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계획 단계
1. 단원명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내용 구성
4. 전 학년과의 관련성
5. 단원의 학습 목표
6. 교수·학습 계획
7. 지도상의 유의점
Ⅱ. 지도 단계
1. 소단원 개관
2. 본시 교수ㆍ학습 지도안
Ⅲ. 판서 계획
1. 학습 목표
2. 내용 정리
Ⅴ. 학습자료
1. 단원명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내용 구성
4. 전 학년과의 관련성
5. 단원의 학습 목표
6. 교수·학습 계획
7. 지도상의 유의점
Ⅱ. 지도 단계
1. 소단원 개관
2. 본시 교수ㆍ학습 지도안
Ⅲ. 판서 계획
1. 학습 목표
2. 내용 정리
Ⅴ. 학습자료
본문내용
배울 내용을 예고한다.
- 청산별곡 마무리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숙지하고, 과제를 메모한다.
1분
Ⅲ. 판 서 계 획
1. 학습 목표
6. 노래의 아름다움
(1) 청산별곡
※ 학습 목표
1.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정서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2. 문학의 아름다움과 미적 가치를 알고 나만의 청산별곡을 창작할 수 있다.
2. 내용 정리
* 시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3요소
-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
* 외연적(外延的) 의미
- 지시적(指示的) 기능을 가진 언어의 의미
- 사전적 의미
- 과학적 언어
* 함축적(含蓄的) 의미 - 내포적(內包的) 의미
- 암시적, 주관적, 간접적인 의미
- 정서적 효과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사용된 언어의 의미
- 시어가 추구하는 의미
형식적인 면 : 3음보의 규칙적 느낌이 좋았다. ‘ㄹ, ㅇ’이 밝고 경쾌하다. 후렴구가 있어 더욱 신이 난다.
내용적인 면 : 삶의 터전을 잃은 화자의 패배감과 고독감이 잘 드러난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의 삶도 그런 고독감과 패배감을 느끼는데 이런 것이 시대를 넘어 공감을 준다. 그러고 보면 인간의 삶은 고통의 연속인 것 같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그런 감동을 느낀다.
* 화자에 대한 여러 견해
- 유랑민이라는 견해
- 실연을 당한 사람
- 지식인이라는 견해
Ⅳ. 평가
Ⅴ. 학습자료
(1) 청산별곡
1. ‘청산별곡’을 낭독하여 보고 율격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1) 어떤 형식상의 특징이 발견되는가?
2) 동일 음운의 반복은 어떤 효과를 주는가?
3) 후렴구의 역할은 무엇인가?
2. 다음 <예시>를 참고하여 나만의 ‘청산별곡’을 써 보시오.
<예시>
점심별곡
살어리 살어리랏다 도시락에 살어리랏다.
