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제목과 부제
2. 인물 구성
3. 끝맺음:새커리 특유의 종결방식
4. 작가적 의도
III. 결 론
참고 문헌
I. 서 론
II. 본 론
1. 제목과 부제
2. 인물 구성
3. 끝맺음:새커리 특유의 종결방식
4. 작가적 의도
III.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해소시키고 잊혀지는 작품보다 불만스럽지만 인생의 진리를 예술적으로 드러내는 작품이 바로 새커리의 『허영의 시장』이라 하겠다.
그의 목적은 빅토리아 중엽의 전통적인 소설의 틀을 깨는 것이었다. 실제와는 다른 낭만적인 전제조건, 비사실적인 인물들, 박진성이 없는 플롯을 새커리는 쓸어 없애려 했던 것이다. 당시의 소설 컨벤션은 주로 출판업자에 의해 부추겨졌던 것으로 실제와는 거리가 먼 허위의 것이었다. 이 컨벤션도 다름아닌 또다른 "허영의 시장"이었다. 새커리는 이러한 문단의 허영을 고발하는 동시에 그 자리에 진실을 들어앉힌 것이다. 그러므로 새커리는 이론과 실제에서 당시의 허영의 소설 컨벤션에 정면으로 도전한 것이라 하겠다.
III. 결 론
지금까지 새커리의 『허영의 시장』을 저자의 인생논평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이 소설의 끝맺음과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디킨스는 중하층의 가난하고 불행한 인물들의 애환과 인간애를 감동적으로 그린 작가로 뭇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그에 비하여 새커리는 중상층의 부유한 인물들이 허영과 속물근성에 빠져있는 상황을 신랄하고 풍자적인 태도로 그렸다. 그러나 새커리 역시 어리석은 인물들을 따스한 온정의 시각으로 조감한 것은 사실이다. 그는 오히려 감상주의적인 눈물과 온정에 호소하기 보다는 현실 그대로를 전달하려고 노력한 작가라 하겠다. 이러한 의도에서 그는 소설의 끝맺음을 독자들이 원하는 대로의 만족스런 해피엔딩으로 만들지 않았다. 이러한 소설의 컨벤션도 그의 눈에는 하나의 허상을 추적하는 '속물근성'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그는 희극적이고 풍자적인 저널리스트적인 재능을 발휘하여 리얼리즘이란 정도에서 소설을 빗나가게 만들던 기존의 모델을 공격한 것이다. 새커리의 현존하는 권위자인 고든 레이 교수(Gordon Ray)는 "『허영의 시장』으로 인해. . . 빅토리아조 소설이 성숙에 이르렀다"(Stanford 3)고 평가했다. 새커리 자신도 "소설이란 예술은 본성(Nature)을 재현하는 것이다. 즉 실재의 정서를 될 수 있는 대로 강력하게 전달하는 것이다"(Dodds x) 라고 선언했다. 그는 『허영의 시장』에서 올바른 사실주의 소설의 진수를 내보임으로써 리얼리즘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고 보겠다.
리얼리즘은 새커리 예술이 지향한 원칙이었다. 『펜데니스』(The History of Pendennis, 1848-50)에 붙인 서문에서 새커리는 다음과 같이 당시의 '비사실주의적인' 집필 풍토에 항의했다.
톰 존스(Tom Jones)의 저자가 땅에 묻힌 이후로 우리 중 어떤 소설가도 자기의 성에 차도록 '인간'을 묘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인간에게 멋진 옷을 입히고 인습적으로 내려오는 웃음을 띠게 해야 했다. 여러분은 - 이 사실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 진짜 세상에서 돌아가고, 사회와 클럽과 학교와 식당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당신네 아들의 실제 생활과 이야기를 들을 수가 없게 되어 있다. (xviii)
당대의 '체면'과 '점잖음'을 내세우던 도덕관(Victorian respectability)은 문단의 분위기까지도 지배했던 것이다. 새커리는 그야말로 "독보적인" 직관과 재능의 소유자로 이 두터운 빅토리아조의 벽을 조금이나마 헐고 바깥세상을 보여주려 했던 것이다. 적어도 그는 자신의 독특한 혜안과 용기로서 종래의 소설 컨벤션을 답습하지 않고 필딩(Fielding)이 일찍이 『톰 존스』(Tom Jones)에서 사용한 방법 그대로를 되살리려 했다. 즉 그는 당대의 어느 소설가 보다도 인생의 진실을 독자들에게 그대로 전달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허영의 시장』은 영국 소설상 새로운 이정표가 되며 새커리는 사실주의를 다시 본궤도에 올려 놓는 일에 크게 기여했다.
