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자표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차자표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吏讀와 鄕札
1) 吏讀
2) 鄕札

2. 口訣

3. 맺음말

본문내용

」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고려 문종(文宗) 29년(1075)에 나온 《균여전》에서 향가와 같은 완전한 우리말의 문장을 향찰이라 불렀던 사실이 밝혀지면서 향찰과 이두를 구별하여야 된다는 견해가 대두되어, 오늘날 우리 학계는 종전대로 향찰과 이두를 동일시하는 견해와, 향찰이두구결 등 모두를 동일시하는 견해, 그리고 향찰과 이두를 구별하려는 견해로 나누어져 있다.
이두가 쓰인 글은 한문의 개조가 있는 데 반하여 구결은 한문의 순서는 그대로 두고 한문의 독해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토만 단 것이다. 곧 이두체는 실사(實辭)는 그대로 한문식 어휘로써 만족하되, 그 사이사이에 한자들의 음과 훈을 이용하여 형태부를 나타내서 국어의 문장 구성법처럼 기록하는 문체이니, 구결이 음독자(音讀)字) 중심인데 반해 이두는 훈독자(訓讀字) 중심이다.
이두 문체에서는 향찰문과 구결문이 파생한 것이라고 한기도 하는데, 이 이두문체는 삼국시대에 발달하기 시작하여 통일신라시대에는 성립되어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초기에 내려옴으로써 더욱 발달하였는데, 조선초기 《직해대명률(直解大明律)》에 이르러 그 체계가 완성되고,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에도 관공서와 민간에서 쓰여져 19세기말 갑오경장 때까지 계승되어 온 것이다.
예) 경주남산신비문(慶州南山新城碑文)
辛亥年二月六日 南山新城作節(디위) 如法以(으로)작 後三年崩破者(는) 罪敎(이신)事爲(하야)聞敎(이샤)令(시켜) 誓事之(이오)
(4) 구결식 표기
차자표기법의 하나인 구결을 전통적인 개념으로 말하면, 한문을 우리말로 읽을 때에 한문의 낱말 또는 구절 사이에 들어가는 우리말이다. 토(吐)나 입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5.13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4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