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 선택 이유
2. 영화 설명
3. 줄거리
4. 인물과 심리분석
A. 강박증
B. 불면증
C. 정신분열
D. 해리장애
E. 기타 장애
F. 심리적 장애를 가지게 된 원인
5. 결론 및 정리
A. 잭의 인물분석의 전체적인 정리
B. 느낀점
2. 영화 설명
3. 줄거리
4. 인물과 심리분석
A. 강박증
B. 불면증
C. 정신분열
D. 해리장애
E. 기타 장애
F. 심리적 장애를 가지게 된 원인
5. 결론 및 정리
A. 잭의 인물분석의 전체적인 정리
B. 느낀점
본문내용
잭의 정신분열증 초기증상쯤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처음엔 이처럼 아주 잠간씩 보이기 시작하다가 나중에 다시 나오겠지만 점점 더 오랜시간 많은 환각들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 장면을 보면 주인공이 정신분열증에 걸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신의 안정된 심리상태를 무너뜨리는 존재의 등장→다시 환각이 나타난다.)
환자들의 모임에 참여하면서 잭은 잠시나마 심리적인 안정을 찾지만 이런 안정을 깨는 존재가 등장하게 된다. 말라 싱어라는 여자인데 이 여자 역시 아무런 병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단지 시간을 보내고 커피를 마시려는 목적으로 수많은 모임에 참가하게 된다. 따라서 잭은 자신과 같이 사이비인 이 여자에 의해서 들킬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다시 불안을 가지게 되고, 또다시 불면증이 시작된다. 불면증으로 인해서 다시 생활이 망가지기 시작하자 정신분열증 증세가 보이기 시작한다. 이번에는 그 환각이 아주 뚜렷하게 장시간 나타나기 시작한다. 아예 자신의 빈 옆 좌석에 앉아서 자기와 대화를 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그의 정신 분열증을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이다.
(망상 - 사고의 장애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영화가 끝나서 마지막 반전을 본 사람은 알겠지만 주인공 옆의 남자는 자신이 만들어낸 자신이 원하는 외모, 능력, 말투를 갖춘 가상의 인물이다. 드디어 이 가상의 인물이 자신에게 영향을 주는 정신분열증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말도 안되는 논리를 내세우는 장면이 나온다. 즉 있지도 않은 사실을 논리적으로 만들어 내는 망상이 시작된 것이다. 비행기에 사고가 났을 때 산소를 흡입하는 이유를 기압차에 의해서 비행기 내에서 숨쉬기가 힘들어서라는 원래 의미를 반박하면서 산소를 마셔서 추락할 때 정신이 몽롱해져서 죽음을 기분좋게 받아 들이기 위함이라고 말하면서 안내 종이에 나오는 사람들이 웃고 있다고 그게 그 증거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부터 잭의 정신분열증은 급격히 심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또 하나 살펴 볼 수 있는 것이 망상 속의 인물인 타일러 더든의 말이다. 그는 자신에 대해서 웃는 모습이 삐딱하다고 말해준다. 이 말은 자기 자신에게 하고싶던 말이기도 하다. 즉 다시 말해서 이 타일러 더든이란 사람은 자신의 소망이 완벽하게 투영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정신분열증-망상)
계속 주인공의 망상은 이어진다. 집이 불타버린 후에 가상 속의 인물인 타일러 더든과 함께 대화를 나누고, 타일러 더든은 잭 자신이 듣고 싶었던 말 “격식차리지 말고, 우리집으로 갑시다”란 말을 해주고 그들(?)의 집으로 데려간다. 그 전에 타일러 더든은 잭에게 자신을 때려달라고 말한다. 아무 이유 없이 말이다. 싸워봐야 자신을 알게 된다면서 잭에게 때려 달라고 하고 자신도 때리고 싸운다. 그러나 이것은 전부 허상이다. 나중에 후반부에 나오는 진실에 의하면 이 장면은 자기가 스스로 자기를 때리고 있는 장면으로 다른 사람 눈이 비치게 된다. 이것은 앞에서 설명한 지각의 장애이다. 즉 ‘외부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소리나 형상을 지각하거나 혹은 외부 자극에 대해 현저하게 왜곡된 지각을 하는 경우(실존하는 외부 자극이 존재하는 착각 illusion과는 구분됨)’인 것이다. 이처럼 정신분열증으로 인한 환각들은 앞으로 영화 전체에서 나타나게 된다.
