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과연 이러한 태도가 역사가의 역사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를 나누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마지막으로 미래에 대한 관점이다.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읽어보면 진보적인 성과만을 얻게 된다는 미래에 대한 관점이 일부 있기는 하지만 이 조차도 옳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역사는 미래를 위한 (교통사고가 많이 났을 때 그것의 자료를 보고 사고량을 줄이려는 목표 설정을 하게 되는 것과 같은)교훈과 목적을 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역사를 통해 교훈을 얻고 목적을 설정하는 것도 역사가이지만, 역사가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사실의 해석을 주도하고 일방적으로 바꿀 수도 있기 때문에 더 이상 평등한 관계가 아니라고 말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래에 대한 관점이다.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읽어보면 진보적인 성과만을 얻게 된다는 미래에 대한 관점이 일부 있기는 하지만 이 조차도 옳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역사는 미래를 위한 (교통사고가 많이 났을 때 그것의 자료를 보고 사고량을 줄이려는 목표 설정을 하게 되는 것과 같은)교훈과 목적을 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역사를 통해 교훈을 얻고 목적을 설정하는 것도 역사가이지만, 역사가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사실의 해석을 주도하고 일방적으로 바꿀 수도 있기 때문에 더 이상 평등한 관계가 아니라고 말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비교 행정
역사란무엇인가
광복후 60년간 한국청소년상담의 발전과 향후 과제
가사의 시적 담화양식과 교과서 적용
춘향전의 현대적수용(문학작품중심으로)
시대적 흐름에 관한 경제학 변천사
송강가사 (관동별곡, 속미인곡의 내용, 특징, 성격을 중심으로)
<사진으로 보는 북한현대사>를 읽고 _ 서평
아동 문학교육
플라톤의 철인정치와 이데아
암기식 위주의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소크라테스식 교육방법을 통한 해결
[615남북정상회담]6 15 남북정상회담의 의의, 6 15 남북정상회담의 내용, 6 15 남북정상회담...
『카니발 이론 및 카니발 이론을 통해 본 한국 문화』에 대하여
송강의 속미인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