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쳐쓰기
1. 대단원 학습 목표
2. 대단원 개관
3. 교육과정
※ 7차교육과정과 개정안의 비교
4. 수업전략
1. 대단원 학습 목표
2. 대단원 개관
3. 교육과정
※ 7차교육과정과 개정안의 비교
4. 수업전략
본문내용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의미를 분명하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은 단어는 다른 것으로 바꾸고, 불필요한 단어는 빼도록 한다.
1. 단 어
(1) 단어란 : 단어 또는 낱말은 뜻을 담고 있고, 자립성이 있는 최소 단위이다. 자립성이 있으므로 앞뒤로 띄어쓰기가 가능하다. 하나 이상 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는 흔히 어근과 접사로 분석된다. 단어들이 모여 구, 절, 문 장을 이룬다. 한국어에서는 홀로 쓸 수 있는 말로 '철수', '책', '읽다', '크다' 등과 함께 다른 말 뒤에 붙여서만 쓸 수 있는 조사 '이/가', '은/는', '을/를' 등도 단어로 인정하고 있다. 그 밖에도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의존 명사 '줄', '것', '바' 등도 역시 단어로 인정한다.
(2) 단어의 분류
①단일어(simple word) : 형태소 하나로 이루어진 단어
②합성어(complex word) : 두 개 이상의 실질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③복합어(compound word) : 어기만으로 이루어진 합성어
통사적 복합어(syntactic compound) : 구를 이루는 방식으로 형성된 복합어. 구형 복합어(phrasal compound)라고도 함.
비통사적 복합어(asyntactic compound) : 통사적인 방식을 따르지 않는 복합어. 긴밀복합어(close compound)라고도 함. 비통사적 복합어의 한 예로 한국어의 사이시옷을 들 수 있다. 사이시옷은 복합어의 어기 사이에 ㅅ받침이 들어가는 경우인데 사이시옷이 출현하는 조건은 일정하지 않다.
⑤파생어(derived word) : 1개 이상의 접사가 포함된 합성어
⑥숙어(idiom) :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구이면서 하나의 단어처럼 기능하는 경우
2. 단어 수준에서 글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① 비표준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② 표기법에 맞게 쓰도록 한다.
③ 문맥에 맞는 적절한 단어를 쓰도록 한다.
④ 띄어쓰기를 바르게 사용한다.
3. 예 시
1) 다음 문장에서 불필요한 단어를 찾아 보자.
① 여러 가지 제반 문제들이 우리를 난처하게 한다.
② 아버지께서는 사과를 날마다 매일 드신다.
③ 소설은 작가가 꾸며 쓴 창작한 것이다.
2) 다음 문장에서 잘못 쓰인 단어를 바르게 고쳐 써 보자.
① 믿음으로서 맺어진 친구는 영원하다.
② 그는 청년 시절의 수많은 대부분을 외국에서 보냈다.
③ 오늘은 햇빛이 유난히 따뜻합니다.
④ 오늘, 선생님의 일정과 스케줄은 어떤가요?
【정답】
1) ①여러 가지와 제반이 중복 ② 날마다와 매일이 중복 ③ 꾸며 쓴과 창작이 중복
2) ① 믿음으로서 : 믿음으로써 ② 수많은 대부분 : 대부분
③햇빛 : 햇볕 ④ 일정과 스케줄은 : 일정은, 혹은 계획은
4. 단어 수준에서 글다듬기 할 때의 유의점
①불필요한 단어는 빼고, 빠뜨린 단어는 넣는다.
②의미가 불분명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단어를 바꾼다.
③어려운 한자어나 외래어 등은 쉬운 우리말로 바꾼다.
④표기법에 어긋난 단어나, 띄어쓰기가 잘못된 곳을 바르게 고친다.