밥이랑 반찬이랑 먹고 도시락에 살어리랏다
꼬르륵 꼬르륵 꼬르륵 꼬르륵
우러라 우러라 배꼽시계야 자고 니러 우러라 배꼽 시계야
널라와 배고픈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꼬르륵 꼬르륵 꼬르륵 꼬르륵
-한효석, 박근미 공저 ‘열린 수업 100가지 중에서
6. 노래의 아름다움
(1) 청산별곡(靑山別曲)
고려 가요(장가, 속요, 여요, 별곡)
1. 정의: 고려 시대의 평민(평민문학)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구전되는 동안에)
2. 특징; 리듬이 매끄러우며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세련
3. 형성: 향가와 민요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
4. 형식: ① 분절체, 분장체, 연장체, ② 후렴구 발달(여음구) ③ 3·3·2조 혹은 3·3·4조의 3음보(경쾌한 리듬감)
5. 내용: 남녀 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슬픔,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을 소박하게 표현, 현세적이며, 향락적
6. 작가: 미상(민요적 성격)
7. 성격: 평민 문학, 구전 문학
8. 의의: 고려 가요는 표현의 소박성과 함축성, 풍부한 정서, 그리고 시조 문학의 모태로 국문학 사상 뛰어난 작품임
9. 수록 문헌: 구전되다가 조선 초에 악학궤범(4편), 악장가사(8편) 시용향악보(2편)에 정착됨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사리부재(詞俚不載)함(많은 작품을 개작 삭제함)
‘청산별곡’핵심 정리
1. 지은이: 未詳(민요일 수도 있으나-음악적 요소, 높은 문학성과 뛰어난 비유 때문에 특정 작가 추측)
2. 창작 연대: 高麗 後期(고려 후기)
3. 갈래: 고려 속요
4. 주제: 삶의 고통과 그 극복에의 지향성, 생의 비애와 고독, 삶의 고뇌와 비애, 실연의 슬픔
5. 출전: 악장가사, 시용향악보(1장만 곡조와 함께)
6. 구성: ① 4단 구성(1-기: 현실 대피, 2·3·4-승: 속세의 고독과 비애, 5·6·7-전: 극복에 대한 기원, 8-결: 구원의 길),
② 대칭적 2단 구성(5장과 6장 순서 뒤바뀐 것으로 봄)
6. 표기: 악장가사에 실려 있으므로 조선 중기 표기 7. 제재: 내우(內憂-척신의 전횡, 무신난) 외환(外患-몽고군의 침입)의 현실
8. 특징 및 표현: ① 전 8장의 분절체(分節體), 3·3·2조의 3음보, 매연 4구, 각 장 끝에 후렴구 위치
② 똑같은 어휘의 반복을 통해 의미를 강조
③ ㄹ, ㅇ음이 밝고 명랑한 효과를 주고 있음, 음악적인 경쾌함을 줌
9. 성격: ① 내우외환의 현실에서 생(生)의 고뇌(苦惱)를 잊으려는 선인들의 낙천성(樂天性)이 드러남
② 현실 도피적이며, 현실에 대한 부정적 내용이 나타남 ③ 애상적(哀傷的)이며, 감상적(感傷的)이다.- 체념적, 은둔사상(隱遁思想)
④ 상징적 수법, 순화된 정서 표현, 음악적 효과 뛰어남
10. 의의: ① 높은 문학성과 비유가 뛰어나 고려 가요 중 서경별곡과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② 고려 시대 사람들의 현실 도피적 인생관이 잘 나타나 있다.
③ 운율적 후렴구를 지녔다.
11. 주제에 대한 이설:
① 청산에 들어가 살겠다는 서민의 애상적인 감정
② 실연한 사람의 현실 도피적 노래
③ 청산에서 위안을 구하면서도 현실적인 삶을 집요하게 추구하는 지식인의 노래
* ⇒ ①, ②, ③의 공통적인 서정적 자아는 “고통스러운 삶으로 인해 방황하는 인물”로 삶의 의지는 포기하지 않는 사람임
12.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
- 정서 → 괴로움, 슬픔, 그리움, 고독
- 태도 → 현실 도피, 이상향 추구
‘청산별곡’의 짜임
연(장)
소 재
함 축 적 의 미
주 제
1연
청산
현실 도피처
청산에 대한 동경
2연
새
시적 자아 감점 이입물
삶의 비애와 고독
3연
새
시적 자아의 분신
속세에 대한 미련
4연
밤
절망적인 고독
고독과 괴로움
5연
돌
운명
생에 대한 체념
6연
바다
현실 도피처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
7연
사슴
비애의 감정 이완
생의 절박감과 고독
8연
강술
비애의 초극을 가능케하는 매개체
고뇌의 해소
※‘청산별곡’의 시대적 배경
청산별곡의 창작 시기는 고려 후기 무신의 집권과 몽골의 침입으로 인하여 고려 전체가 내우외환으로 시달리던 시기로 추정되고 있다. 이 시기는 무신들의 횡포와 원의 세력에 기댄 권문세족들의 수탈이 막심하여 많은 백성들이 농토를 버리고 떠나 사방으로 유랑하던 시기이다. 또한 양심적 지식인들도 안심입명하고 제 뜻을 펼칠 수 없는 현실에서 많은 좌절을 겪어야 했던 시기이다. 그리하여 세속을 떠나 은둔하기도 하였던 것이 고려 후기의 현실이었다.