(정신분열 및 정신질환의 원인들이 밝혀지는 장면)
이제부터 정신분열이나 해리성 정체 장애는 구체적인 장면을 들어 설명하지 않고 마지막 정리 부분에서 포괄적으로 설명을 하겠다. 이 장면에서는 잭이 왜 이런 질환들을 앓게 되었는지에 대한 가장 유력한 증거가 등장한다. 바로 젝이 어렸을때의 환경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자신의 망상의 인물인 타일러 더든이 던진 질문은 누구와 싸우고 싶냐는 것이다. 이때 현실세계에서 초자아가 자신을 누르고 있는 잭이란 인물의 대답은 그래도 좀 나은 사장과의 싸움이다. 그러나 자신의 모든 소망이 투영되어 만들어진 인물인 타일러가 싸우고 싶은 대상은 바로 아버지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이 있다. 즉 정작 아버지와 싸우고 싶은 사람은 잭인 것이다.
아버지와 싸우고 싶다고 하는 타일러 더든의 말을 들은 잭은 그제서야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한다. 아버지는 자기가 6살 때 어머니와 이혼하고 딴 여자와 애를 놓고 살았고, 또 6년마다 여자를 바꾸었다고 한다. 자아강도가 약한 시기인 0~6세 사이에 분명히 정상적인 집안에서 자라나지 못했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 시기에 받은 충격은 직장상사에 대한 불만, 시차에 적응하지 못한 불면증, 불면증으로 인한 스트레스, 불안 등이 의해 현재에 와서 그 영향을 미치게 되어 지금과 같은 정신질환으로 나타나 버린 것이다. 즉 어린 시절의 환경이 영향을 준 것이다. 또 한가지 주목할 점은 타일러가 바로 자신의 아버지를 닮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나중에 가면 서서히 밝혀진다. 가상의 인물과 공감대가 형성된 이때부터 주인공인 잭은 급속도로 자신의 가상의 인물을 닮아 가기 시작한다.
(망상들-‘기괴하지 않은 망상’)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음직한 망상은 ?기괴하지 않은 망상?으로 분류됨」 앞에서 설명한 정신분열증의 증상에 대한 설명 중에서 연속선 가설이라는 것이 있다. 망상이 정상적 신념과 질적으로 다른 병적 현상이 아니라, 정상적인 사람들이 가질 수 있는 생각이 극단화된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한 망상들을 통해서 다시 한번 잭이 정신분열증이라는 것을 말해 보겠다.
영화가 시작한지 정확하게 1시간이 되는 시점에서 이들(?)은 지방제거 시술소가 있는 병원으로 숨어 들어간다. 그 이유는 바로 사람의 지방제거시술로 버려진 지방을 훔쳐서 비누를 만들기 위함이다. 많은 동물들 중에 가장 고귀하게 자라나는 인간이란 동물의 지방이 최고급 비누가 된다는 망상을 하는 것이다. 또는 비누로 폭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인데, 내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비누 속에는 분명히 글리세롤이란 성분이 있지만 이 성분은 폭탄의 주 원료인 니트로 글리세롤과는 화학적 구조가 너무나 틀려서 특수한 장치, 기법이 없으면 절대로 폭탄을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한가지 망상으로 앞부분에 나오는 것인데, 아이들이 보는 영화에 아주
(자신의 안정된 심리상태를 무너뜨리는 존재의 등장→다시 환각이 나타난다.)
