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1장 총론
1. 설교사의 필요성
신학의 최종적인 목표가 영혼 구원에 있다면, 구체적인 말슴 선포 즉, 설교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빼어버린 기독교는 진정한 기독교일수 없다. 설교다운 설교 교회다운 교회가 부흥을 가져오며 여기에서의 부흥은 수나 양의 많아짐이 아니라 질적인 부흥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질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설교의 질이다.
교회사에 요소가 필요한 것처럼 설교사에도 마찬가지이며 그 것은 예수 그리스도 자신과 그것을 증거하는 매개체인 설교자, 그리고 그 설교는 바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설교사는 강단에서 전하여지는 메시지를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설교사는 자연스럽게 사상사나 신학사의 역할까지 감당하게 된다. 설교사에는 3M이 필요하며 그것은 사람(man), 자료(material), 방법(method)이다. 설교사를 깊이 안다는 것은 교회를 깊이 아나다는 것과 같다.
2. 역사상 설교의 위치
다간(Dargan)에 의하면 설교가 생겨나고 발전하게 된 데에는 3가지의 요인이 있다. 그 첫 번째가 고대웅변(Ancient Oratony), 히브리 예언(Hebrew Prophecy), 기독교 복음(Christian Gospel)이 기독교의 설교가 나오게 된 배경이라고 말한다. 사실상 기독교는 설교로부터 시작되었고 살교로 말미암아 성장되어 간 것이다.
기독교의 역사적으로 볼 때 설교자가 국가의 정책방향과 사상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위대한 설교가들은 국가에게 심원한 영향을 주었다. 설교가 인간의 삶의 여러 방면에 끄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습관과 도덕에 대한 설교의 영향은 크다. 때로는 은혜로 때로는 악행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술과 학문의 진보는 여러 모양으로 설교에 기여했다. 사실 설교와 인류문화의 발전과의 관련은 실제적이고 광범위하였다.
철학과설교와 관련을 보면, 서로가 영향을 끼친 것이 너무나 많다. 그런데 그 영
1. 설교사의 필요성
신학의 최종적인 목표가 영혼 구원에 있다면, 구체적인 말슴 선포 즉, 설교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빼어버린 기독교는 진정한 기독교일수 없다. 설교다운 설교 교회다운 교회가 부흥을 가져오며 여기에서의 부흥은 수나 양의 많아짐이 아니라 질적인 부흥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질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설교의 질이다.
교회사에 요소가 필요한 것처럼 설교사에도 마찬가지이며 그 것은 예수 그리스도 자신과 그것을 증거하는 매개체인 설교자, 그리고 그 설교는 바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설교사는 강단에서 전하여지는 메시지를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설교사는 자연스럽게 사상사나 신학사의 역할까지 감당하게 된다. 설교사에는 3M이 필요하며 그것은 사람(man), 자료(material), 방법(method)이다. 설교사를 깊이 안다는 것은 교회를 깊이 아나다는 것과 같다.
2. 역사상 설교의 위치
다간(Dargan)에 의하면 설교가 생겨나고 발전하게 된 데에는 3가지의 요인이 있다. 그 첫 번째가 고대웅변(Ancient Oratony), 히브리 예언(Hebrew Prophecy), 기독교 복음(Christian Gospel)이 기독교의 설교가 나오게 된 배경이라고 말한다. 사실상 기독교는 설교로부터 시작되었고 살교로 말미암아 성장되어 간 것이다.
기독교의 역사적으로 볼 때 설교자가 국가의 정책방향과 사상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위대한 설교가들은 국가에게 심원한 영향을 주었다. 설교가 인간의 삶의 여러 방면에 끄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습관과 도덕에 대한 설교의 영향은 크다. 때로는 은혜로 때로는 악행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술과 학문의 진보는 여러 모양으로 설교에 기여했다. 사실 설교와 인류문화의 발전과의 관련은 실제적이고 광범위하였다.
철학과설교와 관련을 보면, 서로가 영향을 끼친 것이 너무나 많다. 그런데 그 영
추천자료
21세기 멀티미디어 기술과 한국교회의 과제
참 예언자와 거짓 예언자 구분을 통해본 한국교회의 미래상
[교회][교회갱신][교회교육][한국교회개혁][믿음]교회와 교회갱신, 교회교육, 한국교회개혁(...
[교회][예배][교회학교][현대교회][한국교회]교회와 예배 및 교회학교 분석 고찰(예배, 바람...
[교회][예배][세례][죄][인간 구원][교회개혁][사회개혁][한국교회]교회란 무엇인가, 교회의 ...
'10년 후 한국교회' 서평
[현대문화와 기독교] 초월과 내재로 보는 밀양, 그리고 밀양을 통해 보는 한국교회
<구원론> 칭의와 성화 - 한국교회에 칭의와 성화의 모습이 있는지 없는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
바울(Paulos / Paul)의 구원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21세기 한국교회
[선교신학]하나님의 선교와 한국교회 -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배경,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
[기독교교육사] 한국교회 초기 기독교학교의 건학이념 연구
[기독교문화신학] 한국교회 휴가처럼 떠나는 단기선교- 그에 대한 방안
예언자적 사명을 감당해야 하는 한국교회
WCC의 역사, WCC와 복음주의 신학교육의 당면과제, WCC의 이념과 한국교회의 타종교 이해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