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의 속미인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송강의 속미인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들어가는 말
「속미인곡」

2. 본론
1) 연군가사로서의 「속미인곡」
2) 「속미인곡」의 여성화자
3) 작품구조로서의 대화양상
4) 송강가사의 문학사적 의의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들어가는 말
속미인곡(續美人曲)은 송강 정철의 작품으로서 사미인곡(思美人曲)과 함께 ‘양미인곡(兩美人曲)’으로 불리며 우리 가사 문학의 백미로 꼽히고 있으며, 선인들로부터 지금의 연구자들에게까지 작품에 대한 평가와 미학적 탐구가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진 작품이다.
김만중은 \'서포만필\'에서 정철의 \'관동별곡\'과 전후미인곡은 우리나라의 \'이소(離騷)\'라 할 만하며, 그 중에도 속미인곡이 더 고상하다고 하였다. 그 이유로는 관동별곡이나 사미인곡이 한자를 빌려 꾸몄기 때문이라 하였으나, 한자를 빌려 꾸민 것 이외에 속미인곡의 표현이 그만큼 진솔하고도 간절하였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속미인곡은 이렇게 역대에 여러 사람들의 사랑을 입었을 뿐 아니라 한역도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김상숙과 그의 6세손인 정도의 번역이 있다. 정철의 가사문학사의 절정을 장식하는 가장 회심작이라는 속미인곡은 이러한 한역을 통하여 단 하나의 감상의 대상을 넓히게 되었다. 속미인곡은 사미인곡과 더불어 뒷날 연군의 정서를 읊은 여러 가사의 시원(始原)의 역할을 수행하며, 그 본보기로 활용되었다. 또한 이에 대한 연구도 많이 한국가사문학연구에 있어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속미인곡에 관한 연구의 쟁점들을 반영해서 본고에서는 연군가사로서의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연군가사에 등장하는 여성화자의 목소리, 속미인곡이 갖는 작품구조로서의 대화양상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해 작품을 이해하고, 송강가사가 갖는 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할 것이다.
속미인곡
뎨 가는 뎌 각시 본듯도 한뎌이고/ 天上 白玉京을 엇디하야 離別하고
해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난고/ 어와 네여이고 이내 사설 드러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하냐마난/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새
나도 님을 미더 군뜨디 전혀 업서/ 이래야 교태야 어자러이 구돗떤디
반기시난 낫비치 녜와 엇디 다라신고/ 누어 생각하고 니러 안자 혜어하니
내 몸의 지은 죄 뫼가티 싸혀시니/ 하날히라 원망하며 사람이라 허믈하랴
설워 플텨혜니 造物의 타시로다/ 글란 생각마오 매친 일이 이셔이다
님을 뫼셔이셔 님의일을 내알거니/ 믈가탄 얼굴이 편하실적 몃날일고
春寒苦熱은 엇디하야 디내시며/ 秋日冬天은 뉘라셔 뫼셧난고
粥早飯 朝夕뫼 녜와갓티 셰시난가/ 기나긴 밤의 잠은 엇디 자시난고
님다히 消息을 아므려나 아쟈 하니/ 오날도 거의로다 내일이나 사람 올가
내 마음 둘 대 업다 어드러로 가잣말고/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해 올라가니
구롬은 카니와 안개난 므사 일고/ 山川이 어둡거니 日月을 엇디 보며
咫尺을 모라거든 千里를 바라보랴/ 찰하리 믈가의 가 뱃길히나 보쟈 하니
바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져 된뎌이고/ 샤공은 어대 가고 뷘 배만 걸렷나니
江天의 혼자 셔셔 디난 해랄 구버보니/ 님다히 消息이 더욱 아득한뎌이고
茅 찬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半璧 靑燈은 눌 위하야 발갓난고
오라며 나리며 헤뜨며 바자니니/ 져근덧 力盡하야 픗잠을 잠간 드니
情誠이 지극하야 꿈의 님을 보니/ 玉가탄 얼굴이 半이나마 늘거셰라
마암의 머근 말삼 슬카장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3.11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9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