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당대(唐代)의 시대적 배경
3. 이백의 생애와 사상
4. 이백 시가의 사상 내용과 예술적 특성
5. 시가 발전사에서 이백의 위치와 영향
6. 두보의 생애와 사상
7. 두보 시가의 사상 내용과 예술성
8. 문학사에서의 두보의 위치와 그 영향
9. 이백과 두보의 문학세계 비교 분석
10. 참고자료
2. 당대(唐代)의 시대적 배경
3. 이백의 생애와 사상
4. 이백 시가의 사상 내용과 예술적 특성
5. 시가 발전사에서 이백의 위치와 영향
6. 두보의 생애와 사상
7. 두보 시가의 사상 내용과 예술성
8. 문학사에서의 두보의 위치와 그 영향
9. 이백과 두보의 문학세계 비교 분석
10. 참고자료
본문내용
모든 유산을 충분히 섭취하되 오직 자기만의 독창과 新奇를 만들어 내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기에 두보는 특히 형식미의 최고를 자랑하는 율시에 있어서는 중국 문학의 대표적 걸작을 무수히 지어냈던 것이다. 이백과 두보는 같은 나라에 태어났고 같은 때에 살았다. 마찬가지인 당시의 중국 시어와 형식을 사용하여 같은 선비의 세계에서 시를 창작하고, 역시 국내 각지의 방랑으로 세월을 보내다가 죽었다. 더구나 이 두 사람의 시는 비교하기가 곤란하리 만큼 저마다 전혀 다른 경지를 전개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백은 고시(古詩)에 능하고 두보는 근체시에 뛰어났다고 일컬어지지만 그들의 시세계의 분명한 구분점은 내용과 사상면에서 논의될 수 있으리라본다. 즉, 이백의 문학이 현실 유리적이고 낭만적이고 도교적인 색채가 짙은 데 비하여 두보의 시는 그의 실제의 삶과 깊은 관련성을 맺고 있다. 이백에 견주어 볼 때 두보의 문학은 풍부한 사실성을 깊이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백은 현실의 세계에 있어 확실히 실패자였다. 출신은 천하고 사람들로부터 괄시를 받고 영광을 추구하였어나 그 뜻을 이루지 못하는 일만 많았다. 그에게 있어 현실세계는 필연적으로 도피해야할 그 무엇, 또는 초극되어야할 대상으로 인식되었고 이런 이유에서 그는 산속을 무대로 수많은 시편을 남겼다. 바로 여기에 이백의 도가철학적인 사상적 배경의 한 맥을 우리는 짚을 수 있는 것이다. 그 시의 내용은 인생의 무상을 탄식하고 신선에의 동경을 노래한 것이 많다. 이백과 두보는 같은 나라에 태어나서 동시대를 살았으며 같은 중국의 시어와 형식을 사용하여 시를 지었지만 두 사람의 시는 저마다 전혀 다른 경지를 전개시켜나갔다. 도가적인 무위자연을 노래한 이백의 시에 비하여 두보의 시는 유교적이고 교훈적인 내용이 많았다. 이백의 문학세계가 낭만주의, 이상주의에 근접해있었다면 두보의 문학세계는 사실주의로 표현되어질 수 있다.
이백이 하늘을 거니는 신선(神仙)이었다면 두보는 인간 세상의 모든 고통을 짊어지고 가시밭길을 걸었던 성인(聖人)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태백의 작품은 광활하게 시작하여 섬세한 부분으로 진행하고, 두보는 섬세한 부분에서 시작하여 광활한 세계로 독자를 이끌어 간다. 이태백의 작품은 청신하고도 표일한 맛이고, 두보는 침울한 가운데 비장했다. 이백이 시선이라는 별명을 가진 반면 두보가「詩史(시사)」라고 불리게 된 것도 바로 그러한 사회성 때문이다. 또한 이백이 현실보다는 일상을 벗어난 환상의 세계를 묘사하는데 주력했다면, 두보는 보다 현실적인 소재를 보다 현실적인 기법으로 표현했다. 이러한 대조적인 성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시인은 서로 끈끈한 교분을 지니면서 지냈다. 두보는 시 이외에는 모든 것이 서툰 악문(惡文)이었지만 격(格)에 맞춘 칠언율시에 특히 능했고, 이백은 주색(酒色)을 소재로 한 작품을 많이 남겼지만 칠언가행·칠언절구에 강했다.
