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의 풍속과 금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문화의 풍속과 금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전통명절

Ⅱ. 중국의 기념일

Ⅲ. 전통예속

Ⅳ.금기

본문내용

는 원단사설이나 신년헌사를 싣는다.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신년을 경축하는 여러 가지 오락프로그램을 진행한다.
(2)삼팔부녀절
삼팔부녀절은 양력3월 8일로 국제 부녀투쟁 기념일이다. 1908년 3월 8일 미국의 조지아주의 부녀들이 남녀평등을 요구하는 시위를 한데서 비롯되었다. 부녀자들에 한하여 반나절만 공휴일이다.
(3)오일국제노동절
5월 1일로 메이데이다. 1886년 5월 1일 미국 조지아주 등지의 노동자들이 8시간노동제를 주장하는 대규모 파업과 시위를 벌렸고 결국 유혈투쟁으로 이어졌다. 1889년 엥겔스가 제2차 국제성립대회를 개최하면서 5월 1일을 국제노동절로 정했다. 중국에서는 이날 전국이 공휴일 이며 7일간의 연휴다.
(4)5.4청년절
5월 4일로, 1919년의 5.4운동의 선봉이 되었던 청년들의 반제반봉건의 진취정신을 계승하여 더욱 발양하기 위한 기념일이다. 공휴일은 아니고 기념활동만 진행한다.
(5)육일아동절
6월 1일로 우리나라의 어린이날과 같은 의미이다. 어린이들을 위한 경축오락 활동을 전개한다.
(6)칠일당건절
7월 1일로 1921년 7월 중국 공산당이 상해에서 창당했고, 1941년 7월 1일 공산당의 창당일로 기념하기로 결정했다. 기념문장을 발표하는 등의 기념활동만 한다.
(7)팔일건군절
8월 1일로, 1927년 9월 1일 중국공산당이 제1차 국내 혁명전쟁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강서성 남창에서 무장봉기를 일으키게 되었다. 저우언라이주더허룽이에팅 등이 주도했다. 이 봉기군이 다음해 4월 남창에서 마오쩌둥이 영도하는 농민봉기군과 회오하게 되어 중국공농홍군 제4군을 결성하게 된다. 이로부터 중국공산당은 자신의 독립된 군대를 가지게 된다. 우리나라의 국군의 날에 해당한다.
(8)삼일국경절
10월 1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일이다. 1949년 10월 1일 중국공산당의 영도 아래 중국인민이 민족의 독립과 해방을 쟁취하게 되어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을 선포함으로써 중국은 새로운 역사단계로 진입하게 되었다. 천안문광장에서 열병의식 등의 기념행사를 행한다. 국경절은 중국대륙의 3대 황금연휴 기간이다. 법정공휴일은 4일이나 2천 년 전부터 전국이 휴가기간을 조정하고 통일하여 10월 1일 전후의 주말을 모두 휴가를 하기 때문에 7일 동안이 연휴가 된다. 때문에 흔히 이 기간을 \'국경연휴기간\' 혹은 \'101황금연휴\'라고 부른다.
이 밖에 공휴일 이외에도 4월 4일 식수절, 9월 10일 교사절 등이 있다. 또한 소수민족의 전통에 따른 갖가지 명절이 있다.
Ⅲ.전통예속
전통예속은 본래 신분 질서에서 비롯된 것이다. 민간에서도 이를 본받아 예속이 생겼는데 오늘날 민간에서 행해지는 제례는 오례 중 길례에 속한 것이고 상례는 흉례에 하나였으며 관례와 혼례는 가례에 속한 것이다. 대체로 시간에 따라 다소 변호가 있었지만, 과거에는 관(冠), 혼(婚), 상(喪), 제(際)에 대한 예법이 장중하고 엄격하게 시행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 사람들은 혼례와 상례에만 치중하는 편이고, 제례는 소략하며 과거의 성인식인 관례는 거의 사라져 가고 있다고 한다.
