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Patients and Methods
1. 질문지
2. 진행과정
3. 조사대상
4. reference population
5. 통계
Ⅱ. Results
1. 아동
2. 청소년
3. 부모
4. 간병인
Ⅲ. Discussion
Ⅳ. Conclusion
Ⅴ. Article에 대한 비판 및 제언
1. 질문지
2. 진행과정
3. 조사대상
4. reference population
5. 통계
Ⅱ. Results
1. 아동
2. 청소년
3. 부모
4. 간병인
Ⅲ. Discussion
Ⅳ. Conclusion
Ⅴ. Article에 대한 비판 및 제언
본문내용
장기이식 직전과 직후에 이루어지는 부모에 대한 심리적 지원뿐만 아니라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Ⅳ. Conclusion
그동안 성인에 있어서 장기이식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접근을 통해서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에서는 장기이식 아동들 사이에서 이와 같은 영향이 현실임을 그들의 관점에서 측정하였다. 부모와 간병인에게서는 대부분의 만성적 질병에서 나타나는 비슷한 점들을 찾을 수 있었다. 몇몇은 사회적인 성장을 방해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이미 계획된 것들이 있을 것이다.(부모와 자녀의 대화, 아동들의 사회적 경험 지원, 아동을 위한 심리적 원조 등)
이 횡단 연구는 환자 수가 제한적 이어서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장기이식 아동과 청소년의 삶의 질에 대한 가설과 제안들이 후속적으로 연구될 것이다.
Ⅴ. Article에 대한 비판 및 제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 연구의 목적에 대해 자의적인 해석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reference population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 장기이식 아동, 청소년의 만족도와 비교한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
caregiver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일 수도 있지만 대상선정에 있어서 신장이식 관련된 대상자들만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논문에서도 한계점으로 지적되었고 연구 결과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caregiver의 연구보고는 전체 논문의 흐름을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장기이식 청소년의 이식 시기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아동기에 이식을 받은 청소년과 청소년기에 이식을 받은 청소년의 차이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연구 결과를 보면 장기이식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이식수술을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사이에 차이가 크지 않지만 청소년기가 되면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장기이식 아동에 대한 개입을 통해 청소년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논문의 논의점에서 어머니의 well-being은 아동의 well-being과 관련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심리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장기이식 자녀를 가진 부모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면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심리적 지원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지원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Ⅳ. Conclusion
그동안 성인에 있어서 장기이식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접근을 통해서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에서는 장기이식 아동들 사이에서 이와 같은 영향이 현실임을 그들의 관점에서 측정하였다. 부모와 간병인에게서는 대부분의 만성적 질병에서 나타나는 비슷한 점들을 찾을 수 있었다. 몇몇은 사회적인 성장을 방해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이미 계획된 것들이 있을 것이다.(부모와 자녀의 대화, 아동들의 사회적 경험 지원, 아동을 위한 심리적 원조 등)
이 횡단 연구는 환자 수가 제한적 이어서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장기이식 아동과 청소년의 삶의 질에 대한 가설과 제안들이 후속적으로 연구될 것이다.
Ⅴ. Article에 대한 비판 및 제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 연구의 목적에 대해 자의적인 해석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reference population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 장기이식 아동, 청소년의 만족도와 비교한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
caregiver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일 수도 있지만 대상선정에 있어서 신장이식 관련된 대상자들만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논문에서도 한계점으로 지적되었고 연구 결과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caregiver의 연구보고는 전체 논문의 흐름을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장기이식 청소년의 이식 시기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아동기에 이식을 받은 청소년과 청소년기에 이식을 받은 청소년의 차이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연구 결과를 보면 장기이식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이식수술을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사이에 차이가 크지 않지만 청소년기가 되면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장기이식 아동에 대한 개입을 통해 청소년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논문의 논의점에서 어머니의 well-being은 아동의 well-being과 관련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심리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장기이식 자녀를 가진 부모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면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심리적 지원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지원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장애인의 고민 영역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등록장애인을 중심으로
- 줄기세포연구
- [사회복지]장기 매매에 관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
- 한국의 ‘세포혁명’ 황우석 교수
- OR case -Skin graft
- 급성백혈병의 임상소견 및 치료방법
- 신장(腎臟)에 대한 이해와 신장염 및 신부전 관리 치료.예방
- [간암][간암 원인][간암 증상][간암 임상증상][간암 진단][간암 치료][간암 간호][간암 예방]...
- 간암 문헌고찰
- kidney transplantation
- 세포배양 방법론과 적용분야
- [간병, 간병 개념, 사회적 간병, 유료간병소개소, 간병 외국사례, 간병 개선방안, 간병보험, ...
- 인간배아연구와 체외수정을 중심으로 본 여성인권 (과학기술 패미니즘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