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겹쳐지도록 하여야 빗물이 골에 넘쳐도 새지 않는다. 기왓골이 용마루나 내림, 귀마루 등에 접합할 때에 차꼬막이, 부고 등을 써서 정리하나 상대에는 딴 기법이 있었던지 사지에서는 여러 가지 부속품들이 출토된다.
나비장 : 이음새의 한 가지로 보편적으로 많이 쓰는 고래(古來)의 기법이다. 목재를 이음할 때는 단단한 나무로, 석재를 이음할 때는 정철(正鐵)로 나비[蝶]모양을 만들어 목재와 석재에 판 홈에 박아 두 재료를 연(連)잇게 한다.
납도리 [방형(方桁)] 통나무 볼치를 훑어 내어 반듯하게 다듬어 사용하는 도리, 격조(格調)가 떨어지는 건물에 주로 사용한다.
누하주 (樓下柱) : 다락집[누사(樓謝)] 구성에서 마루 밑으로 세우는 기둥. 건물에 따라 목주(木柱)를 세우기도, 석주(石柱)를 세우기도 하는데 석주의 유구(遺構)로는 경복궁 경회루가 가장 유명하다. 사원건축의 유구 중에는 석주의 예가 드물다. 목주일 때 누하주는 누상주(樓上柱)와 한몸일 때와, 별조(別造)하는 수의 두 가지 기법이 있는데 따로 세울때는 누상주보다 누하주를 굵은 목재로 한다.
다포 (多包.花拱) : 조선왕조실록의 화공(花拱)을 포함한 유형을 주심포와 익공과 구분하기 위하여 새롭게 지어 부르는 명칭. 주심포가 기둥 위에서만 포작을 구성하는데 비하여 다포는 기둥 사이의 칸살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성하는 것. 그래서 포가 많다고 해서 다포라 부른다. 칸살에 놓이는 포작을 든든하게 받기 위하여 창방밖에 없던 것 위에 평방(平枋)을 더 얹는다. 다포의 특색이다.
닫집 [당가(唐家). 보개(寶蓋)] : 부처님 계신 천상의 보궁(寶宮)을 상징하여 보개를 불단위에 설치하여 좌정한 여래(如來), 보살상(菩薩像)의 법을 증명하며 또한 장엄한 장식. 흔히 기둥, 낙양각, 갖은 포작의 다포, 겹처마, 지붕으로 구조되며 용(龍)과 봉(鳳), 그리고 비천상(飛天像)등이 장식된다.
당와 (唐瓦) : 막새기와의 다른 말. 암, 수의 막새를 통칭한다.
대공 (臺工. 中盤. 波蓮臺工) : 대들보 위에 서서 종보와 중도리를 받거나, 종보 중앙에 서서 종(마루)도리를 받는 구조물을 대공이라 하고, 중도리 받는 것을 중대공, 종도리 받는 것을 마루대공이라 한다. 대공의 형상에 따라 동자(童子)대공, 복화반(覆花盤), 앙화반대공(仰花盤臺工), 파연대공(波蓮臺工), 판대공(板臺工), 포대공(包臺工) 이라 하거나 접시대공 이라고도 한다. 상대에서는 대공 좌우로 솟을 합장을 부설시키는 것이 보통이었다.
대들보 [大樑, 大 ] : 건물에 사용된 목재 중에서 가장 우람한 것. 가구하는 모든 부재가 대들보에 짐을 싣는다. 지붕의 하중(荷重)도 지탱한다. 대들보를 어떻게 걸었느냐에 따라 집의 법식은 확연히 달라진다. 보통 앞, 뒤 기둥에 걸리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이에 따라 대들보를 깎는 방식도 홍량(虹樑), 항아리보, 평량(平樑)등으로 다양하다.
댓돌 [基址石. 基壇石. 죽담돌] : 화강석을 가늘고 길게 다듬어 기지, 기단구조에 사용하는 석재. 장대석, 와장대석(臥長臺石)이라고도 부른다. 1단만 설치하면 외벌대, 2단이면 두벌대, 3단이면 세벌대라 부르는데 일주문 등에선 외벌대를 사천왕문(四天王門)이나 요사(寮舍)에선 두벌대를, 법당이면 세벌대로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댓돌로 구성하는 기지, 기단에는 단층인 것과 상,하의 중층(重層)인 것의 두가지가 있다.