1. 단 어
(1) 단어란 : 단어 또는 낱말은 뜻을 담고 있고, 자립성이 있는 최소 단위이다. 자립성이 있으므로 앞뒤로 띄어쓰기가 가능하다. 하나 이상 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는 흔히 어근과 접사로 분석된다. 단어들이 모여 구, 절, 문 장을 이룬다. 한국어에서는 홀로 쓸 수 있는 말로 '철수', '책', '읽다', '크다' 등과 함께 다른 말 뒤에 붙여서만 쓸 수 있는 조사 '이/가', '은/는', '을/를' 등도 단어로 인정하고 있다. 그 밖에도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의존 명사 '줄', '것', '바' 등도 역시 단어로 인정한다.
(2) 단어의 분류
①단일어(simple word) : 형태소 하나로 이루어진 단어
②합성어(complex word) : 두 개 이상의 실질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③복합어(compound word) : 어기만으로 이루어진 합성어
통사적 복합어(syntactic compound) : 구를 이루는 방식으로 형성된 복합어. 구형 복합어(phrasal compound)라고도 함.
비통사적 복합어(asyntactic compound) : 통사적인 방식을 따르지 않는 복합어. 긴밀복합어(close compound)라고도 함. 비통사적 복합어의 한 예로 한국어의 사이시옷을 들 수 있다. 사이시옷은 복합어의 어기 사이에 ㅅ받침이 들어가는 경우인데 사이시옷이 출현하는 조건은 일정하지 않다.
⑤파생어(derived word) : 1개 이상의 접사가 포함된 합성어
⑥숙어(idiom) :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구이면서 하나의 단어처럼 기능하는 경우
2. 단어 수준에서 글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① 비표준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② 표기법에 맞게 쓰도록 한다.
③ 문맥에 맞는 적절한 단어를 쓰도록 한다.
④ 띄어쓰기를 바르게 사용한다.
3. 예 시
1) 다음 문장에서 불필요한 단어를 찾아 보자.
① 여러 가지 제반 문제들이 우리를 난처하게 한다.
② 아버지께서는 사과를 날마다 매일 드신다.
③ 소설은 작가가 꾸며 쓴 창작한 것이다.
2) 다음 문장에서 잘못 쓰인 단어를 바르게 고쳐 써 보자.
① 믿음으로서 맺어진 친구는 영원하다.
② 그는 청년 시절의 수많은 대부분을 외국에서 보냈다.
③ 오늘은 햇빛이 유난히 따뜻합니다.
④ 오늘, 선생님의 일정과 스케줄은 어떤가요?
【정답】
1) ①여러 가지와 제반이 중복 ② 날마다와 매일이 중복 ③ 꾸며 쓴과 창작이 중복
2) ① 믿음으로서 : 믿음으로써 ② 수많은 대부분 : 대부분
③햇빛 : 햇볕 ④ 일정과 스케줄은 : 일정은, 혹은 계획은
4. 단어 수준에서 글다듬기 할 때의 유의점
①불필요한 단어는 빼고, 빠뜨린 단어는 넣는다.
②의미가 불분명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단어를 바꾼다.
③어려운 한자어나 외래어 등은 쉬운 우리말로 바꾼다.
④표기법에 어긋난 단어나, 띄어쓰기가 잘못된 곳을 바르게 고친다.
추천자료
반의어를 통해 살펴본 구조의미론의 국어교육적 의미
뉴스의 현실재연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국어교육에 적용방안
[국어교과평가][국어교육평가][수행평가][교수학습평가]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과정과 국어...
[교육평가][초등교육평가]초등학교1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
초등학교1학년 국어교과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국어교과교육평가, 초등학교3학년 국어교과...
광고 언어의 특성을 활용한 국어교육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3...
(다문화교육론 공통) 다문화교육론 교재를 참고하여 ‘다문화주의적 준거’를 기반으로 주변의 ...
한국어교육론-한국어의 초분절음소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특성에대해 설명한뒤,이들요소의 교...
[지역사회교육론]방송대성인학습자가 자신이거주하는 지역의 교육발전을위해 참여한 사례를발...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에는 무엇...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