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체계측
활력징후
피부
머리 및 얼굴
흉부
복부 및 소화기계
신경계 반사(정상반사)
비뇨생식기계
근골격계
어머니의 교육적 요구사정
흔히 발생되는 건강문제
모아애착
활력징후
피부
머리 및 얼굴
흉부
복부 및 소화기계
신경계 반사(정상반사)
비뇨생식기계
근골격계
어머니의 교육적 요구사정
흔히 발생되는 건강문제
모아애착
본문내용
통 감겨 있다.
②눈꺼풀은 출생 2일동안 부종이 있다.
③접촉시 각막반사, 빛이나 접촉시 눈깜짝 반사
④안구진탕이나 사시가 흔히 있다.
⑤홍채색 : 백인-회색, 짙은 푸른색, 유색인-갈색
⑥눈물샘 성숙도에 따라 눈물이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다.
⑦대상물에 시선을 고정할 수 있고, 중앙선까지 따라올 수 있다.
막 태어난 신생아들은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였고 대부분 눈을 감고 있었다. 대부분 눈두덩이가 부어있었는데 그 붓기가 심해서 꼭 눈이 심하게 부어서 눈을 못뜨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눈 간호 (Eye care)
목적
vaginal Delivary한 아기는 임질균에 의한 안염을 예방을 위함이다.
→0.7% AgNO3 1방울 점적하고 0.9% saline(erythromycin)으로 중화시킨다.
절차
① 목욕후 0.9% Saline sponge로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는다.(흐르는 것을 닦아냄)
→안약 점적시에 눈의 중간의 외측에 떨어뜨림(결막에 if 눈의 안쪽에 잘못 떨어뜨렸을 시에 는 눈물샘으로 들어갈 우려가 있으므로)
② 양눈은 각각 다른 Sponge를 사용한다.
③ 입원기간중 Eye Discharge가 있으면 Order에 의해 검사를 내보내고 안약을 사용한다.
*유의사항: Eye Care 전후 반드시 손 소독한다.
눈에 눈꼽이 끼는 아기들은 normal saline이나 알콜을 면봉에 뭍여서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아냈다. 안약을 넣을 경우에는 아기의 눈을 벌린채로 눈의 중간에 안약통이 눈에 닿지 않게 약간 떨어지게 해서 안약을 떨어뜨리는 것을 볼 수 있었다.
5.귀
눈에서 후두까지 선을 옆으로 그었을 때 귓바퀴 위가 그 선을 만나거나 지나야 한다. 귀 가 아래로 붙은 것은 정신박약이거나 신장이상이나 두개 안면기형을 기르키는 증세이다.
이개의 높이 : 눈의 바깥쪽 안와 높이
이개의 각도 : 안와에서 그은선의 직각에서 10°이내
검사법 : 후하방
6.코
폐색이 없다.
흰 점액이 축적 → 재채기
코가 나오면 스포이드를 확대 시켜놓은 것으로 뽑아내었다.
7.입
구개는 높은 아치형
진주종(epstein pearl) : 경구개 작은 흰 상피세포 덩어리. 수주내 소실
sucking reflex, rooting reflex
<흉부>
전후경≒좌우경. 즉 원통형
늑골은 매우 유연. 흡기시 약간의 늑간 함몰
검상돌기 약간의 돌출. 흉골 돌출, 약간 굽어 있다.
유방의 크기, 모양, 형태, 위치, 수 관찰
Hormone 영향으로 유방 종창, 액체 분비
1.마유(witch\'s milk)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모체의 프로락틴의 작용으로 신생아에서 젖이 나오는 것을말 함
짜주면 절대로 안 된다.
2-3일경 소실
2.유방종창
모체의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의하여 출생 수 일 후 남아나 혹은 여아에서 유방이 커지는 것
신기하게도 아기들의 유방이 조금씩 부풀러 올라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비만인 남자 아이들에게서 살쪄서 가슴이 나오는 것과 비슷했다. 아기들에게서 가슴이 부풀어 있는게 신기하게만 느껴졌다.
