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자유낙하와 무중력상태
1. 엘리베이터에 줄이 끊어져 있다고 가정하면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다.(공기 저항 없을 때)
2. 자유낙하하는 물컵도 무중력 상태에 있다.
3. 자유낙하는 아니지만 무중력 상태의 사례
Ⅱ. 360도로 회전하는 롤러코스터
Ⅲ. 요요의 원리
Ⅳ. 자동차안전장치와 충격량
Ⅴ. 시소와 지레의 원리
Ⅵ.미끄럼틀
Ⅶ. 일명 바나나킥이라 말하는 축구이야기
1. 엘리베이터에 줄이 끊어져 있다고 가정하면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다.(공기 저항 없을 때)
2. 자유낙하하는 물컵도 무중력 상태에 있다.
3. 자유낙하는 아니지만 무중력 상태의 사례
Ⅱ. 360도로 회전하는 롤러코스터
Ⅲ. 요요의 원리
Ⅳ. 자동차안전장치와 충격량
Ⅴ. 시소와 지레의 원리
Ⅵ.미끄럼틀
Ⅶ. 일명 바나나킥이라 말하는 축구이야기
본문내용
자연과학의 이해(물리) 주제 : 역학과 관련된 현상
Ⅰ. 자유낙하와 무중력상태
1. 엘리베이터에 줄이 끊어져 있다고 가정하면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다.(공기 저항 없을 때)
◎ 보통 바닥위에 서 있는 상태와 무중력 상태의 비교
1) 보통
바닥위에 서 있는 경우 우리 몸엔 중력이 작용하고 그로 인해 우리는 바닥면은 누르게 되며 누르는 힘의 반작용인 수직항력이 몸에 작용한다.
참고) 우리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평형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잇는데, 그것은 몸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0’일 때이다. 몸에 힘이 가해지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몸은 움직이게 되어있다. 모든 것에 일정한 힘을 가해주면 움직이게 마련이므로 지구상의 모든 물체는 항상 지구의 인력, 즉 중력을 받고 있다. 중력이 있으므로 우리는 땅에 발을 디디고 사는 것이고, 사과가 나무에서 떨어질 때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우리 몸도 중력의 힘을 받고 있는데, 따라서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중력과 같은 힘의 수직항력이 작용하여 알짜힘이 ‘0’이 되면서 몸이 움직이지 않고 평형상태에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우리몸에 중력만 작용한다면 땅 위에 서있지 못하고 땅 밑까지 파고 들어갈 것이다.
① 우리 몸엔 중력과 수직항력이 작용한다.
② 중력과 수직항력은 평형 관계이다.
③ 우리 몸은 ‘짜부러지는’ 느낌을 받는다. (증거 : 밤이 되면 키가 줄어들어 있다.)
④ 저울이 측정하는 무게, 즉 누르는 힘의 크기는 중력과 같다.
2) 엘리베이터가 자유낙하하는 경우
우리 몸엔 중력이 작용한다.
바닥면과 몸이 나란히 자유낙하한다.
자유낙하의 특성상 몸의 속력과 바닥면의 속력이
항상 같으므로, 바닥면을 누르는 힘=0이다.
① 우리 몸엔 중력만 작용한다.
② 누르는 힘=0이므로 그 반작용인 수직항력=0이다.
③ 우리 몸은 붕 떠있는 느낌을 받는다. (예) 자이로드롭, 바이킹의 양끝 부분 등
④ 저울이 측정하는 무게, 즉 누르는 힘의 크기는 0이다. (저울의 눈금=0)
2. 자유낙하하는 물컵도 무중력 상태에 있다.
평소에는 컵에 담긴 물에 중력과 수직항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짜부러지는 효과’ 때문에 물이 옆으로 새나오지만, 컵이 자유낙하를 시작하면 (엘리베
Ⅰ. 자유낙하와 무중력상태
1. 엘리베이터에 줄이 끊어져 있다고 가정하면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다.(공기 저항 없을 때)
◎ 보통 바닥위에 서 있는 상태와 무중력 상태의 비교
1) 보통
바닥위에 서 있는 경우 우리 몸엔 중력이 작용하고 그로 인해 우리는 바닥면은 누르게 되며 누르는 힘의 반작용인 수직항력이 몸에 작용한다.
참고) 우리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평형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잇는데, 그것은 몸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0’일 때이다. 몸에 힘이 가해지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몸은 움직이게 되어있다. 모든 것에 일정한 힘을 가해주면 움직이게 마련이므로 지구상의 모든 물체는 항상 지구의 인력, 즉 중력을 받고 있다. 중력이 있으므로 우리는 땅에 발을 디디고 사는 것이고, 사과가 나무에서 떨어질 때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우리 몸도 중력의 힘을 받고 있는데, 따라서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중력과 같은 힘의 수직항력이 작용하여 알짜힘이 ‘0’이 되면서 몸이 움직이지 않고 평형상태에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우리몸에 중력만 작용한다면 땅 위에 서있지 못하고 땅 밑까지 파고 들어갈 것이다.
① 우리 몸엔 중력과 수직항력이 작용한다.
② 중력과 수직항력은 평형 관계이다.
③ 우리 몸은 ‘짜부러지는’ 느낌을 받는다. (증거 : 밤이 되면 키가 줄어들어 있다.)
④ 저울이 측정하는 무게, 즉 누르는 힘의 크기는 중력과 같다.
2) 엘리베이터가 자유낙하하는 경우
우리 몸엔 중력이 작용한다.
바닥면과 몸이 나란히 자유낙하한다.
자유낙하의 특성상 몸의 속력과 바닥면의 속력이
항상 같으므로, 바닥면을 누르는 힘=0이다.
① 우리 몸엔 중력만 작용한다.
② 누르는 힘=0이므로 그 반작용인 수직항력=0이다.
③ 우리 몸은 붕 떠있는 느낌을 받는다. (예) 자이로드롭, 바이킹의 양끝 부분 등
④ 저울이 측정하는 무게, 즉 누르는 힘의 크기는 0이다. (저울의 눈금=0)
2. 자유낙하하는 물컵도 무중력 상태에 있다.
평소에는 컵에 담긴 물에 중력과 수직항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짜부러지는 효과’ 때문에 물이 옆으로 새나오지만, 컵이 자유낙하를 시작하면 (엘리베
추천자료
열섬 현상
'명품선호현상'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콘크리트의 열화현상에 관해
왕따 현상의 이해 및 한국적 특수성 고찰- 한국의 집단적 폐쇄주의 문화와 왕따의 상관관계분석
원순모음화 현상의 순음자질과 음운자질상의 과정
소득 양극화 현상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연구(한국사회문제)
청소년 따돌림 현상과 극복
도시 열섬현상 저감 사례 및 계획
핵폐기장 건설과 님비현상
한국사회의 양극화현상에 관한 완벽 고찰(가계평균수입부문)
신조어에서 나타나는 음운현상분석, 신조어 사례분석, 신조어의 개념과 발생원인, 국어의 전...
한국 속 태류현상
영국의 다문화 현상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 나라가 최근 취하고 있는 다문화 정책에 대해서도 ...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