환자들의 모임에 참여하면서 잭은 잠시나마 심리적인 안정을 찾지만 이런 안정을 깨는 존재가 등장하게 된다. 말라 싱어라는 여자인데 이 여자 역시 아무런 병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단지 시간을 보내고 커피를 마시려는 목적으로 수많은 모임에 참가하게 된다. 따라서 잭은 자신과 같이 사이비인 이 여자에 의해서 들킬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다시 불안을 가지게 되고, 또다시 불면증이 시작된다. 불면증으로 인해서 다시 생활이 망가지기 시작하자 정신분열증 증세가 보이기 시작한다. 이번에는 그 환각이 아주 뚜렷하게 장시간 나타나기 시작한다. 아예 자신의 빈 옆 좌석에 앉아서 자기와 대화를 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그의 정신 분열증을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이다.
(망상 - 사고의 장애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영화가 끝나서 마지막 반전을 본 사람은 알겠지만 주인공 옆의 남자는 자신이 만들어낸 자신이 원하는 외모, 능력, 말투를 갖춘 가상의 인물이다. 드디어 이 가상의 인물이 자신에게 영향을 주는 정신분열증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말도 안되는 논리를 내세우는 장면이 나온다. 즉 있지도 않은 사실을 논리적으로 만들어 내는 망상이 시작된 것이다. 비행기에 사고가 났을 때 산소를 흡입하는 이유를 기압차에 의해서 비행기 내에서 숨쉬기가 힘들어서라는 원래 의미를 반박하면서 산소를 마셔서 추락할 때 정신이 몽롱해져서 죽음을 기분좋게 받아 들이기 위함이라고 말하면서 안내 종이에 나오는 사람들이 웃고 있다고 그게 그 증거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부터 잭의 정신분열증은 급격히 심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또 하나 살펴 볼 수 있는 것이 망상 속의 인물인 타일러 더든의 말이다. 그는 자신에 대해서 웃는 모습이 삐딱하다고 말해준다. 이 말은 자기 자신에게 하고싶던 말이기도 하다. 즉 다시 말해서 이 타일러 더든이란 사람은 자신의 소망이 완벽하게 투영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정신분열증-망상)
계속 주인공의 망상은 이어진다. 집이 불타버린 후에 가상 속의 인물인 타일러 더든과 함께 대화를 나누고, 타일러 더든은 잭 자신이 듣고 싶었던 말 “격식차리지 말고, 우리집으로 갑시다”란 말을 해주고 그들(?)의 집으로 데려간다. 그 전에 타일러 더든은 잭에게 자신을 때려달라고 말한다. 아무 이유 없이 말이다. 싸워봐야 자신을 알게 된다면서 잭에게 때려 달라고 하고 자신도 때리고 싸운다. 그러나 이것은 전부 허상이다. 나중에 후반부에 나오는 진실에 의하면 이 장면은 자기가 스스로 자기를 때리고 있는 장면으로 다른 사람 눈이 비치게 된다. 이것은 앞에서 설명한 지각의 장애이다. 즉 ‘외부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소리나 형상을 지각하거나 혹은 외부 자극에 대해 현저하게 왜곡된 지각을 하는 경우(실존하는 외부 자극이 존재하는 착각 illusion과는 구분됨)’인 것이다. 이처럼 정신분열증으로 인한 환각들은 앞으로 영화 전체에서 나타나게 된다.
(정신분열 및 정신질환의 원인들이 밝혀지는 장면)
이제부터 정신분열이나 해리성 정체 장애는 구체적인 장면을 들어 설명하지 않고 마지막 정리 부분에서 포괄적으로 설명을 하겠다. 이 장면에서는 잭이 왜 이런 질환들을 앓게 되었는지에 대한 가장 유력한 증거가 등장한다. 바로 젝이 어렸을때의 환경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자신의 망상의 인물인 타일러 더든이 던진 질문은 누구와 싸우고 싶냐는 것이다. 이때 현실세계에서 초자아가 자신을 누르고 있는 잭이란 인물의 대답은 그래도 좀 나은 사장과의 싸움이다. 그러나 자신의 모든 소망이 투영되어 만들어진 인물인 타일러가 싸우고 싶은 대상은 바로 아버지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이 있다. 즉 정작 아버지와 싸우고 싶은 사람은 잭인 것이다.