이제부터 관례(冠禮),혼례(婚禮),상례(喪禮),제례(際禮)순으로 알아보았다.
(1)관례
관(冠)은 모자를 뜻하는 것으로 과거엔 남자가 20세가 되면 관을 씌우는 성인식을 거행했다. 길게 따서 늘어뜨렸던 머리칼을 묶어 검은 비단주머니로 머리 뒷부분을 쌍아 올린 다음 관과 비녀를 꽂는 절차 이다. 여자는 `15세가 되면 머리칼을 모아 머리 꼭대기로 올려 검은 면주머니로 싸서 비녀를 꽂는다. 예식순서는 집안의 묘당에서 거행되는데, 먼저 조상에게 절을 올려 고하고 축사를 읽고 난 다음, 집례자가 \'자(字)를 선포한 후, 손님들에게 술을 권해 축하를 청하는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관례의 의미는 이제 성년이 되었음을 뜻하며 아내를 취하고 사회에서도 성인으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지니게 된다. 당(唐) 이후 관례와 혼인이 합쳐져 특별한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지만, 오늘날 소수민족사회에서는 여전히 성인식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2)혼례
전통혼례는 그 절차가 매우 복잡하다. 전 과정에 걸쳐 중요한 것은 \'부모의 명과 중매자의 말\' 이다. 즉 본인의 감정이나 의지보다는 부모가 알아서 결정한다. 또한 상대를 고름에 있어서 \'문당호대(서로의 집안이 수준에 맞는데)\'를 매우 따졌다. 혼인의 절차는 주대 때부터 엄격한 절차를 지켜왔는데, 한 나라에 이르러 소위 \'육례(六禮)\' 라는 것으로 확정지어졌다.
납채(納采)
\'납\'은 받아들인다는 의미이고, \'채\'는 선택한다는 뜻이다. 즉 구혼절차를 말하는 것으로, 남자의 집에서 중매인을 통해 예물을 보내며 청혼하는 것이다. 여자측은 청혼을 수락하면 예물을 받는다.
문명(問名)
청혼이 받아들여지면 남자의 집에서 \'홍첩(紅帖)\'을 써서 예물과 함께 중매인을 시켜 여자측에 보내고 여자의 성명과 사주를 받아온다.
납길(納吉)
여자의 성명과 사주를 가지고 점을 친 다음, 그 결과를 중매인을 시켜 여자측에 통보한다.
납접(納定)
점을 친 결과가 길하면 남자 집에서는 보다 좋은 예물을 준비해 정식으로 정혼을 구한다. 그리고 신부측에서 예물을 받으면 수락한 것으로 본다.
청기(請期)
정혼한 이후 남자집에서 길일을 택해 중매인을 통해 신부측에 알린다. 신부측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면 날을 다시 정한다.
친영(親泳)
결혼 당일 신랑이 친히 중매인과 함께 예물을 가지고 신부집을 방문하는 것을 말한다. 신랑은 먼저 신부의 부모에게 절을 올리고 다시 신부측 조상의 사당을 배알하며 예물을 올린다. 그런 다음 신부를 가마에 태우고 돌아온다. 신랑은 먼저 내려 문밖에서 신부가 가마에서 내리기를 기다렸다가 방으로 든다. 먼저 천지(天地)에 절을 올리고, 부모님에게, 그리고 부부간에 절을 올린다. 절이 끝나면 신부는 신랑의 옆 의자에 앉되 신랑이 왼쪽 소매를 신부의 오른쪽소매에 올려놓는다. 그런 다음 신랑이 붉은 보자기를 싼 저울대로 신부 머리의 빨간 덮개를 들춰내서 깔고 앉는다. 다음 만두와 장수면을 먹는다. 저녁이 되면 \'희연\'을 열어 손님을 대접하고 합방을 한다. 합방전 미혼남녀들이 이 부부와 장난을 치며 논다. 다음날 (3일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6.0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