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탈춤 (가면극)
1. 탈춤의 기원
(1) 산대희 기원설
(2) 산대도감극계통설
(3) 기악 기원설
(4) 풍농굿 기원설
(5) 무굿 기원설
2. 탈춤의 지역적 분포와 특징
(1) 서울, 경기도의 산대놀이
(2) 황해도의 탈춤
(3) 경상남도의 야류와 오광대
(4) 경상북도의 하회별신굿탈놀이
(5) 강원도의 강릉관노가면극
(6) 함경남도의 북청사자놀음
(7) 남사당패의 덧뵈기
3. 탈춤에 내포된 사상
(1) 사회적 측면
(2) 예술적 측면
Ⅱ. 꼭두각시놀음
1. 꼭두각시놀음의 기원
(1) 외래 기원설
(2) 자생설
2. 꼭두각시놀음의 계통
(1) <괴뢰붕><괴뢰부><남성관희자> 계통
(2) 남사당패 계통
3. 꼭두각시놀음의 시대별 발전 양상
(1) 삼국(고구려)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1. 탈춤의 기원
(1) 산대희 기원설
(2) 산대도감극계통설
(3) 기악 기원설
(4) 풍농굿 기원설
(5) 무굿 기원설
2. 탈춤의 지역적 분포와 특징
(1) 서울, 경기도의 산대놀이
(2) 황해도의 탈춤
(3) 경상남도의 야류와 오광대
(4) 경상북도의 하회별신굿탈놀이
(5) 강원도의 강릉관노가면극
(6) 함경남도의 북청사자놀음
(7) 남사당패의 덧뵈기
3. 탈춤에 내포된 사상
(1) 사회적 측면
(2) 예술적 측면
Ⅱ. 꼭두각시놀음
1. 꼭두각시놀음의 기원
(1) 외래 기원설
(2) 자생설
2. 꼭두각시놀음의 계통
(1) <괴뢰붕><괴뢰부><남성관희자> 계통
(2) 남사당패 계통
3. 꼭두각시놀음의 시대별 발전 양상
(1) 삼국(고구려)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본문내용
이 포함된 사실은 이규보의 시 <부답병서>, <관롱환유작>
※ 참고문헌
전경욱,《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04.
전경욱,《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열화당, 1998.
서연호,《꼭두각시놀음의 역사와 원리》, 연극과인간, 2001.
서연호,《한국 가면극 연구》, 월인, 2002.
를 참고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이밖에도 과거에 등극한 것을 축하할 때 잡희가 공연 된 사례를 볼 수 있다. 또한 인형극 공연뿐만 아니라 각양각색의 인형을 새롭게 만들어 식전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것이 통례였다.
전국을 유랑하는 꼭두각시놀음패(수척, 재인), 각종 공사의식에서 연희하는 전문 꼭두각시놀음패, 사찰에서 기악의 일종으로 연희했던 꼭두각시놀음패가 각기 존재하였다.
(3) 조선시대
전기 : 산대희 공연 중 꼭두각시놀음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잡희를 행했다.
후기 : 인형사들의 조정기술이 매우 세련되고, 인형의 종류나 제작기능 역시 우수했다. 인형의 생김새를 볼 때 고대적 종교성과 주술성이 18세기 후반까지 전승되고 있었음을 가늠케 한다. 조선후기 사회 경제의 혼란과 모순으로 대량의 유민이 발생하였고, 그 중 일부가 인형극단을 결성하여 생계를 이어온 것으로 보인다.
※ 참고문헌
전경욱,《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04.
전경욱,《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열화당, 1998.
서연호,《꼭두각시놀음의 역사와 원리》, 연극과인간, 2001.
서연호,《한국 가면극 연구》, 월인, 2002.
를 참고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이밖에도 과거에 등극한 것을 축하할 때 잡희가 공연 된 사례를 볼 수 있다. 또한 인형극 공연뿐만 아니라 각양각색의 인형을 새롭게 만들어 식전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것이 통례였다.
전국을 유랑하는 꼭두각시놀음패(수척, 재인), 각종 공사의식에서 연희하는 전문 꼭두각시놀음패, 사찰에서 기악의 일종으로 연희했던 꼭두각시놀음패가 각기 존재하였다.
(3) 조선시대
전기 : 산대희 공연 중 꼭두각시놀음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잡희를 행했다.
후기 : 인형사들의 조정기술이 매우 세련되고, 인형의 종류나 제작기능 역시 우수했다. 인형의 생김새를 볼 때 고대적 종교성과 주술성이 18세기 후반까지 전승되고 있었음을 가늠케 한다. 조선후기 사회 경제의 혼란과 모순으로 대량의 유민이 발생하였고, 그 중 일부가 인형극단을 결성하여 생계를 이어온 것으로 보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