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무속 신앙의 기원과 역사
본 론
ⅰ 한국의 무속신앙의 분류
ⅱ 굿의 종류
ⅲ 무속의 제의
ⅳ 굿의 절차와 구성
결 론
-한국의 무속신앙에 대한 짧은 생각
-무속 신앙의 기원과 역사
본 론
ⅰ 한국의 무속신앙의 분류
ⅱ 굿의 종류
ⅲ 무속의 제의
ⅳ 굿의 절차와 구성
결 론
-한국의 무속신앙에 대한 짧은 생각
본문내용
온갖 조바심을 내게 된다. 굿비용을 적절히 분배하여 모든 제물을 정성껏 준비하고, 지화와 신복등 굿에 필요한 물건들을 챙기며, 굿에 필요한 다른 무당들과 잽이들의 섭외도 하여 굿을 준비하게 되는것이다.
굿당일이 되면 준비된 재물로 굿상을 괴고 모든 지화와 번들이 배설되며, 웅장하고도 보기좋게 장엄하여 신을 모실 굿청이 만들어지면 드디어 굿판이 벌어지게 되는것이다.
굿은 통상적으로 열두거리라하여 전 과장이 열두개의 과장으로 나뉘어져있다.
각 거리마다 모셔지는 신이 다르며, 한 거리 한 거리 진행되어짐에 따라 결국은 무속에서 모시는 모든 신들이 행해지는 굿판에 참여하게 된다.
각 거리의 구성을 대체적으로 살펴보면 해당신을 굿에 청하여 드리는 청신과정, 청해온 신을 가무로 즐겁게 해드리는 가무오신과정, 초청된 신이 무에게 내려 공수라는 신의 의사전달을 보는 신청과정, 굿에 초청된 신들을 돌려보내는 송신과정등으로 짜여져있다.
모든 과정에 천지인에 해당하는 삼신신앙이 내포되어 있으며, 화려한 신복과 구성진 사설, 그리고 흥미와 감동을 일으키는 신화들이 포함되어져 있다.
단군신화에서 기원하는 한국의 민족전통 예술이 굿이라는 신앙을 통해 구현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 론
한국 토착신앙으로써의 무속신앙(巫俗信仰)이 기독교에 끼친 영향은 성령 운동 및 새 시대(New age)운동과 결부시켜 보면 실로 지대하다
일반적으로 한국 무속신앙 (巫俗信仰)은 시베리아 일대에서 성행된 무속신앙(巫俗信仰)과 비슷한 현상을 가지고 있다고 하나 (Kim Yolkyu, Studies on Korean Myth and Shamanism, Seoul: IL cho-kak, 1977, 267),엄밀한 의미에서는 히브리 문명을 제외한 고대문명 어느곳도 무속신앙(巫俗信仰)을 완전히 탈피한 곳은 없다. 최근 학자들은 아프리카나 남미 북미 등에도 무속신앙(巫俗信仰)이 대단히 성행하고 있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그 예중에 미국에서의 부두교와 남미의 여러 무속신앙은 그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오랜 역사와 더불어 세계 각지에서 성행하는 무속 신앙이 요즘은 바쁜 현대인들의 생활속에서 한국 전통 예술과 신앙의 결합된 무속신앙이 사라져 가며 현존하는 무속신앙 조차 그 과정들이 축소되고 변형되어 많이 훼손되었으며, 그 본질이 훼손되고 사라져 가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태곤 / 한국의 무속 / 대원사
굿당일이 되면 준비된 재물로 굿상을 괴고 모든 지화와 번들이 배설되며, 웅장하고도 보기좋게 장엄하여 신을 모실 굿청이 만들어지면 드디어 굿판이 벌어지게 되는것이다.
굿은 통상적으로 열두거리라하여 전 과장이 열두개의 과장으로 나뉘어져있다.
각 거리마다 모셔지는 신이 다르며, 한 거리 한 거리 진행되어짐에 따라 결국은 무속에서 모시는 모든 신들이 행해지는 굿판에 참여하게 된다.
각 거리의 구성을 대체적으로 살펴보면 해당신을 굿에 청하여 드리는 청신과정, 청해온 신을 가무로 즐겁게 해드리는 가무오신과정, 초청된 신이 무에게 내려 공수라는 신의 의사전달을 보는 신청과정, 굿에 초청된 신들을 돌려보내는 송신과정등으로 짜여져있다.
모든 과정에 천지인에 해당하는 삼신신앙이 내포되어 있으며, 화려한 신복과 구성진 사설, 그리고 흥미와 감동을 일으키는 신화들이 포함되어져 있다.
단군신화에서 기원하는 한국의 민족전통 예술이 굿이라는 신앙을 통해 구현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 론
한국 토착신앙으로써의 무속신앙(巫俗信仰)이 기독교에 끼친 영향은 성령 운동 및 새 시대(New age)운동과 결부시켜 보면 실로 지대하다
일반적으로 한국 무속신앙 (巫俗信仰)은 시베리아 일대에서 성행된 무속신앙(巫俗信仰)과 비슷한 현상을 가지고 있다고 하나 (Kim Yolkyu, Studies on Korean Myth and Shamanism, Seoul: IL cho-kak, 1977, 267),엄밀한 의미에서는 히브리 문명을 제외한 고대문명 어느곳도 무속신앙(巫俗信仰)을 완전히 탈피한 곳은 없다. 최근 학자들은 아프리카나 남미 북미 등에도 무속신앙(巫俗信仰)이 대단히 성행하고 있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그 예중에 미국에서의 부두교와 남미의 여러 무속신앙은 그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오랜 역사와 더불어 세계 각지에서 성행하는 무속 신앙이 요즘은 바쁜 현대인들의 생활속에서 한국 전통 예술과 신앙의 결합된 무속신앙이 사라져 가며 현존하는 무속신앙 조차 그 과정들이 축소되고 변형되어 많이 훼손되었으며, 그 본질이 훼손되고 사라져 가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태곤 / 한국의 무속 / 대원사
추천자료
무속음악
고조선의 단군신화, 고구려의 주몽신화, 무속신화인 당금애기 비교고찰
무속의 역사 및 그 유형
[증산도][증산도사상][증산도사상 진리][증산도사상 성격][증산도와 하늘 신앙][증산도사상과...
수목신앙과 암석신앙의 현대적 계승양상
[구원][구원의 목적][구원의 신앙][구원의 영화와 성화][구원의 선택과 회심][구원의 외면과 ...
고조선의 단군신화, 고구려의 주몽신화, 무속신화인 당금애기 공통점과 차이점의 분석
[기독교교육론] 기독교 교육에서 본 파울러 이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파울러의 이론에 대한 ...
[건국신화][상징체계][신성원리][동명신화][시조신화]건국신화와 상징체계, 건국신화와 신성...
[몽골(몽고), 자연, 신앙, 정치, 창세신화, 언어체계]몽골(몽고)의 역사, 몽골(몽고)의 기본...
[서양 문명과 종교][성공회(聖公會)의 역사와 신앙]
진표의 미륵신앙 - 신라 사회와 진표의 미륵신앙의 관계에 대하여
[이웃종교와 선교] 무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