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청자 포도동자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와 받침
● 분청사기 연꽃 물고기무늬 병
● 청자 어룡식화병
● 삼채말
● 한국작품과 아시아 작품비교
● 분청사기 연꽃 물고기무늬 병
● 청자 어룡식화병
● 삼채말
● 한국작품과 아시아 작품비교
본문내용
대
하여 감상적 표현을 말하라고 하면 이것 역시 마찬가지로 어렵다. 청자란 글자가 지니 뜻
으로 풀이해보면 푸른 빛깔의 자기그릇이다. 그런데 청자에서의 청색이라는 색의 정의가 막
연하다. 자연과 도공의 혼이 어우러져 나타나는 청자의 색을 어떤 사람은 푸른 하늘의 색에 비유하기도하고, 어떤 이는 먼 산의 푸르름에 비유하기도하며, 어떤 이는 깊은 물의 색으로 비유하기도 했다. 그리고 평소 청자를 모르던 사람들도 청자를 곁에서 보면 무언가 신비스
러움에 도취되고, 그윽한 색깔과 청아함, 섬세하고 다양한 무늬에 아름다움에 넋을 잃게 된
다. 어쩌면 이런 것이 청자가 지니고 있는 신비함이요, 아름다움이요, 가치일지도 모른다. 청자문화의 선진국이라는 자부하는 중국에서까지 자기 나라의 청자를 제쳐두고 고려청자를 천하에서 제일 귀하고 값진 것 중의 하나로 지목한 바 있어 고려청자의 예술적 가치를 가늠
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천년이나 지난 오늘날의 우리에게 까지도 그 신비스런 아름다움과 예술적 감각을 공감하게 하는 고려청자는 인간이 이루어 낼 수 있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예술품이며 한국문화의 진수라고 할 수 있다.
고려자기는 한국의 전통적인 토속신앙과 불교, 노장(老莊), 풍수도참사상 등을 배경으로 청자가 주로 생산되고 세련되었다. 고려청자는 은은하면서 맑고 명랑한 비색, 조각도의 힘
찬 선을 지닌 기물과 일치된 상감문양, 우아하고 유려한 선의 흐름을 지닌 형태, 세계 최
초로 도자기에 산화동(酸化銅)으로 선홍(鮮紅)의 발색을 성공시킨 기술적 우수성 등이 그 특색이자 아름다움이며 자연의 향취를 언제나 지니고 있다.
하여 감상적 표현을 말하라고 하면 이것 역시 마찬가지로 어렵다. 청자란 글자가 지니 뜻
으로 풀이해보면 푸른 빛깔의 자기그릇이다. 그런데 청자에서의 청색이라는 색의 정의가 막
연하다. 자연과 도공의 혼이 어우러져 나타나는 청자의 색을 어떤 사람은 푸른 하늘의 색에 비유하기도하고, 어떤 이는 먼 산의 푸르름에 비유하기도하며, 어떤 이는 깊은 물의 색으로 비유하기도 했다. 그리고 평소 청자를 모르던 사람들도 청자를 곁에서 보면 무언가 신비스
러움에 도취되고, 그윽한 색깔과 청아함, 섬세하고 다양한 무늬에 아름다움에 넋을 잃게 된
다. 어쩌면 이런 것이 청자가 지니고 있는 신비함이요, 아름다움이요, 가치일지도 모른다. 청자문화의 선진국이라는 자부하는 중국에서까지 자기 나라의 청자를 제쳐두고 고려청자를 천하에서 제일 귀하고 값진 것 중의 하나로 지목한 바 있어 고려청자의 예술적 가치를 가늠
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천년이나 지난 오늘날의 우리에게 까지도 그 신비스런 아름다움과 예술적 감각을 공감하게 하는 고려청자는 인간이 이루어 낼 수 있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예술품이며 한국문화의 진수라고 할 수 있다.
고려자기는 한국의 전통적인 토속신앙과 불교, 노장(老莊), 풍수도참사상 등을 배경으로 청자가 주로 생산되고 세련되었다. 고려청자는 은은하면서 맑고 명랑한 비색, 조각도의 힘
찬 선을 지닌 기물과 일치된 상감문양, 우아하고 유려한 선의 흐름을 지닌 형태, 세계 최
초로 도자기에 산화동(酸化銅)으로 선홍(鮮紅)의 발색을 성공시킨 기술적 우수성 등이 그 특색이자 아름다움이며 자연의 향취를 언제나 지니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