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문법론] 국어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문법론] 국어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1.3.1 어휘사의 시대 구분과 어휘별 구성 비율
11.3.2 어휘의 변화
11.4.1. 문법 현상의 생성
11.4.2. 문법 현상의 소멸
11.4.3. 문법 현상의 바뀜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어 이후 ‘낯(顔)’
- 우리말발달사, 김형주, 세종출판사, 1996 p.243
: ‘장소, 토지’→ 근대국어 이후 ‘땅(地)’
ⅲ) 의미의 이동
- 두렵다(圓→畏) : 15C ‘둥글다’→‘두려워하다’
- 어리다(愚→幼) : ‘어리석다’→‘나이가 적다’
- 놈 : ‘보통사람’→‘남자의 낮춤말’
- 어엿비 : ‘가련하게, 불쌍하게’→‘예쁘게, 어여쁘게’ 국어사 자료 선집, 한국어학연구회, 서광학술자료사, 1994
어리다, 놈, 어엿비 → 참고자료2. 훈민정음.
- 뎡바깃 ㅣ고리 구드시며 <월석 2:55> 우리말발달사, 김형주, 세종출판사, 1996 p.242
: 머릿박(頭),ㅣ골, 고리→대가리 (비속어 아니었음.)
- 두꺼비집 : ‘두꺼비의 집’→‘전기개폐기’
ㄷ. 형태와 의미의 변화 : 치다[敎,指]→ 가르치다[敎], 가리키다[指]
11.4.1. 문법 현상의 생성
<1> 주격 조사
① 15세기 : 주격 조사 ‘이, l , Φ\' 사용
(예) 어린 白姓이 니르고져 배 이셔도 <훈민정음>(1446년) - ‘이’사용
우리 始祖 l 慶興에 사샤 <용비어천가 3>(1447년) - ‘ l\'사용
블근 :새 그를 므러 <용비어천가 7> - ‘Φ’사용
② 16세기 중반 이후 : 주격 조사 ‘가’ 나타남
(예) 두드러기가 불의예 도다 오르니 <인선왕후어필>(1550년경)
구드 자니 가 세 니러셔 로 니니 <송강자당내간>(1592년)
東來가 요이 편티 아니시려니 <첩해신어 1:26>(1676년)
③ 17세기 이후 : 주격 조사 ‘가’ 본격적 사용
현재 주격 조사 ‘가’는 주격 조사 ‘이’와 더불어 상보적 분포 보임
<2> 문장 구조
15세기 : ‘무엇을 누구를 주다’
(예) 四海 년글(년ㄱ+을) 주리여 <용비어천가 20>(1447년)
-> 현대 : ‘무엇을 누구에게 주다’
(예) 사해를 누구에게 주겠는가
15세기 : ‘무엇이 무엇이 다’
(예) 出家 사 쇼히(쇼ㅎ+ l) 디 아니니 <석보상절 6:22>(1446년 경)
-> 현대 : ‘무엇이 무엇과 같다’
(예) 출가한 사람은 속인과 같지 아니하니
<3> 선어말 어미
①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았-/-었-’
: -아/-어 잇- > -앳-/-엣- > -앗-/-엇- > -았-/-었-
(예) 네 이제 부텨를 맛나 잇니 <석보상절 6, 11>(1446년 경)
소리 들여 엣고 <월인석보 1, 46>(1446년 경)
네 아 西湖ㅅ경 녀러 왓다 <번역박통사 상, 67>(1517년 이전)
나는 밥을 먹었다.
②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겠-’
: -게 엿- > -게 엿- > -게엿- > -겟- > -겠-
(예) 됴히 살게 엿 <한듕록 3, 260>(1795년)
내일이야 가게엿마 <언간자료>(1571~1603년)
요란니 못겟다 시고 <한듕록 400>
자네는 잘 살겠네.
11.4.2. 문법 현상의 소멸
<1> 중세 국어의 ‘의문법’
① 의문사의 존재여부에 따라
㉠ ‘-ㄴ가, -ㄹ가’와 같은 ‘-아’ 계통의 어미와,
: 의문사 없이, 의문형 종결어미가 각각 ‘-ㄴ가 - 가’가 사용
(예) ㄱ. 西京은 편안가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0.08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