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U 체크 리스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CU 체크 리스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중앙, 침상종합 모니터 (EKG, 혈압, 호흡, CVP)

-맥박 산소계측기Pulse oximetry

-가습기

-산소공급기

-Intubation set

-Ambu bag

-Ventilator

-Nebulizer

-Chest drainage set

-제세동기

-Infusion pump

-Low-pressure suction (Gomco-suction)

-경비관 급식 set

-복막투석 set

-감압용 침대(물, 공기)

본문내용

분무를 하는 도구, 주로 비강 내로 약물을 투입 할 때 쓰인다.
Chest drainage set
(사용방법 및 관리)
(준비단계)
1. 흉부X선을 확인하여 늑막액의 위치를 확인한다
2. 흉관배액을 위한 물품을 준비한다
3. 환자를 안심시키고 절차의 단계를 설명한다.
마취제를 주사할 때 바늘의 느낌과 약간의
압통을 경허할 것임을 설명한다
4. 흉관삽관을 위한 체위를 취해준다
(실행단계)
1. 피부소독후 마취제를 주사한다
2. 늑막강내 삽입된 바늘을 통해 IntraCath로
카테터를 삽입한다
3. 피부에 카테터를 고정시킨다 (suture)
4. 카테터를 배액체계에(밀봉배액병) 연결한다
(추후단계)
1. 혈액/공기의 배액을 관찰한다 (색, 양 관찰)
2. 추후 X선 촬영을 한다
3. 출혈, 감염, 튜브주위의 공기와 수액유출을 관찰한다
(밀봉흉부배액을 하는 환자의 관리)
1. 늑막강으로부터 나온 배액관을 소독 식염수에 잠겨있는 긴 관과 연결한다
2. 정기적으로 관의 연결상태를 점검한다
3. 시간/일마다 배액량의 증가를 표시한다
4. 편안한 체위를 취해주고 자주 체위를 변경 한다
5. 하루에 몇번씩 환부쪽의 팔과 어깨위 관절운동을 하도록 한다. 이때 진통제가 필요할수 있다
6. 관내 응혈과 섬유소로 막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관을 자주 짜기도(Squeezing) 한다
7. 빠르고 얕은 호흡, 청색증, 흉부의 압력, 피하기종 또는 출혈의 증상을 관찰하고 즉시 보 고한다
8. 자주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한다. 절개부위에 통증 이 있다면 적절한 진통제를 투여한 다
9. 늑망강내 공기의 역류를 에방하기 위해 배액체계는 반드시 흉부보다 낮은 곳에 둔다
10. 외과의가 관을 제거할때
a.제거하기 30분전에 진통제를 투여한다.
b.부드럽게 valsalva maneuver를 행하거나 짧게 호흡하게 한다.
c.흉부관을 막고 제거한다
d.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압박 드레싱한다
11. 관을 제거한후 기흉이 발생했는지 X선촬영을 하고 증상을 관찰한다
제세동기
(사용목적)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예:심실세동)을 제거하기 위해 심장에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전기 충격을 주는 순간에 심근 전체가 탈분극되도록 하고 심장 작용을 정상으로 회복해 준다.
(사용방법 및 관리)
사용방법
1. 전원 스위치를 돌려 Monitor On에 맞춘다.
(필요시 환자에게 EKG electrode를 부착하고 cable을 연결하여 EKG monitoring한다.)
2. 에너지 충전 paddle을 장비에서 분리한다.
(소아인 경우 성인용 paddle을 빼내고 사용한다.)
3. 한 쪽 Paddle에 젤리(약 5cc)를 바른 후 다른 한 쪽 paddle로 비벼 묻히도록 한다.
4. 필요한 전기 에너지의 양을 결정한다.
(성인 : 보통 200~300J, 소아 : 2J/Kg).
5. 선택 스위치를 돌려 원하는 에너지량을 맞춘 후 오른쪽 paddle에 부착된 노란색 스위치 (충전버튼)를 눌러 에너지를 충전한다.
6. Defibrillator의 화면에 에너지 값이 표시되며, 충전이 끝나면 \"삐\"하는 소리가 나게 된 다.
환자의 가슴에 defibrillator의 paddle을 댄다.
(한쪽 paddle은 우측 상부 흉골에, 다른 쪽 paddle은 중심액와선에서 유두 바로 왼쪽에 있는 심첨부에 놓는다.)
7. Paddle을 잡은 두 손에 힘을 주어 paddle의 밀착도를 좋게 한다.(Green색 : 양호한 접촉도)
8. 환자에게 방전시에는 양 paddle에 있는 방전용 스위치(빨간색 버튼)를 동시에 눌러야 한 다.
9. 전기적 shock을 시행 후 맥박이 있는지를 사정하고 부정맥이 전환되었는지 관찰한다.
관리방법
1. 사용한 후에는 paddle에 묻어 있는 젤리를 반드시 제거한 후에 보관한다.
2. 기계 표면은 물에 적신 거즈나 다른 부드러운 천 등으로 닦는다.
3. 주 1회 에너지의 정확도를 확인한다.
(paddle pocket에 paddle을 꽂은 상태에서 에너지를 100J에 맞춘 후 방전할 때 에너지 양이 100±2가 넘지 않아야 한다.)
4. 양 paddle을 맞댄 상태에서 Shock 버튼을 누르면 장비가 손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Infusion pump
(사용방법 및 관리)
사용방법
1. IV pole에 pump의 clamp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접속 시킨 후 전원을 연결한다.
2. Pump의 문을 열고 기계 뒤에 있는 POWER 스위치를 켠다.
3. Infusion pump용 수액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8.3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