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화]일본의 식사예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문화]일본의 식사예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식의 역사

2. 일본 요리의 특색

3. 일본의 식사예절법
1) 일본 식사 예절의 특징
2) 식사 중의 예절

4. 일본의 차 문화
1) 차의 종류
2) 다회
3) 차 예절
4) 우스챠(연한 차) 마시는 법

5. 한일 식생활 문화의 변천사
1) 한국의 식생활 문화의 변천사
2) 일본의 식생활 문화의 변천사
3) 한국의 식생활문화의 특징
4) 일본 식생활문화의 특징
5) 일본과 한국의 대표적 음식비교

6. 결 론

본문내용

해야 한다. 또 제공되는 음식에 대해서는 요리를 만드는 사람과 요리를 서비스하는 사람에게, 또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자신의 건강에 대해서도 감사의 마음을 갖는 정적인 정서가 바로 일본요리의 기본 식사 예절이라고 할 수 있다.
2) 식사 중의 예절
(1) 자세를 바르게 하고 음식 먹는 소리를 나지 않도록 하며, 밥, 국, 차등 작은 접시에 담은 음식은 왼손으로 들어서 입 가까이 대고 먹는다. 그릇에 작은 양을 담기 때문에 밥이나 국은 세 번까지 요구해도 된다. 그리고 지나치게 소리를 내지 않도록 유의하고 작은 접시에 덜어다 먹는다.
▼ 음식을 덜어 먹을 때
음식이 큰 접시에 담겨있을 때 각개인 접시로 덜어내는 데에 사용하는 전용젓가락을 사용한다. 전용젓가락이 없을 경우에는 개인젓가락의 방향을 거꾸로 바꿔 사용한다. 자기 입에 닿았던 부분으로 공용음식에 손대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 밥을 먹을 때
전채 요리를 먹은 후에 밥을 먹는다.
밥공기는 양손으로 들어 왼손에 놓고 오른손으로 먹는다.
식사시에 밥공기는 거의 사기그릇이다.
한국의 경우처럼 식탁에 놓은 채 떠먹는 경우는 없다.
반드시 왼손에 들고 먹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다.
엄지손가락을 밥공기 가장자리에 고정시켜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나머지 손가락들은 가지런히 모아서 펴서 그 한가운데에 밥공기 바닥이 오도록 쥐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밥은 작은 공기에 두세번 정도 먹고 더 먹고싶다면 조금 남긴다.
한 그릇만 먹으면 실례다. 한번만으로는 인연이 끊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2) 회는 나눔 젓가락으로 접시의 가장 자리에 담긴 것부터 개인 접시에 덜어 자신의 젓가락을 사용해 먹도록 한다. 차를 마실 때에는 찻잔을 두 손으로 들어 왼손으로는 찻잔을 받치고 오른손으로 찻잔을 쥐고 마신 다음 뚜껑을 다시 덮는다.
(3) 식사는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행사이므로 같이 시작하여 같이 끝나도록 시간을 배려 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돠 자연스레 이야기 하지만 음식물이 입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과 재채기, 하품 등은 금물이다.
(4) 일본의 식사 예절은 어느 나라 보다도 엄격하고 복잡하다. 식사하기 전에 반드시 잘 먹겠다는 인사를 하고 젓가락을 들어야 한다. 식사 전에 나오는 물수건은 손이나 입술등 식사을 할 때 필요한 부위만 가볍게 닦는 것이므로 얼굴이나 목 등 너무 많은 곳을 닦는 것은 보기도 불결하며 실례가 된다.
(5) 일본음식은 섞지 말고 먹어야한다. 일본요리는 그 모양을 중시하는 탓에서 섞어서먹는 습관이 없다.
