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의 유령’을 통해 본 문화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페라의 유령’을 통해 본 문화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롱런하는 세기의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한국 공연의 성공 요인

치밀하고 구체적인 마케팅 활동

1년 전부터 철저한 시장조사

다양한 홍보전략

배짱 마케팅

공동 마케팅

오페라 유령 성공의 파급효과

본문내용

진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오페라의 유령>은 2002년 3월 현재 25만 관객동원에 매출 160억원, 순이익 50억 원을 예상하고 있다. 이는 영화 <친구>가 벌어들인 수익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이며 한국 뮤지컬 초유의 성적이다. 그동안 뮤지컬 시장의 관객은 7만 정도로 보았으나 이제 그 수는 20만 명으로 늘었으며 2005년이면 단일 작품으로 관객 50만 명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1인당 입장료를 8만원으로 본다면 2005년원에는 400억원 매출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둘째, <오페라의 유령> 성공은 벤처 캐피털의 문화산업 투자에 박차를 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오페라의 유령> 및 <난타> 공연을 기획한 프로덕션에 투자해 재미를 봤던 산은 캐피탈은 월드컵 관련 대형 공연에 투자를 강화하는 등, 문화 콘텐츠에 대한 투자액도 지난해 115억 원에서 올해는 2백억 원 수준으로 늘였다. 영화음반공연애니메이션디지털 콘텐츠 등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 분야에 많은 관심을 보여온 KTB 네트워크도 투자액을 2001년 160억원에서 2002년 230억 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 외에 한국기술투자, 무한 기술투자, 우리기술투자, 한솔창투도 투자액일 대폭 늘렸으며, 문화 전문펀드의 결성도 추진되고 있다.
셋째, 오페라나 뮤지컬과 같은 공연 상품은 그 자체로도 상품 가치가 크지만 관련 컨텐츠 산업에 막강한 파급 효과를 미쳤다. <오페라의 유령> 성공 이후 원작을 다룬 소설은 20만 부 이상 팔려 이를 출간한 출판사의 매출을 크게 올렸으며, 이외에도 음악 CD, 하이라이트 영상 CD 등 관련 아이템들이 속속 등장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2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