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chest tube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 chest tub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milking)를 했었음
⇒ 흉곽내압을 -400cmH2O까지 상승시켜 폐손상의 위험 있어 거의 사용되지 않음
현재-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눌러줌
배액병 연결되는 부분에 설압자를 테이프로 붙여둠 ⇒꼬임방지
흉막강내에 혈액, 체액, 공기가 축적되면 결국 폐를 누르고 긴장성 기흉이나 종격동 변위 발생시킴
⇒ 간호사는, 흉곽배액의 이상이 생기는 즉시 교정, 합병증 증상 관찰
밀봉
흉곽배액의
밀폐유지
배액기구는 대기압에 완전히 밀폐되어야 함
⇒ 병마개는 새는 곳 없이 꼭 맞아야 하고 모든 연결 튜브는 테이프를 붙여야 함
공기가 흉막강 내에 새들어가면 흉막강 내에 음압은 이루어지지 않고 긴장성 기흉과 같은 합병증 일으킴
흡인
압력의 조절
흡인기 사용 - 공기나 체액을 배액하기 위함
보통 흉막강내의 음압을 15cmH2O로 유지시킴 (의사에 따라 다름)
밀봉
흉곽배액의
기능을
관찰하는 법
밀봉병안의 물속에 잠긴 긴 대롱을 관찰
⇒ 호흡시 : 흉막강내 압력이 변화하여 흡기 할때 흉막강내압의 저하 로 물이 긴 대롱안으로 밀고 올라옴
⇒ 호기시 : 흉막강내압의 상승으로 긴 대롱안에서 아래로 밀려 내려 감
※ 물의 파동은 환자의 환기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튜브가 개방돼있다는 것과 기능이 완전하다는 것 알 수 있음
물의 파동은 폐가 완전하게 팽창되거나 튜브가 꼬이거나 막혔을 때
사라짐.
⇒ 환자의 자세를 바꿔보고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해본다.
밀봉병 내의 물방울을 관찰함
⇒ 물방울은 흉막강에서 나온 공기가 물을 통과해 올라오므로 생김
⇒ 기흉이나 흉부수술 후 밀봉흉곽배액시 흉막강내에서 공기가 제거되 므로 밀봉병에 물방울이 생김
⇒ 흉막강내 공기가 없는 경우도 계속 물방울이 생기는 것은 어딘가에 서 공기가 새어 들고 있음을 의미
흡인조절병의 물방울이 계속 발생하는지 관찰
⇒ 흡인조절 대롱으로 올라오는 물방울을 보고 정확하게 작동하는지
알 수 있음
흡인기가 잘 작동하지 않는 이유
⇒ 흉막강이나 배액기구 안으로 공기가 유출되고 있거나 모타 자체의 기계적인 문제
⇒ 흉막강내로 공기가 새는 것이 가장 심각한 문제 ㅡ> 처음에 조사
흉곽튜브를 잠그고 흡인조절병을 관찰
물방울 일기 시작하면 흉곽튜브 주위에서 흉막강내로 공기가 새어 들 어가고 있는 것
바세린 거즈 등으로 흉곽을 싸서 드레싱을 해도 교정되지 않으면 의사에게 보고
물방울이 생기지 않으면 이유는 흡인기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흡인 모타가 문제라면 즉시 다른 모타로 바꿈
⑸ 배액의 측정
흉막강내에서 나온 공기는 배액병의 공기 구멍을 통해 나가지만 체액은 배액병에 모아짐
휴막강에서 나오는 배액의 양을 측정하는 것은 중요!
⇒ 테이프를 병에 붙여 측정하면 혈액의 소실 양을 알 수 있음
처음 밀봉흉곽배액기구를 설치할 때 테이프를 붙여 멸균된 물이나 생리식염수를 넣었 을 때의 높이를 표시 ㅡ> 그 시간을 옆에 쓰거나 혹은 테이프에 일정량을 미리 표 시해 두고 그 표시에 도달한 시간을 옆에 기록하기도 함
처음 24시간 동안 500~1000ml가 배액되기도 함
보통은 처음 2시간 동안 100~300ml가 고이며 이후에 배액량이 줄어야 정상
⑹ 배액병의 교환
처음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
겸자 두개, 처음 것과 똑같은 병에 소독된 물이나 생리식염수를 담아 테이를 붙인것,
2개의 대롱(하나는 길고, 하나는 짧은), 꼭맞는 뚜껑
흉곽튜브를 가슴에 가까운 곳에 두 번 잠금
튜브를 배액기구에서 분리했을 때 공기가 흉막강내로 유입을 방지
교환할 밀봉흉곽배액기구에서 흉곽튜브를 분리하여 새 병에 끼움
새로 연결한 배액병에 제대로 밀폐되었는지, 긴 대롱의 끝은 물속에 잠겼는지 확인
배액병은 환자의 가슴높이 보다 아래에 있어야 함
흉곽튜브를 잠근것을 품
밀봉흉곽배액기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
- 배액병은 정기적으로 소독된 것으로 교체
⑺ 흉곽튜브의 잠금
- 화자의 곁에는 집는 부위에 고무를 씌운 겸자(15~20cm)를 둠
- 두 개의 겸자를 준비해 두면 두 개의 튜브를 안전하게 잠글 수 있어서 좋음
- 사용하지 않을 때 잘 보이는 곳에 주고 환자가 침대에 있을 때는 머리맡 침요에 찝어 매달아 두고 환자가 걸어다닐 때는 환의에 매달아 둠
- 튜브를 잠글때 : 환자에게 호기를 하게 한 후 잠그며 튜브를 잠근 후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풀어 줌
- 병이 깨지면 대기의 공기는 흉막강내로 들어감
⇒ 빨리 흉곽튜브를 잠가 기흉을 방지
- 흉막강에서 공기가 나오지 않던 환자
⇒ 즉시 튜브를 잠그고 배액기구가 준비되면 튜브의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05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34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