웃을 때에 작용하고, 구각하제근(depressor anguli oris)은 양측 구각부를 아래로 당겨 슬픈 표정을 짓게 한다. 미소를 지을 때는 대협골근과 소근(risorius)이 작용하지만, 슬픈표정에는 구각하제근, 입술을 내밀 때는 이근(mentalis), 공기를 저장하거나 내
추천자료
[사회과학]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신체화장애의 원인과 치료
용도에 따른 소재조사
작업 치료의 정의와 역사, 치료방법, 우리나라의 현황, 문제점 + 나의 견해
고혈압의 예방 및 관리- 지역사회보건교육안
트레이닝 원리 및 처방 (유산소 트레이닝, 근력 트레이닝)
[스포츠마사지][스포츠마사지수기법][마사지][수기법]스포츠마사지의 기원, 스포츠마사지의 ...
스트레스에 대한 치유와 예방 그리고 건강증진을 위한 대체의학적 접근 방법
해부생리학
스포츠마사지의 역사와 효과 및 기법
[정형외과 case] Left osteoarthritis, TKR
[통증, 통증과 분자생물학, 통증과 통각계, 통증과 침술, 통증과 마사지, 심상요법, 뇌, 무기...
아기 성장 보고서
[성인간호학]호흡기내과 실습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