- 청산별곡 마무리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숙지하고, 과제를 메모한다.
1분
Ⅲ. 판 서 계 획
1. 학습 목표
6. 노래의 아름다움
(1) 청산별곡
※ 학습 목표
1.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정서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2. 문학의 아름다움과 미적 가치를 알고 나만의 청산별곡을 창작할 수 있다.
2. 내용 정리
* 시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3요소
-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
* 외연적(外延的) 의미
- 지시적(指示的) 기능을 가진 언어의 의미
- 사전적 의미
- 과학적 언어
* 함축적(含蓄的) 의미 - 내포적(內包的) 의미
- 암시적, 주관적, 간접적인 의미
- 정서적 효과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사용된 언어의 의미
- 시어가 추구하는 의미
형식적인 면 : 3음보의 규칙적 느낌이 좋았다. ‘ㄹ, ㅇ’이 밝고 경쾌하다. 후렴구가 있어 더욱 신이 난다.
내용적인 면 : 삶의 터전을 잃은 화자의 패배감과 고독감이 잘 드러난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의 삶도 그런 고독감과 패배감을 느끼는데 이런 것이 시대를 넘어 공감을 준다. 그러고 보면 인간의 삶은 고통의 연속인 것 같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그런 감동을 느낀다.
* 화자에 대한 여러 견해
- 유랑민이라는 견해
- 실연을 당한 사람
- 지식인이라는 견해
Ⅳ. 평가
Ⅴ. 학습자료
(1) 청산별곡
1. ‘청산별곡’을 낭독하여 보고 율격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1) 어떤 형식상의 특징이 발견되는가?
2) 동일 음운의 반복은 어떤 효과를 주는가?
3) 후렴구의 역할은 무엇인가?
2. 다음 <예시>를 참고하여 나만의 ‘청산별곡’을 써 보시오.
<예시>
점심별곡
살어리 살어리랏다 도시락에 살어리랏다.
밥이랑 반찬이랑 먹고 도시락에 살어리랏다
꼬르륵 꼬르륵 꼬르륵 꼬르륵
우러라 우러라 배꼽시계야 자고 니러 우러라 배꼽 시계야
널라와 배고픈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꼬르륵 꼬르륵 꼬르륵 꼬르륵
-한효석, 박근미 공저 ‘열린 수업 100가지 중에서
6. 노래의 아름다움
(1) 청산별곡(靑山別曲)
고려 가요(장가, 속요, 여요, 별곡)
1. 정의: 고려 시대의 평민(평민문학)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구전되는 동안에)
2. 특징; 리듬이 매끄러우며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세련
3. 형성: 향가와 민요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
4. 형식: ① 분절체, 분장체, 연장체, ② 후렴구 발달(여음구) ③ 3·3·2조 혹은 3·3·4조의 3음보(경쾌한 리듬감)
5. 내용: 남녀 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슬픔,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을 소박하게 표현, 현세적이며, 향락적
6. 작가: 미상(민요적 성격)
7. 성격: 평민 문학, 구전 문학