도리 [桁. 楣] : 기둥과 기둥 사이를 건너지르는 굵은 재목. 다듬는 법에 따라 굴도리, 납도리로 나누고 단면이 8각이 되게 하기도 한다. 공포가 구성되는 집에서는 포작의 맨 위쪽에 결구되며 반드시 장혀의 받침을 받는다. 도리는 위치에 따라 외목, 주심, 내목, 중, 종중, 뜬, 종도리, 적심 도리로 부르며 둥근 통나무의 굴도리로 쓰나 때로 켠 나무도 쓴다. 도리는 서까래를 떠받는다.
동자주 (童子柱) : 단주(短柱)의 한가지. 주로 가구(架構)에 사용된다. 5량가(五樑架) 등에서 종량(宗樑)을 걸 때 화반(花盤)이나 포대공(包臺工)을 쓰는 외에 방주(方柱)를 세워 지탱하게 하는 기법이 있다. 이 방주는 짧은 기둥 모양이 되는데, 그렇다고 해서 동자주라고 부른다. 동자주는 난간, 머름, 반자, 마루 등의 부속품으로도 쓰이는 듯이 호칭되나 이는 동자주형(童子柱形)이라는 형용사적 용어의 생략형이어서 동자주 그 자체와는 다르다.
맞배지붕 : 기와지붕 중에서 구조가 가장 간결한 것. 상대로부터 주심포(柱心包) 집에서 많이 쓰던 유형이다. 그래서 다포계 건물과의 구분에 주심포 특색 중에 맞배지붕이 포함되기도 하나 상대에도 여러 가지 지붕의 유형은 있었다. 다포집에서 공포가 측면에도 결구될 때 맞배지붕은 참으로 구성하기 어려우나 그런 구조로 이룩된 것도 조선조에 적지 않다. 맞배는 앞뒤로만 지붕이 구조된다.
문얼굴 [門額] : 기둥 사이에 문짝을 달기 위하여 신방목(信枋木), 벽선, 문인방을 세우거나 문지방에 벽선, 문인방을 설치하거나 머름을 짜고 그 위에 벽선을 세우고 문인방을 걸어 문얼굴을 구성하는 것이 예부터의 법식이었다. 석굴암의 문얼굴은 9세기의 철감선사징소탑(澈鑒禪師澄昭塔)의 문얼굴과 같고 12세기의 부석사 무량수전(浮石寺 無量壽殿) 뒷벽 문얼굴과 구조한 기법까지 꼭 같다. 조선조 말기의 건축에서 그런 문얼굴을 본다.
문짝 [門扉. 門扇. 門戶] : 문얼굴에 달려 개폐(開閉)되면서 출입하게 하는 시설.
필요에 따라 강력한 의도로 잠글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판문(板門)을 단다. 널문짝이 외짝일 땐 판비(板扉), 두짝이면 판선(板扇)이라 하고 철갑(鐵甲)을 씌우기도 하고 역사상(力士像)을 그리기도 한다. 얇은 판자로 만든 당판문(唐板門), 살대로 무늬를 구성한 여러 가지 살대문, 판재를 투각(透刻)하여 꽃장식한 화문(華門), 살대에 의지하고 도배한 모양으로도 달라진다.
바래기[望瓦.망새] : 치미, 취두, 용두 등을 둘 수 없는 건물에서의 용마루 마감에 좌우 끝에 암막새처럼 생긴 무늬 있는 것을 설치하기도 한다. 망새, 바래기 기와라 부르는데 없을 때는 암막새를 이용하기도 한다. 상대엔 귀면와(鬼面瓦) 대신에 형 무늬나 (<--똑같은 형태를
나비장 : 이음새의 한 가지로 보편적으로 많이 쓰는 고래(古來)의 기법이다. 목재를 이음할 때는 단단한 나무로, 석재를 이음할 때는 정철(正鐵)로 나비[蝶]모양을 만들어 목재와 석재에 판 홈에 박아 두 재료를 연(連)잇게 한다.
납도리 [방형(方桁)] 통나무 볼치를 훑어 내어 반듯하게 다듬어 사용하는 도리, 격조(格調)가 떨어지는 건물에 주로 사용한다.