(6) 젓가락에서 젓가락으로 음식을 옮기는 것은 금기이다.
▼ 젓가락
젠이라고 불리우는 일본식 상차림에서 음식을 먹을 때는 젓가락만으로 먹는다. 젓가락으로 먹기 불편한 닭고기, 게, 죽, 오므라이스, 카레 볶음밥 등은 손이나 숟가락으로 먹어도 된다. 흔히 젓가락은 대나무로 만든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정에서는 대개 검정색은 아버지용이고 빨간색은 엄마용 이란씩으로 개인젓가락을 정해두고 사용하고 있다. 손님을 대접할때는 1회용 나무젓가락을 내놓는 것이 보통이다. 1회용이므로 청결할 뿐만 아니라 설겆이도 간단하기 때문이다.
▼ 젓가락 받침대
식사 중에 젓가락을 잠시 내려놓을 경우 젓가락받침대가 있으면 젓가락 아래쪽 부분을 그 받침대에 올려놓는다. 또 젓가락을 세로가 아닌 가로로 놓는다. 젓가락을 놓는 방법도 한국과는 달리 가로로 놓는다.
▼ 젓가락 사용 문화
젓가락은 음식을 먹기 위한 도구의 의미는 물론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생일 잔치나 생후 120일째 되는 아기에게 처음으로 밥을 먹이는 의식을 치를 때는 버드나무 젓가락을, 음력 칠월과 구월 14일날 밤에 달구경을 하는 달맞이 잔치 때는 싸리나무 젓가락으로 경단을 집어 먹는다. 또, 음력 6월 말일에는 \'새 젓가락 축하식\', \'푸른 젓가락 의식\' 이라 해서 비자나무 젓가락을 신전에 바치는 풍속이 있었다고 한다. 음식을 먹을 때는 자신의 그릇에 덜어 먹는데 공통으로 사용하는 젓가락이나 국자가 없으면 자신이 사용하던 젓가락 중 입을 대지 않은 뒷부분을 사용한다.
○ 淚橋(なみだばし나미다바시):젓가락으로 음식을 집을 때 젓가락 끝에서 국물이 흐르는 것.
○ ねぶり橋(ばし,네부리바시):젓가락 끝을 핥는 것
○ ほとけ橋(ばし,호도케바시):밥에 젓가락을 세우는 것
○ さし橋(はし,사시하시):음식을 젓가락으로 찌르는 것
○ 拾(ひろ)い橋(ばし,히로이바시):젓가락과 젓가락 사이로 음식을 전달하는 것
○ 書(か)き(こ)み橋(ばし,카기코미바시):그릇에 입을 대고 급히 먹는 것
○ せせり橋(ばし,세세리 바시):젓가락 끝을 이쑤시개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
○ 橫橋(よこばし,요코바시):숟가락과 같이 건져 올리는 것
○ さぐり橋(ばし,사구리바시):그릇 안데 있는 음식을 젓가락으로 들추는 것
○ よせ橋(ばし,요네바시):멀리 있는 그릇을 젓가락 끝으로 당겨 오는 것
○ 渡し橋(わたしばし,와타시바시):그룻 위에 젓가락을 걸쳐 놓는 것
○ 迷(まよ)い橋(ばし마요이바시):어떤 걸 먹을 까 접시 위에서 젓가락을 여기저기 헤집는 것
▼ 일본젓가락의 금지된 매너
사시바시: 젓가락으로 요리를 푹 찌른다.
너미다바시: 젓가락에서 국을 뚝뚝 흘린다.
카키바시: 밥공기의 테두리에 입을 붙여 젓가락으로 막 넣는다.
코미바시: 젓가락으로 입에 밀어 넣는다.
내부리바시: 젓가락을 입에 넣어 핥는다.
니기리바시: 쥐어잡는다. 공격의 의미를 부여한다.
요세바시: 젓가락으로 멀리 잇는 그릇을 가까이 당긴다.
와타바시: 젓가락을 쉬게 할때 밥공기등의 위에 건네둔다.
타타카바시: 그릇을 두드려 사람을 부르거나 재촉한다.
마요이바시(요리를 잡는데 금방 다른 요일로 바꾼다)
사구리바시(국물등을 섞어 알맹이를 탐색한다.)
우쯔리바시(하나의 요리를 먹은후 즉시 다른요리를 먹는다)
오쿄바시(두개 합쳐서 숟가락과 같이 음식을 퍼낸다)등 젓가락의 금지 매너는 많다.
▼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는다.
숟가락은 젓가락으로 집을수 없는 죽이나 오므라이스, 카레, 볶음밥을 먹을 때만 사용한다.
▼ 음식 먹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2.14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