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초기 영국 주일학교 운동
19세기 미국 주일학교 운동
종교교육 주의 운동
20세기의 기독교교육
내일을 지향하는기독교교육
19세기 미국 주일학교 운동
종교교육 주의 운동
20세기의 기독교교육
내일을 지향하는기독교교육
본문내용
가지 배웠지만 잘 이해가 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이번 계기로 다시금 주일학교의 흐름을 정립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시대 시대마다 주일학교의 성장을 위한 변화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초기 주일학교 운동의 흐름을 보면서, 현재 내가 다니고 있는 주일학교 실정을 생각 해 보게 되었으며, 또한 우리의 교육 실정을 생각해 본다. 우리교회의 교사들을 보면은 아동의 중요성에 대하여 가르쳐도 그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결국 아동부가 줄어드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또한 교회에서도 교회교육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초기 주일학교 부흥운동처럼 다시금 교사들의 각성과 부흥운동이 일어나야 하겠다. 아동이 없는 교회는 무너지고 말 것이다. 또한 가르치는 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계속해서 연구되고 발전해야 할 것이다. 거의 대부분이 기존에 사용하는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초기 주일학교 운동의 모습에서 프로그램 개발에 주력 한 것처럼 새로운 아이템들이 나아야 한다고 본다.
1872년 \"국제 통일 공과\"가 만들어져 전세계에서 가르치게 되었다. 나는 이것에 대한 문제가 있다고 본다. 후에 계단공과등 많은 교재들이 나았지만 어쨌든 나라의 상황과 문화가 틀리는데 어떻게 같은 내용을 적용할 수 있겠는가? 지금 우리나라도 교파별로 같은 공과들이 농촌과 도시에서 동시에 가르쳐지고 있는 계단 공과 통일공과 등이 있다. 사실 이것도 문제가 많다. 도시, 농촌, 어촌, 산간 의 상황이 틀리고 어느교회는 교사가 많고 없고 한데 이것을 가르치고 적용하기란 맞지가 않다. 주일학교교육의 바른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교재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본다.
또한 초기 미국에서 개인의 구원에 ж점을 두고 교육을 한 것을 볼 수가 있다. 지금 우리의 교회 교육이 너무나 개인구원에만 ж점을 두고 있지 않나 생가해 본다. 우리는 교회교육이 개인구원적인 측면에서 공동체적(세계)인 구원으로 바뀌어야 하며 \"인간성회복\" 및 \"의식화\" 교육이 일어나야 한다고 본다. 그러면서 교회에서와 가성에서와 사회에서의 삶이 일치가 되도록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일관성 있는 삶이 되어야 한다.
우리는 가정의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면서 가정에서부터 신앙 교육이 이루질 수 있게 교회에서 연결을 잘 해 주어야 하며 강조해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의 미래는 바로 주일학교에 달려 있기에 지 교회에서 주일학교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초기 주일학교 운동의 흐름을 보면서, 현재 내가 다니고 있는 주일학교 실정을 생각 해 보게 되었으며, 또한 우리의 교육 실정을 생각해 본다. 우리교회의 교사들을 보면은 아동의 중요성에 대하여 가르쳐도 그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결국 아동부가 줄어드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또한 교회에서도 교회교육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초기 주일학교 부흥운동처럼 다시금 교사들의 각성과 부흥운동이 일어나야 하겠다. 아동이 없는 교회는 무너지고 말 것이다. 또한 가르치는 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계속해서 연구되고 발전해야 할 것이다. 거의 대부분이 기존에 사용하는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초기 주일학교 운동의 모습에서 프로그램 개발에 주력 한 것처럼 새로운 아이템들이 나아야 한다고 본다.
1872년 \"국제 통일 공과\"가 만들어져 전세계에서 가르치게 되었다. 나는 이것에 대한 문제가 있다고 본다. 후에 계단공과등 많은 교재들이 나았지만 어쨌든 나라의 상황과 문화가 틀리는데 어떻게 같은 내용을 적용할 수 있겠는가? 지금 우리나라도 교파별로 같은 공과들이 농촌과 도시에서 동시에 가르쳐지고 있는 계단 공과 통일공과 등이 있다. 사실 이것도 문제가 많다. 도시, 농촌, 어촌, 산간 의 상황이 틀리고 어느교회는 교사가 많고 없고 한데 이것을 가르치고 적용하기란 맞지가 않다. 주일학교교육의 바른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교재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본다.
또한 초기 미국에서 개인의 구원에 ж점을 두고 교육을 한 것을 볼 수가 있다. 지금 우리의 교회 교육이 너무나 개인구원에만 ж점을 두고 있지 않나 생가해 본다. 우리는 교회교육이 개인구원적인 측면에서 공동체적(세계)인 구원으로 바뀌어야 하며 \"인간성회복\" 및 \"의식화\" 교육이 일어나야 한다고 본다. 그러면서 교회에서와 가성에서와 사회에서의 삶이 일치가 되도록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일관성 있는 삶이 되어야 한다.
우리는 가정의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면서 가정에서부터 신앙 교육이 이루질 수 있게 교회에서 연결을 잘 해 주어야 하며 강조해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의 미래는 바로 주일학교에 달려 있기에 지 교회에서 주일학교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21세기를 향한 기독교 교육
영성교육과정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접근
기독교 교육개론 정리
청소년의 신앙발달과 기독교 교육
기독교교육행정
그리스 로마 교육과 중세 기독교교육
코메니우스의 기독교 교육 사상 연구
[기독교 부모교육] 교회학교 부모교육
기독교 교육
[기독교교육론] 여호수아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여호수아의 생애, 영적 리더십의 형성...
[기독교교육론] 다윗의 영적 지도력에 관한 연구 - 다윗의 생애, 다윗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
[기독교교육론] 사무엘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사무엘의 출생과 생애, 영적 리더십의 소...
[기독교교육론] 솔로몬의 영적 지도력에 관한 연구 (솔로몬의 생애, 영적 리더십의 원천, 영...
『돈과 경제와 그리스도인』 _ 조성국 저 [기독교인간학과교육, 인간학 서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