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서장애아의 놀이 치료>
ꁋ놀이란,
ꁋ놀이치료의 효과
ꁋS. Freud
ꁋHug-Hellmuth
ꁋAxline(1969)
ꁋ우리나라의 놀이치료 사업
ꁋ놀이 치료의 세가지 접근 방법(Guerney, 1984)
ꁋ본절에서는 Guerney의 분류기준에 따른 놀이치료 유형으로 소개함.
②지시적 놀이치료(directive play therapy)
ꁋ지시적 놀이치료란,
ꁋAllen(1934) 지시적 놀이치료를 두가지 접근법으로 분류함.
내용중심의 치료
상호관계의 치료
(1)내용중심의 치료
ꊱ정신분석학적 놀이 치료(psychoanalytic play therapy)
ꁋ<대표적인 학자>-(두 학자는 다소간의 차이를 보임)
Klein
A. Freud
≪Klein vs A. Freud≫
ꊲ이완 놀이 치료 (release therapy)
-Levy(1932
*한편, Hambridge는
ꊳ상호 이야기 꾸미기 기법(mutual storytelling technique)
-Gardner(1971)
ꁋ치료기법
ꊴ의상 놀이 치료(costume play therapy)
-Marcus(1966)
ꁋ이 놀이 치료법
(2)상호 관계 중심의 치료.
ꊱ자극치료(therapy)
-Jernberg
ꁋ감각 경험의 결핍
ꁋ자극 치료법
ꊲ공정 놀이 치료(=치료자 동참 놀이)(fair play therapy)
-Peoples(1979)
ꁋ공정놀이 치료법
ꁋ치료자의 역할
ꊳ행동주의적 접근법(behavioral approach)
ꁋ행동주의적 접근법이란?
ꁋKoegel, Fireston Kramme & Dunlap
ꁋ놀이란,
ꁋ놀이치료의 효과
ꁋS. Freud
ꁋHug-Hellmuth
ꁋAxline(1969)
ꁋ우리나라의 놀이치료 사업
ꁋ놀이 치료의 세가지 접근 방법(Guerney, 1984)
ꁋ본절에서는 Guerney의 분류기준에 따른 놀이치료 유형으로 소개함.
②지시적 놀이치료(directive play therapy)
ꁋ지시적 놀이치료란,
ꁋAllen(1934) 지시적 놀이치료를 두가지 접근법으로 분류함.
내용중심의 치료
상호관계의 치료
(1)내용중심의 치료
ꊱ정신분석학적 놀이 치료(psychoanalytic play therapy)
ꁋ<대표적인 학자>-(두 학자는 다소간의 차이를 보임)
Klein
A. Freud
≪Klein vs A. Freud≫
ꊲ이완 놀이 치료 (release therapy)
-Levy(1932
*한편, Hambridge는
ꊳ상호 이야기 꾸미기 기법(mutual storytelling technique)
-Gardner(1971)
ꁋ치료기법
ꊴ의상 놀이 치료(costume play therapy)
-Marcus(1966)
ꁋ이 놀이 치료법
(2)상호 관계 중심의 치료.
ꊱ자극치료(therapy)
-Jernberg
ꁋ감각 경험의 결핍
ꁋ자극 치료법
ꊲ공정 놀이 치료(=치료자 동참 놀이)(fair play therapy)
-Peoples(1979)
ꁋ공정놀이 치료법
ꁋ치료자의 역할
ꊳ행동주의적 접근법(behavioral approach)
ꁋ행동주의적 접근법이란?
ꁋKoegel, Fireston Kramme & Dunlap
본문내용
참여하여 어떤 때는 놀이를 이끌어 가고, 어떤 때는 수동적으로 따라가며, 때에 따라서는 관찰자, 해석자의 입장을 요구.
행동주의적 접근법(behavioral approach)
-행동수정이론으로 놀이상황에서 어린이의 부적절한 행동은 소멸, 바람직한 행동은 강화해 주는 것.
치료의 초점을 적절한 대인 반응과 통제에 둬야 하며, 치료자는 놀이 상황에서 바람직한 행동의 시범을 보인다.
Koegel, Fireston Kramme & Dunlap, (1974)은 자기자극(self-stimulatory)증상을 보이는 자폐증 어린이들을 다양한 놀이 감이 제공된 놀이 방에서 놀게 한 후, 어린이가 자극 반응을 보이면안 돼라고 말하거나 찰싹 때려 주었더니 이런 반응이 점차 소멸되고 자발적인 놀이행동이 증가되었다고 함.
행동주의적 접근법(behavioral approach)
-행동수정이론으로 놀이상황에서 어린이의 부적절한 행동은 소멸, 바람직한 행동은 강화해 주는 것.
치료의 초점을 적절한 대인 반응과 통제에 둬야 하며, 치료자는 놀이 상황에서 바람직한 행동의 시범을 보인다.
Koegel, Fireston Kramme & Dunlap, (1974)은 자기자극(self-stimulatory)증상을 보이는 자폐증 어린이들을 다양한 놀이 감이 제공된 놀이 방에서 놀게 한 후, 어린이가 자극 반응을 보이면안 돼라고 말하거나 찰싹 때려 주었더니 이런 반응이 점차 소멸되고 자발적인 놀이행동이 증가되었다고 함.
추천자료
(놀이치료) 관계놀이치료(Filial Therapy)
놀이치료의 방법
인지행동놀이치료
뇌성마비의 정의, 뇌성마비의 원인, 뇌성마비의 분류, 뇌성마비아의 발달특성, 뇌성마비아 시...
[부적응행동치료][문제행동]아동부적응행동의 원인과 아동부적응행동의 사례 및 아동부적응행...
[놀이지도] 조작놀이에 대해 서술하고, 놀이치료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서술.
놀이치료
[물리치료에 심리적인 치료] 놀이치료 [Play Therapy]에 관해
[놀이지도] 놀이치료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전통놀이 프로그램, 생태 프로그램, 치료놀이 프로그램의 개념, 철학, 배경, 원리, 방법정리
아동 놀이치료 : 학령기 이전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