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문자생활의 실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 문자생활의 실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순한글체
고유어
한글속의 외래어(서구어,일본어)
-국한문혼용
-한로혼용
-인터넷 언어
줄인표현/ 이모티콘 사용의 외계어

결 론

본문내용

보면 좋은-조은, 많이-마니, 왔다-와따, 싫어- 시러, 감사합니다. 등이 있다. 여기서 인테넷 언어는 \'리니지\' , \'디아블로\'등과 같은 온라인 게임의 등장으로 크게 변질되기 시작한다. 긴박한 전투나 기타 행동을 할 경우 불편하다는 이유로 좀 더 줄여 쓰고 \'암호화\'시켜 이제는 아예 \'언어형태의 흔적\'조차 남지 않은 \'ㅈㅅ(죄송합니다.)\' \'ㄳ(감사합니다.)\' \'ㅎㅇ(하이(Hi))\' \'ㅅㄱ(수고하세요)\' 과 같은 형태로 심하게 변질시켜 버린다.
위의 예는 인터넷 언어의 모습이 잘 들어나 있다. 우선 인터넷 언어에서는 ‘~’의 표현이 많이 쓰이는 데 이는 자신의 말에 대한 호소력을 더해주기 위해 쓰인다. 그리고 데 먼저 인터넷을 하면서 ‘~’ 표시를 자주 쓰며, OTL(좌절), ㅡㅡ;;(당황, 어쩔줄 모름), KIN(‘즐’이라는 언어를 표시), ㅜㅜ(눈물 흘리는 표시) 등의 이모티 콘이 많이 쓰인다, 또 ‘마니’, ‘걍\', \'컴터’와 같이 말을 줄이고 있으며 ‘덩말’, ‘카는건’ 과 같은 표현들이 보인다. ‘ㅋㅋ’, ‘ㅎㅎ’ 등의 표현으로 웃는 것을 표현, 앞뒤 말은 다 자르고 ‘짜증’이라고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캐안습(정말 슬픔), 추공(사이트에서의 답변에 대한 보상으로 주는 점수(추가내공)를 줄어서 표현)등의 표현들이 눈에 띤다.
○ 이모티콘 사용의 외계어
이모티콘 이란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컴퓨터 프로그램 기능표시 형상)의 합성어로 컴퓨터 자판의 문자와 기호, 숫자 등을 적절히 조합해 미세한 감정이나 특정 인물, 직업 등의 의미를 전달하는 사이버 공간 특유의 언어이다. 컴퓨터 자판으로 문자, 기호를 조합하여 간단히 만든 이모티콘을 사용하면 사람의 얼굴 표정이나 모습 등은 물론 인종, 인물, 직업, 동물, 등을 재치있게 표현 할 수 있다. 이모티콘은 인터넷과 PC통신이 확산되면서 사이버 시대의 중요한 커뮤이케이션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 이런 이모티콘 자체는 문자로 보기 보다는 의사소통을 나타내는 기호로 볼 수 있으며 이런 이모티콘에 이어 나타 난 것이 알파벳·일본문자·특수문자·한글자모 등을 혼합해 의사를 표현하는 컴퓨터 통신상의 언어인 외계어이다.
- 이 모 티 콘
자판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이모티콘 에는 OTL ^^* >_< +ㅁ+ ㅠ_ㅠ -_- ^^ㅗ @_@, ^^V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다음은 인터넷에서 지원 해주는 이모티콘의 예들이다.
- 외 계 어
외계어는 비교적 간단한 표현에서부터 일반인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복잡한 표현에 이르기까지 표현방법도 다양하다. 그 대표적 특징은 다음 과 같다. 첫째, \'ㅋㅋㅋ(크크크)\', \'ㅎㅎㅎ(하하하)\'와 같이 극도로 축약한다. 둘째, \'하이루(안녕하세요)\'와 같이 국적이 없는 표현과 엉터리 조어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하이\'는 영어 \'hi\'인데, \'루\'는 무슨 말인지 알 수 없다. 일본인들이 영어 \'트럭(truck)\'을 \'도라꾸\'로 발음하는 것과 같은 원리를 그대로 끌어다 쓴 것으로 보이지만, 현실 언어에서도 일본어투의 사용을 억제하고 순화어를 쓰는 시점에서 이런 용어는 우리말을 오염시키고 파괴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셋째, \'㉯㉯납별뉨ⓔ는ⓔ렇퀘글쓰능高☆로㉯뽀게생각안훼(나 별님이는 이렇게 글 쓰는 것 별로 나쁘게 생각하지 않아)\'와 같이 특수문자·한자 등 컴퓨터에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쓴다. 여기서 표준어는 완전히 무시된다. 넷째, \'よ0ぎㅎビλĦㅎコ_¤ 읍ㅎF_しち흐ロっㅉヴ켕_≥∇≤☆(안녕하세요, 오빠. 너무 멋져요)\', \'ロЙ흴_ゼつじĦ㈜λıㄲっズき¿?(메일 보내주실 거지요?)\'와 같이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는 표현을 쓴다. 이런 극단적인 형태의 외계어는 하나의 문자로 보기는 해야 하지만 그것이 무슨 뜻인지 이해 할 수도 없게 기록한 한 것은 어느 정도 문제가 있으며 자제해야 한다고 본다. 문자란 누구나가 다 쉽게 이해하고 공유하는 의사소통의 수단이기 때문이다.
■ 결 론
이상 현대 한국의 문자생활이 어떻게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실제자료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갑오경장 이후부터 해서 독립신문에서 순 한글체가 사용되고 있었고 신문에 연재되었던 이광수의 무정역시 순 한글체를 표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한글 역시 일제시기를 지나 현대로 오면서 우리말로 쓰기는 하지만 일본어나 서구어가 한글 속에 여전히 존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일본어나 서구어 들은 충분히 우리나라 말로 바꾸어 쓸 수 있으므로 바꿔 쓰는 것이 옳으리라고 본다. 그리고 주시경, 최현배의 풀어쓰기와 가로쓰기에 대해서 보았는데 아마 당시에는 새로운 형식의 쓰기 방식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읽기에도 불편했을 것이며 굳이 구분해서 쓰지 않아도 사용에 지장이 없었기 때문에 그 뒤까지 발전하지 못했다고 본다.
그리고 독립신문과 비슷한 시기였던 황성신문에서는 국한문 혼용을 취하고 있었으며 이인직의 <혈의누>와 염상섭의 <암야>라는 문학작품을 통해서도 국한문 혼용과 병용을 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로혼용과 병용역시 현재로 오면서 우리의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간판, 대중매체, 식품, 등등 그 쓰임이 아주 빈번하다. 이런 한로 혼용과 병용역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쓰이는 문자이므로 그러한 것을 써서 의사소통에 제약이 없다고 하면 현재의 다양한 문자의 하나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 한글이 위축 될 정도로 많이 쓰이고 있는데 이러한 점을 잊지 말고 주의해야 한다고 본다.
그 외에 컴퓨터가 발전하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이 점차 많아지자 좀 더 빠른 시간 내에 자신의 의견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말을 줄여서 사용하거나 이모티콘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것들의 연장선상에서 외계어가 나왔다고 볼 수 있다. 외계어 역시 그 사용이 많은데 이것도 일종의 문자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렇게 문자의 사용이 아주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실생활의 자료를 통해 알아 볼 수 있었는데 다양한 문자가 쓰이고 있는 만큼 우리 한글역시 그 속에서 소외되어 그 수가 줄어드는 것은 방지하고 지켜나가는 가운데에서 다양한 문자가 쓰여야 할 것이라고 본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6.07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