누하주 (樓下柱) : 다락집[누사(樓謝)] 구성에서 마루 밑으로 세우는 기둥. 건물에 따라 목주(木柱)를 세우기도, 석주(石柱)를 세우기도 하는데 석주의 유구(遺構)로는 경복궁 경회루가 가장 유명하다. 사원건축의 유구 중에는 석주의 예가 드물다. 목주일 때 누하주는 누상주(樓上柱)와 한몸일 때와, 별조(別造)하는 수의 두 가지 기법이 있는데 따로 세울때는 누상주보다 누하주를 굵은 목재로 한다.
다포 (多包.花拱) : 조선왕조실록의 화공(花拱)을 포함한 유형을 주심포와 익공과 구분하기 위하여 새롭게 지어 부르는 명칭. 주심포가 기둥 위에서만 포작을 구성하는데 비하여 다포는 기둥 사이의 칸살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성하는 것. 그래서 포가 많다고 해서 다포라 부른다. 칸살에 놓이는 포작을 든든하게 받기 위하여 창방밖에 없던 것 위에 평방(平枋)을 더 얹는다. 다포의 특색이다.
닫집 [당가(唐家). 보개(寶蓋)] : 부처님 계신 천상의 보궁(寶宮)을 상징하여 보개를 불단위에 설치하여 좌정한 여래(如來), 보살상(菩薩像)의 법을 증명하며 또한 장엄한 장식. 흔히 기둥, 낙양각, 갖은 포작의 다포, 겹처마, 지붕으로 구조되며 용(龍)과 봉(鳳), 그리고 비천상(飛天像)등이 장식된다.
당와 (唐瓦) : 막새기와의 다른 말. 암, 수의 막새를 통칭한다.
대공 (臺工. 中盤. 波蓮臺工) : 대들보 위에 서서 종보와 중도리를 받거나, 종보 중앙에 서서 종(마루)도리를 받는 구조물을 대공이라 하고, 중도리 받는 것을 중대공, 종도리 받는 것을 마루대공이라 한다. 대공의 형상에 따라 동자(童子)대공, 복화반(覆花盤), 앙화반대공(仰花盤臺工), 파연대공(波蓮臺工), 판대공(板臺工), 포대공(包臺工) 이라 하거나 접시대공 이라고도 한다. 상대에서는 대공 좌우로 솟을 합장을 부설시키는 것이 보통이었다.
대들보 [大樑, 大 ] : 건물에 사용된 목재 중에서 가장 우람한 것. 가구하는 모든 부재가 대들보에 짐을 싣는다. 지붕의 하중(荷重)도 지탱한다. 대들보를 어떻게 걸었느냐에 따라 집의 법식은 확연히 달라진다. 보통 앞, 뒤 기둥에 걸리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이에 따라 대들보를 깎는 방식도 홍량(虹樑), 항아리보, 평량(平樑)등으로 다양하다.
댓돌 [基址石. 基壇石. 죽담돌] : 화강석을 가늘고 길게 다듬어 기지, 기단구조에 사용하는 석재. 장대석, 와장대석(臥長臺石)이라고도 부른다. 1단만 설치하면 외벌대, 2단이면 두벌대, 3단이면 세벌대라 부르는데 일주문 등에선 외벌대를 사천왕문(四天王門)이나 요사(寮舍)에선 두벌대를, 법당이면 세벌대로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댓돌로 구성하는 기지, 기단에는 단층인 것과 상,하의 중층(重層)인 것의 두가지가 있다.
도리 [桁. 楣] : 기둥과 기둥 사이를 건너지르는 굵은 재목. 다듬는 법에 따라 굴도리, 납도리로 나누고 단면이 8각이 되게 하기도 한다. 공포가 구성되는 집에서는 포작의 맨 위쪽에 결구되며 반드시 장혀의 받침을 받는다. 도리는 위치에 따라 외목, 주심, 내목, 중, 종중, 뜬, 종도리, 적심 도리로 부르며 둥근 통나무의 굴도리로 쓰나 때로 켠 나무도 쓴다. 도리는 서까래를 떠받는다.