3.가성월경(pseudomenstruation)
모체의 호르몬 영향으로 점액성 또는 혈액성 질분비물이 나오는 것
<복부 및 소화기계>
1.태변배출= 항문개방 (24시간 이내)
태변이 보이지 않을시 : 장갑끼고 윤활제를 바른 손가락이나 카테터 삽입
직장체온계는 사용하지 않는다.(점막 천공의 위험으로)
※태변 (Meconium) : 고약같이 검은색(암록색암갈색)으로 끈적끈적하고 냄새×.
출생 후 8~24시감 이내에 처음 보는 변.
하부 장관에 측적된 장 분비물로 탈락세포, 솜털, 태지, 담즙색소 등으로 구성
생후 2~3일까지 지속
10시간 후부터 시작하여, 하루 4-6회정도 배설
생후 24시간이 지나도 배설되지 않으면, 항문폐색, 장폐색을 의심
태변은 색깔은 거의 검은색에 가까운 녹색이었고 냄새는 나지 않았다. 맘먹고 한번 만져봤었는데 찐득찐득한게 느낌이 좋지 않았다. 태변을 많이 보는 아기들은 천 기저귀 두 개를 완전히 채우는 경우도 있었고 거의 안 보는 아기들은 약간 비추는 정도로만 보는 아기들도 있었다.
※이행변(transitional stool) : 생후 4일째 ~ 2주, 약간 묽고 점액성
아기들의 변은 몽글몽글한 꼭 참외씨처럼 뭔가가 몽우리져 있었고 물기가 있었다. 색깔은 노란색과 녹색을 섞어놓은 것 같았다. 우유를 먹는 아기들의 변은 냄새가 많이 났다.
2.생리적 황달(Physiologic Jaundice)
대부분의 신생아에게서 볼 수 있는 증상으로 신생아는 간 기능이 불완전하여 효소계의 발달이 미숙한데 간접 빌리루빈이 배설되는 형태인 bilirubin glucuronide(직접 빌리루빈)로 전환되는데 여기에 관여하는 glucuronyl transferase같은 효소의 활성이 부족하여 신생아의 생리적 황달을 유발함
아기의 간장이 미숙해 적혈구의 파괴로 색소를 미리 처리하지 못해 생기는 것
(태아 때에 모체가 처리해주던 빌리루빈을 갓 태어난 신생아가 스스로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기까지의 적응 기간에 빌리루빈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기 때문)
피부가 노랗게 황색으로 변하고 피부, 눈의 결막, 내장의 뇌 세포까지 영향을 끼침.
출생시 다량의 빌리루빈을 포함 출생 후 적혈구의 파괴로 높은 빌리루빈치를 초래해 이로 인해 황달 출현.
정상상태에서 간접형 빌리루빈치는 서서히 증가하여, 생후 2-3일에 눈으로 식별되고, 생후 3-4일에 5-6mg/100ml로 최고에 도달하여, 생후 5-7일경에 감소한다.
황달은 얼굴 및 목에서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몸통 쪽으로 진행하여 심한 경우 손과 발바 닥까지 노랗게 변하게 된다.
→피부뿐만 아니라 눈의 결막, 내장, 뇌세포까지도 노랗게 물 들게 되며 특히 미숙아의 경 우는 정상아보다 좀 오래가고 심하게 나타난다.
황달이 생후 36시간 내에 심하게 나타난다든지 발바닥까지 노랄 정도로 진행된다든지 혹 은 2주일 이상 계속 남아있다든지 한다면 이것은 병적인 가능성이 있으므로 검사를 해볼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신생아들은 약간씩은 피부가 노랬는데 내가 보기에는 잘 구별하기가 어려
②눈꺼풀은 출생 2일동안 부종이 있다.