이백과 두보 문학의 저마다의 멋들어진 개화는 문학이라는 것의 무한한 가능성을 우리들에게 시사하고 있다. 이상에서 두보의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이백과 두보를 살펴보았다. 이백과 두보 중에서 두보를 선택한 것은 글자 한 자 한 자에 고민을 아끼지 않는 그의 성실성을 본받고자 함이다. 그들의 작품은 접할 기회가 많으므로 개별적인 작품 분석은 여기에서는 논외로 한다. 이백과 두보는 동시대에 살면서 어깨를 나란히 한, 그러면서도 우열을 결코 가릴 수 없는 개성적인 인물들이다.
10. 참고자료
당시개론. 안병국 편저. 청년사.
풍류정신으로 보는 중국문학사. 최병규. 예문서원
이야기 중국문학사. 지세화 편저. 일빛
중국 시가의 이해. 강창구, 송행근, 장남희 엮음. 한울아카데미
일반적으로 이백은 고시(古詩)에 능하고 두보는 근체시에 뛰어났다고 일컬어지지만 그들의 시세계의 분명한 구분점은 내용과 사상면에서 논의될 수 있으리라본다. 즉, 이백의 문학이 현실 유리적이고 낭만적이고 도교적인 색채가 짙은 데 비하여 두보의 시는 그의 실제의 삶과 깊은 관련성을 맺고 있다. 이백에 견주어 볼 때 두보의 문학은 풍부한 사실성을 깊이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백은 현실의 세계에 있어 확실히 실패자였다. 출신은 천하고 사람들로부터 괄시를 받고 영광을 추구하였어나 그 뜻을 이루지 못하는 일만 많았다. 그에게 있어 현실세계는 필연적으로 도피해야할 그 무엇, 또는 초극되어야할 대상으로 인식되었고 이런 이유에서 그는 산속을 무대로 수많은 시편을 남겼다. 바로 여기에 이백의 도가철학적인 사상적 배경의 한 맥을 우리는 짚을 수 있는 것이다. 그 시의 내용은 인생의 무상을 탄식하고 신선에의 동경을 노래한 것이 많다. 이백과 두보는 같은 나라에 태어나서 동시대를 살았으며 같은 중국의 시어와 형식을 사용하여 시를 지었지만 두 사람의 시는 저마다 전혀 다른 경지를 전개시켜나갔다. 도가적인 무위자연을 노래한 이백의 시에 비하여 두보의 시는 유교적이고 교훈적인 내용이 많았다. 이백의 문학세계가 낭만주의, 이상주의에 근접해있었다면 두보의 문학세계는 사실주의로 표현되어질 수 있다.
이백이 하늘을 거니는 신선(神仙)이었다면 두보는 인간 세상의 모든 고통을 짊어지고 가시밭길을 걸었던 성인(聖人)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태백의 작품은 광활하게 시작하여 섬세한 부분으로 진행하고, 두보는 섬세한 부분에서 시작하여 광활한 세계로 독자를 이끌어 간다. 이태백의 작품은 청신하고도 표일한 맛이고, 두보는 침울한 가운데 비장했다. 이백이 시선이라는 별명을 가진 반면 두보가「詩史(시사)」라고 불리게 된 것도 바로 그러한 사회성 때문이다. 또한 이백이 현실보다는 일상을 벗어난 환상의 세계를 묘사하는데 주력했다면, 두보는 보다 현실적인 소재를 보다 현실적인 기법으로 표현했다. 이러한 대조적인 성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시인은 서로 끈끈한 교분을 지니면서 지냈다. 두보는 시 이외에는 모든 것이 서툰 악문(惡文)이었지만 격(格)에 맞춘 칠언율시에 특히 능했고, 이백은 주색(酒色)을 소재로 한 작품을 많이 남겼지만 칠언가행·칠언절구에 강했다.
이백과 두보 문학의 저마다의 멋들어진 개화는 문학이라는 것의 무한한 가능성을 우리들에게 시사하고 있다. 이상에서 두보의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이백과 두보를 살펴보았다. 이백과 두보 중에서 두보를 선택한 것은 글자 한 자 한 자에 고민을 아끼지 않는 그의 성실성을 본받고자 함이다. 그들의 작품은 접할 기회가 많으므로 개별적인 작품 분석은 여기에서는 논외로 한다. 이백과 두보는 동시대에 살면서 어깨를 나란히 한, 그러면서도 우열을 결코 가릴 수 없는 개성적인 인물들이다.
10. 참고자료
당시개론. 안병국 편저. 청년사.
풍류정신으로 보는 중국문학사. 최병규. 예문서원
이야기 중국문학사. 지세화 편저. 일빛
중국 시가의 이해. 강창구, 송행근, 장남희 엮음. 한울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