동자주 (童子柱) : 단주(短柱)의 한가지. 주로 가구(架構)에 사용된다. 5량가(五樑架) 등에서 종량(宗樑)을 걸 때 화반(花盤)이나 포대공(包臺工)을 쓰는 외에 방주(方柱)를 세워 지탱하게 하는 기법이 있다. 이 방주는 짧은 기둥 모양이 되는데, 그렇다고 해서 동자주라고 부른다. 동자주는 난간, 머름, 반자, 마루 등의 부속품으로도 쓰이는 듯이 호칭되나 이는 동자주형(童子柱形)이라는 형용사적 용어의 생략형이어서 동자주 그 자체와는 다르다.
맞배지붕 : 기와지붕 중에서 구조가 가장 간결한 것. 상대로부터 주심포(柱心包) 집에서 많이 쓰던 유형이다. 그래서 다포계 건물과의 구분에 주심포 특색 중에 맞배지붕이 포함되기도 하나 상대에도 여러 가지 지붕의 유형은 있었다. 다포집에서 공포가 측면에도 결구될 때 맞배지붕은 참으로 구성하기 어려우나 그런 구조로 이룩된 것도 조선조에 적지 않다. 맞배는 앞뒤로만 지붕이 구조된다.
문얼굴 [門額] : 기둥 사이에 문짝을 달기 위하여 신방목(信枋木), 벽선, 문인방을 세우거나 문지방에 벽선, 문인방을 설치하거나 머름을 짜고 그 위에 벽선을 세우고 문인방을 걸어 문얼굴을 구성하는 것이 예부터의 법식이었다. 석굴암의 문얼굴은 9세기의 철감선사징소탑(澈鑒禪師澄昭塔)의 문얼굴과 같고 12세기의 부석사 무량수전(浮石寺 無量壽殿) 뒷벽 문얼굴과 구조한 기법까지 꼭 같다. 조선조 말기의 건축에서 그런 문얼굴을 본다.
문짝 [門扉. 門扇. 門戶] : 문얼굴에 달려 개폐(開閉)되면서 출입하게 하는 시설.
필요에 따라 강력한 의도로 잠글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판문(板門)을 단다. 널문짝이 외짝일 땐 판비(板扉), 두짝이면 판선(板扇)이라 하고 철갑(鐵甲)을 씌우기도 하고 역사상(力士像)을 그리기도 한다. 얇은 판자로 만든 당판문(唐板門), 살대로 무늬를 구성한 여러 가지 살대문, 판재를 투각(透刻)하여 꽃장식한 화문(華門), 살대에 의지하고 도배한 모양으로도 달라진다.
바래기[望瓦.망새] : 치미, 취두, 용두 등을 둘 수 없는 건물에서의 용마루 마감에 좌우 끝에 암막새처럼 생긴 무늬 있는 것을 설치하기도 한다. 망새, 바래기 기와라 부르는데 없을 때는 암막새를 이용하기도 한다. 상대엔 귀면와(鬼面瓦) 대신에 형 무늬나 (<--똑같은 형태를
추천자료
[가상현실][사이버공간][온라인][인터넷]가상현실(사이버공간)(가상현실(사이버공간)의 성격,...
건축기사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조명][조명기구][조명(조명기구) 인테리어]조명(조명기구)의 종류, 조명(조명기구) 방식에 ...
[포스트모더니즘][건축][문학][교육][포스트모던][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 포스트모...
풍수지리사상(풍수지리학)의 개념과 원리, 풍수지리사상(풍수지리학)의 용어와 영향, 풍수지...
풍수(풍수지리학)의 개념, 풍수(풍수지리학)의 용어, 풍수(풍수지리학) 논리, 풍수(풍수지리...
풍수지리(풍수지리설) 정의, 풍수지리(풍수지리설) 원리, 풍수지리(풍수지리설) 용어, 풍수지...
[수학][건축][수학과 기호][수학과 기수법][수학과 음수][수학과 인수분해][수학과 뫼비우스...
열린교육의 개념과 조건, 열린교육의 기본요소, 열린교육의 관련 용어, 열린교육의 학습분위...
건축과 디자인 바로크문화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형태와 흐름,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용어, 풍수지리(풍수지리학) ...
건축환경실험(소음측정)
[시설물][안전점검][관리아웃소싱][시설물의 유지보수체제][시설물의 감리제도]시설물의 관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