참고 문헌
Bagehot, Walter. "Sterne and Thackeray," Literary Studies. London: J. M. Dent & Sons, 1911, rpnt. 1927.
Bloom, Harold. Ed. Modern Critical Views: William Makepeace Thackeray. New York: Chelsea House, 1987.
Collins, Philip. Thackerary: Interviews and Recollections. New York: St. Martin's, 1983.
Dodds, John. W. "Introduction," Vanity Fair. New York: Rinehart, 1955.
Harden, Edgar F. "William Makepeace Thackeray," Dictionary of Literary Biography. Vol. 21: Victorian Novelists Before 1885. Detroit: Gale Research, 1983, pp. 258-293.
Hardy, Barbara. The Exposure of Luxury: Radical Themes in Thackeray. London: Peter Owen, 1972.
Peters, Catherine. Thackeray's Universe. London: Faber & Faber, 1987.
Pollard, Arthur. Ed. Vanity Fair: A Selection of Critical Essays. London: Macmillan, 1978.
Stanford, Derek. W. M. Thackeray: Vanity Fair. Henry Esmond. The British Council, 1981.
Thackeray, William Makepeace. The History of Pendennis. Vol. One. London: J. M. Dent & Sons, 1913.
_________________________. Vanity Fair. New York: Rinehart, 1955.
Tillotson, Geoffrey and Donald Hawes. Eds. Thackeray: the Critical Heritag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68.
그의 목적은 빅토리아 중엽의 전통적인 소설의 틀을 깨는 것이었다. 실제와는 다른 낭만적인 전제조건, 비사실적인 인물들, 박진성이 없는 플롯을 새커리는 쓸어 없애려 했던 것이다. 당시의 소설 컨벤션은 주로 출판업자에 의해 부추겨졌던 것으로 실제와는 거리가 먼 허위의 것이었다. 이 컨벤션도 다름아닌 또다른 "허영의 시장"이었다. 새커리는 이러한 문단의 허영을 고발하는 동시에 그 자리에 진실을 들어앉힌 것이다. 그러므로 새커리는 이론과 실제에서 당시의 허영의 소설 컨벤션에 정면으로 도전한 것이라 하겠다.
III. 결 론
지금까지 새커리의 『허영의 시장』을 저자의 인생논평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이 소설의 끝맺음과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디킨스는 중하층의 가난하고 불행한 인물들의 애환과 인간애를 감동적으로 그린 작가로 뭇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그에 비하여 새커리는 중상층의 부유한 인물들이 허영과 속물근성에 빠져있는 상황을 신랄하고 풍자적인 태도로 그렸다. 그러나 새커리 역시 어리석은 인물들을 따스한 온정의 시각으로 조감한 것은 사실이다. 그는 오히려 감상주의적인 눈물과 온정에 호소하기 보다는 현실 그대로를 전달하려고 노력한 작가라 하겠다. 이러한 의도에서 그는 소설의 끝맺음을 독자들이 원하는 대로의 만족스런 해피엔딩으로 만들지 않았다. 이러한 소설의 컨벤션도 그의 눈에는 하나의 허상을 추적하는 '속물근성'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그는 희극적이고 풍자적인 저널리스트적인 재능을 발휘하여 리얼리즘이란 정도에서 소설을 빗나가게 만들던 기존의 모델을 공격한 것이다. 새커리의 현존하는 권위자인 고든 레이 교수(Gordon Ray)는 "『허영의 시장』으로 인해. . . 빅토리아조 소설이 성숙에 이르렀다"(Stanford 3)고 평가했다. 새커리 자신도 "소설이란 예술은 본성(Nature)을 재현하는 것이다. 즉 실재의 정서를 될 수 있는 대로 강력하게 전달하는 것이다"(Dodds x) 라고 선언했다. 그는 『허영의 시장』에서 올바른 사실주의 소설의 진수를 내보임으로써 리얼리즘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고 보겠다.