③접촉시 각막반사, 빛이나 접촉시 눈깜짝 반사
④안구진탕이나 사시가 흔히 있다.
⑤홍채색 : 백인-회색, 짙은 푸른색, 유색인-갈색
⑥눈물샘 성숙도에 따라 눈물이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다.
⑦대상물에 시선을 고정할 수 있고, 중앙선까지 따라올 수 있다.
막 태어난 신생아들은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였고 대부분 눈을 감고 있었다. 대부분 눈두덩이가 부어있었는데 그 붓기가 심해서 꼭 눈이 심하게 부어서 눈을 못뜨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눈 간호 (Eye care)
목적
vaginal Delivary한 아기는 임질균에 의한 안염을 예방을 위함이다.
→0.7% AgNO3 1방울 점적하고 0.9% saline(erythromycin)으로 중화시킨다.
절차
① 목욕후 0.9% Saline sponge로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는다.(흐르는 것을 닦아냄)
→안약 점적시에 눈의 중간의 외측에 떨어뜨림(결막에 if 눈의 안쪽에 잘못 떨어뜨렸을 시에 는 눈물샘으로 들어갈 우려가 있으므로)
② 양눈은 각각 다른 Sponge를 사용한다.
③ 입원기간중 Eye Discharge가 있으면 Order에 의해 검사를 내보내고 안약을 사용한다.
*유의사항: Eye Care 전후 반드시 손 소독한다.
눈에 눈꼽이 끼는 아기들은 normal saline이나 알콜을 면봉에 뭍여서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아냈다. 안약을 넣을 경우에는 아기의 눈을 벌린채로 눈의 중간에 안약통이 눈에 닿지 않게 약간 떨어지게 해서 안약을 떨어뜨리는 것을 볼 수 있었다.
5.귀
눈에서 후두까지 선을 옆으로 그었을 때 귓바퀴 위가 그 선을 만나거나 지나야 한다. 귀 가 아래로 붙은 것은 정신박약이거나 신장이상이나 두개 안면기형을 기르키는 증세이다.
이개의 높이 : 눈의 바깥쪽 안와 높이
이개의 각도 : 안와에서 그은선의 직각에서 10°이내
검사법 : 후하방
6.코
폐색이 없다.
흰 점액이 축적 → 재채기
코가 나오면 스포이드를 확대 시켜놓은 것으로 뽑아내었다.
7.입
구개는 높은 아치형
진주종(epstein pearl) : 경구개 작은 흰 상피세포 덩어리. 수주내 소실
sucking reflex, rooting reflex
<흉부>
전후경≒좌우경. 즉 원통형
늑골은 매우 유연. 흡기시 약간의 늑간 함몰
검상돌기 약간의 돌출. 흉골 돌출, 약간 굽어 있다.
유방의 크기, 모양, 형태, 위치, 수 관찰
Hormone 영향으로 유방 종창, 액체 분비
1.마유(witch\'s milk)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모체의 프로락틴의 작용으로 신생아에서 젖이 나오는 것을말 함
짜주면 절대로 안 된다.
2-3일경 소실
2.유방종창
모체의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의하여 출생 수 일 후 남아나 혹은 여아에서 유방이 커지는 것
신기하게도 아기들의 유방이 조금씩 부풀러 올라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비만인 남자 아이들에게서 살쪄서 가슴이 나오는 것과 비슷했다. 아기들에게서 가슴이 부풀어 있는게 신기하게만 느껴졌다.
3.가성월경(pseudomenstruation)
모체의 호르몬 영향으로 점액성 또는 혈액성 질분비물이 나오는 것
<복부 및 소화기계>
1.태변배출= 항문개방 (24시간 이내)
태변이 보이지 않을시 : 장갑끼고 윤활제를 바른 손가락이나 카테터 삽입
직장체온계는 사용하지 않는다.(점막 천공의 위험으로)
※태변 (Meconium) : 고약같이 검은색(암록색암갈색)으로 끈적끈적하고 냄새×.