아버지와 싸우고 싶다고 하는 타일러 더든의 말을 들은 잭은 그제서야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한다. 아버지는 자기가 6살 때 어머니와 이혼하고 딴 여자와 애를 놓고 살았고, 또 6년마다 여자를 바꾸었다고 한다. 자아강도가 약한 시기인 0~6세 사이에 분명히 정상적인 집안에서 자라나지 못했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 시기에 받은 충격은 직장상사에 대한 불만, 시차에 적응하지 못한 불면증, 불면증으로 인한 스트레스, 불안 등이 의해 현재에 와서 그 영향을 미치게 되어 지금과 같은 정신질환으로 나타나 버린 것이다. 즉 어린 시절의 환경이 영향을 준 것이다. 또 한가지 주목할 점은 타일러가 바로 자신의 아버지를 닮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나중에 가면 서서히 밝혀진다. 가상의 인물과 공감대가 형성된 이때부터 주인공인 잭은 급속도로 자신의 가상의 인물을 닮아 가기 시작한다.
(망상들-‘기괴하지 않은 망상’)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음직한 망상은 ?기괴하지 않은 망상?으로 분류됨」 앞에서 설명한 정신분열증의 증상에 대한 설명 중에서 연속선 가설이라는 것이 있다. 망상이 정상적 신념과 질적으로 다른 병적 현상이 아니라, 정상적인 사람들이 가질 수 있는 생각이 극단화된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한 망상들을 통해서 다시 한번 잭이 정신분열증이라는 것을 말해 보겠다.
영화가 시작한지 정확하게 1시간이 되는 시점에서 이들(?)은 지방제거 시술소가 있는 병원으로 숨어 들어간다. 그 이유는 바로 사람의 지방제거시술로 버려진 지방을 훔쳐서 비누를 만들기 위함이다. 많은 동물들 중에 가장 고귀하게 자라나는 인간이란 동물의 지방이 최고급 비누가 된다는 망상을 하는 것이다. 또는 비누로 폭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인데, 내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비누 속에는 분명히 글리세롤이란 성분이 있지만 이 성분은 폭탄의 주 원료인 니트로 글리세롤과는 화학적 구조가 너무나 틀려서 특수한 장치, 기법이 없으면 절대로 폭탄을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한가지 망상으로 앞부분에 나오는 것인데, 아이들이 보는 영화에 아주
추천자료
웹 기반 인물정보원의 분석적 연구
원미동 시인의 인물과 치숙의 인물 분석
사랑이지나간자리-고전정신분석, 대상관계이론-등장인물 분석
성경인물과 심리분석
최근 상영한 우리나라 영화 써니(Sunny)를 보시고 등장인물 중 1명을 클라이언트로 선정한 후...
정신분석 이론 중 에릭슨이론에 맞는 실제 인물을 선택(나이, 성별, 직업)하여 분석
정신장애 중 기분 장애의 종류를 나열하고 주변 인물이나 혹은 영화와 소설 등의 인물 중에서...
[소설가 손창섭][소설 비오는 날][잉여인간]소설가 손창섭의 작품경향, 소설가 손창섭의 소설...
‘패강랭’ 작품분석 _ 이태준 저 (제목 의미, 인물 분석, 작품분석, 의의와 한계)
돌핀 수상 레저스포츠, 박찬호 휘트니스 클럽의 비교 분석
[리더십] 관심있는 영화나 드라마속의 인물(리더)을 선정하여 지금까지 배운 리더십의 이론들...
소설의 표지 인물화와 소설의 인물 삽화분석(소설속삽화, 삽화이야기, 삽화해석)
영화 “엘리펀트 (Elephant) 2003”속 청소년의 품행장애 분석 - 영화 엘리펀트 줄거리와 등장...
[박정희 인물연구] 박정희 인물소개와 리더십분석및 박정희에 대한 평가와 통치스타일과 주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