리얼리즘은 새커리 예술이 지향한 원칙이었다. 『펜데니스』(The History of Pendennis, 1848-50)에 붙인 서문에서 새커리는 다음과 같이 당시의 '비사실주의적인' 집필 풍토에 항의했다.
톰 존스(Tom Jones)의 저자가 땅에 묻힌 이후로 우리 중 어떤 소설가도 자기의 성에 차도록 '인간'을 묘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인간에게 멋진 옷을 입히고 인습적으로 내려오는 웃음을 띠게 해야 했다. 여러분은 - 이 사실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 진짜 세상에서 돌아가고, 사회와 클럽과 학교와 식당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당신네 아들의 실제 생활과 이야기를 들을 수가 없게 되어 있다. (xviii)
당대의 '체면'과 '점잖음'을 내세우던 도덕관(Victorian respectability)은 문단의 분위기까지도 지배했던 것이다. 새커리는 그야말로 "독보적인" 직관과 재능의 소유자로 이 두터운 빅토리아조의 벽을 조금이나마 헐고 바깥세상을 보여주려 했던 것이다. 적어도 그는 자신의 독특한 혜안과 용기로서 종래의 소설 컨벤션을 답습하지 않고 필딩(Fielding)이 일찍이 『톰 존스』(Tom Jones)에서 사용한 방법 그대로를 되살리려 했다. 즉 그는 당대의 어느 소설가 보다도 인생의 진실을 독자들에게 그대로 전달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허영의 시장』은 영국 소설상 새로운 이정표가 되며 새커리는 사실주의를 다시 본궤도에 올려 놓는 일에 크게 기여했다.
참고 문헌
Bagehot, Walter. "Sterne and Thackeray," Literary Studies. London: J. M. Dent & Sons, 1911, rpnt. 1927.
Bloom, Harold. Ed. Modern Critical Views: William Makepeace Thackeray. New York: Chelsea House, 1987.
Collins, Philip. Thackerary: Interviews and Recollections. New York: St. Martin's, 1983.
Dodds, John. W. "Introduction," Vanity Fair. New York: Rinehart, 1955.
Harden, Edgar F. "William Makepeace Thackeray," Dictionary of Literary Biography. Vol. 21: Victorian Novelists Before 1885. Detroit: Gale Research, 1983, pp. 258-293.
Hardy, Barbara. The Exposure of Luxury: Radical Themes in Thackeray. London: Peter Owen, 1972.
Peters, Catherine. Thackeray's Universe. London: Faber & Faber, 1987.
Pollard, Arthur. Ed. Vanity Fair: A Selection of Critical Essays. London: Macmillan, 1978.
Stanford, Derek. W. M. Thackeray: Vanity Fair. Henry Esmond. The British Council, 1981.
Thackeray, William Makepeace. The History of Pendennis. Vol. One. London: J. M. Dent & Sons, 1913.
_________________________. Vanity Fair. New York: Rinehart, 1955.
Tillotson, Geoffrey and Donald Hawes. Eds. Thackeray: the Critical Heritag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68.
키워드
추천자료
- WTO의 환경상품과 환경서비스 협상 논의 현황과 대응
- [독후감] 객주(김주영) - 4편짜리입니다~
- 사회복지와 복지국가
- 기호학과 광고, 문학과의 관련성
- [책요약]기획의 99%는 컨셉이다(탁정언 지음)
- [소비자행동, 소비자행동론] 소비자행동론 핵심정리 노트 - 모델링, 모티베이션, Learning, P...
- [세계화] 세계화의 개념, 특징 및 이론적 비판
- 유럽통합
- 광주 김치축제 활성화 방안
- M&A 주요유형과 적대적M&A를 방어하는 전략
- 행정 시험 요약
- 우리나라 골프장 산업의 현황 및 발전 전략
- 패션리테일링앤머천다이징=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무점포 소매업 중에서 인터넷 쇼핑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