출생 후 8~24시감 이내에 처음 보는 변.
하부 장관에 측적된 장 분비물로 탈락세포, 솜털, 태지, 담즙색소 등으로 구성
생후 2~3일까지 지속
10시간 후부터 시작하여, 하루 4-6회정도 배설
생후 24시간이 지나도 배설되지 않으면, 항문폐색, 장폐색을 의심
태변은 색깔은 거의 검은색에 가까운 녹색이었고 냄새는 나지 않았다. 맘먹고 한번 만져봤었는데 찐득찐득한게 느낌이 좋지 않았다. 태변을 많이 보는 아기들은 천 기저귀 두 개를 완전히 채우는 경우도 있었고 거의 안 보는 아기들은 약간 비추는 정도로만 보는 아기들도 있었다.
※이행변(transitional stool) : 생후 4일째 ~ 2주, 약간 묽고 점액성
아기들의 변은 몽글몽글한 꼭 참외씨처럼 뭔가가 몽우리져 있었고 물기가 있었다. 색깔은 노란색과 녹색을 섞어놓은 것 같았다. 우유를 먹는 아기들의 변은 냄새가 많이 났다.
2.생리적 황달(Physiologic Jaundice)
대부분의 신생아에게서 볼 수 있는 증상으로 신생아는 간 기능이 불완전하여 효소계의 발달이 미숙한데 간접 빌리루빈이 배설되는 형태인 bilirubin glucuronide(직접 빌리루빈)로 전환되는데 여기에 관여하는 glucuronyl transferase같은 효소의 활성이 부족하여 신생아의 생리적 황달을 유발함
아기의 간장이 미숙해 적혈구의 파괴로 색소를 미리 처리하지 못해 생기는 것
(태아 때에 모체가 처리해주던 빌리루빈을 갓 태어난 신생아가 스스로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기까지의 적응 기간에 빌리루빈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기 때문)
피부가 노랗게 황색으로 변하고 피부, 눈의 결막, 내장의 뇌 세포까지 영향을 끼침.
출생시 다량의 빌리루빈을 포함 출생 후 적혈구의 파괴로 높은 빌리루빈치를 초래해 이로 인해 황달 출현.
정상상태에서 간접형 빌리루빈치는 서서히 증가하여, 생후 2-3일에 눈으로 식별되고, 생후 3-4일에 5-6mg/100ml로 최고에 도달하여, 생후 5-7일경에 감소한다.
황달은 얼굴 및 목에서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몸통 쪽으로 진행하여 심한 경우 손과 발바 닥까지 노랗게 변하게 된다.
→피부뿐만 아니라 눈의 결막, 내장, 뇌세포까지도 노랗게 물 들게 되며 특히 미숙아의 경 우는 정상아보다 좀 오래가고 심하게 나타난다.
황달이 생후 36시간 내에 심하게 나타난다든지 발바닥까지 노랄 정도로 진행된다든지 혹 은 2주일 이상 계속 남아있다든지 한다면 이것은 병적인 가능성이 있으므로 검사를 해볼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신생아들은 약간씩은 피부가 노랬는데 내가 보기에는 잘 구별하기가 어려
추천자료
[아동간호학]급성위장염(AGE), 급성인후두염(APT) case study
발달상 고관절 형성장애c(DDH)case study
[아동간호학] 폐렴 간호과정 (Pneumonia case study)
[아동간호학][UTI][요로감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urinary tract infection]
[여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sarean section]
[여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sarean section]
[아동간호학][미숙아][premature][조산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미숙아][저체중아][Prem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분만실 실습) 자연분만(NSVD) case study
제왕절개분만 (cesarean section)간호과정 제왕절개 케이스 case study
[정신간호학][Mental retardation][정신지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모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크룹 케이스 (Croup Case Study) (A+)
모성간호학 C/S 케이스 스터디! 제왕절개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