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거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근대 건축가들의 등장과 문화주택◎
①근대 건축가들의 등장
②문화주택의 유형

◎도시형 한옥의 등장◎
①주택 생산양식의 변화와 도시형 한옥의 출현

◎도시형 한옥의 건축적 성격◎

◎도시형 한옥의 주거사적 의미◎
① 주택생산 양식의 변화
② 도시형 주택으로서 한옥의 가능성
③도시형 한옥은 식민지 상황에서 주거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는데 기여

본문내용

서울지방. 또는 경기지방의 중류주거를 표본으로 하여 도시적 입지환경에 대응하도록 수정된 유형이라 할 수 있다.
도시형 한옥에서는 ㄱ자형의 살림채를 그래도 두고 도로에 면한 쪽에 ㅡ자형 대문채를 연접시켜 ㄷ자형의 배치를 이루었다. 이렇게 하여 도로로부터 내정의 기밀성을 확보하면서 문간과 측간이 살림체내의 통합된 도시형 한옥이 만들어졌다.
중정은 주변이 주택과 도로로 둘러싸인 입지환경 안에서 각 방의 채광이나 환기, 개방된 공간감을 제공할 수 있는 주요한 외부공간으로서 존속되었다.
평면이나 배치형식은 중류주거를 표본으로 했지만 재료나 형태는 상류계층의 것을 부분적으로 차용함으로써 고급주택으로서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도시형 한옥은 근대적인 건축재료가 부분적으로 도입되었다는 점에서 개량한옥으로 불리기도 한다. 함석차양과 홈통, 대청이나 툇마루에 설치한 유리 미서기문, 마루밑이나 굴뚝, 외벽 등에 사용된 벽돌등은 근대적 재료를 적요하기 위한 시도였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의 사용이 한옥으로서의 형태나 공간 변화를 크게 바꾸지는 않았다.
목구조와 팔작기와지붕으로 만들어진 주택들의 도시환경은 일제 식민시기까지도 도시경관과 주거문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있었던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7.05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0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