8. 의의: 고려 가요는 표현의 소박성과 함축성, 풍부한 정서, 그리고 시조 문학의 모태로 국문학 사상 뛰어난 작품임
9. 수록 문헌: 구전되다가 조선 초에 악학궤범(4편), 악장가사(8편) 시용향악보(2편)에 정착됨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사리부재(詞俚不載)함(많은 작품을 개작 삭제함)
‘청산별곡’핵심 정리
1. 지은이: 未詳(민요일 수도 있으나-음악적 요소, 높은 문학성과 뛰어난 비유 때문에 특정 작가 추측)
2. 창작 연대: 高麗 後期(고려 후기)
3. 갈래: 고려 속요
4. 주제: 삶의 고통과 그 극복에의 지향성, 생의 비애와 고독, 삶의 고뇌와 비애, 실연의 슬픔
5. 출전: 악장가사, 시용향악보(1장만 곡조와 함께)
6. 구성: ① 4단 구성(1-기: 현실 대피, 2·3·4-승: 속세의 고독과 비애, 5·6·7-전: 극복에 대한 기원, 8-결: 구원의 길),
② 대칭적 2단 구성(5장과 6장 순서 뒤바뀐 것으로 봄)
6. 표기: 악장가사에 실려 있으므로 조선 중기 표기 7. 제재: 내우(內憂-척신의 전횡, 무신난) 외환(外患-몽고군의 침입)의 현실
8. 특징 및 표현: ① 전 8장의 분절체(分節體), 3·3·2조의 3음보, 매연 4구, 각 장 끝에 후렴구 위치
② 똑같은 어휘의 반복을 통해 의미를 강조
③ ㄹ, ㅇ음이 밝고 명랑한 효과를 주고 있음, 음악적인 경쾌함을 줌
9. 성격: ① 내우외환의 현실에서 생(生)의 고뇌(苦惱)를 잊으려는 선인들의 낙천성(樂天性)이 드러남
② 현실 도피적이며, 현실에 대한 부정적 내용이 나타남 ③ 애상적(哀傷的)이며, 감상적(感傷的)이다.- 체념적, 은둔사상(隱遁思想)
④ 상징적 수법, 순화된 정서 표현, 음악적 효과 뛰어남
10. 의의: ① 높은 문학성과 비유가 뛰어나 고려 가요 중 서경별곡과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② 고려 시대 사람들의 현실 도피적 인생관이 잘 나타나 있다.
③ 운율적 후렴구를 지녔다.
11. 주제에 대한 이설:
① 청산에 들어가 살겠다는 서민의 애상적인 감정
② 실연한 사람의 현실 도피적 노래
③ 청산에서 위안을 구하면서도 현실적인 삶을 집요하게 추구하는 지식인의 노래
* ⇒ ①, ②, ③의 공통적인 서정적 자아는 “고통스러운 삶으로 인해 방황하는 인물”로 삶의 의지는 포기하지 않는 사람임
12.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
- 정서 → 괴로움, 슬픔, 그리움, 고독
- 태도 → 현실 도피, 이상향 추구
‘청산별곡’의 짜임
연(장)
소 재
함 축 적 의 미
주 제
1연
청산
현실 도피처
청산에 대한 동경
2연
새
시적 자아 감점 이입물
삶의 비애와 고독
3연
새
시적 자아의 분신
속세에 대한 미련
4연
밤
절망적인 고독
고독과 괴로움
5연
돌
운명
생에 대한 체념
6연
바다
현실 도피처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
7연
사슴
비애의 감정 이완
생의 절박감과 고독
8연
강술
비애의 초극을 가능케하는 매개체
고뇌의 해소
※‘청산별곡’의 시대적 배경
청산별곡의 창작 시기는 고려 후기 무신의 집권과 몽골의 침입으로 인하여 고려 전체가 내우외환으로 시달리던 시기로 추정되고 있다. 이 시기는 무신들의 횡포와 원의 세력에 기댄 권문세족들의 수탈이 막심하여 많은 백성들이 농토를 버리고 떠나 사방으로 유랑하던 시기이다. 또한 양심적 지식인들도 안심입명하고 제 뜻을 펼칠 수 없는 현실에서 많은 좌절을 겪어야 했던 시기이다. 그리하여 세속을 떠나 은둔하기도 하였던 것이 고려 후기의 현실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