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시제 관련 단원 구성하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사-시제 관련 단원 구성하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법교육과정
2. 소단원 구성 방안
3. 단원 구성

본문내용

다가올 일을 표현할 수도 있다.
시제를 과거, 현재, 미래로 구분하는 것은 발화시와 사건시라는 시점을 기준으로 나눈 것이다. 발화시는 말하는 이가 발화를 수행하는 시점을 가리키며, 사건시는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을 가리킨다.
(가) 과거 시제
(2) 기초 학습
중세 국어의 과거 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 있는 시제이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방법에는 선어말 어미 ‘-더-’, ‘-거-(-아/어-)’에 의해 실현된다. 이때 ‘-더-’와 ‘-거(-아/어-)’의 의미상의 차이점이 있다. ‘-더-’는 과거, 과거에 완결되지 않은 동작의 회상이고, ‘-거-(-아-/-어-)’는 과거, 과거에 완결된 동작을 나타낸다. ‘-더-’는 선어말 어미 ‘-오-’와 결합하면 ‘-다-’의 형태가 된다.
형태상 특기할 것은 ‘오-’(來) 뒤에는 ‘-거-’도 사용되었지만 특이한 형태인 ‘-나-’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러-’가 된다.
비교) 현대 국어에서는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았-/-었-’, ‘-더-’를 주로 사용 하고, 동사 어간에 붙는 관형사형 어미 ‘-으(ㄴ)’도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가. 龍과 鬼神과 위야 설법더시다.
=>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했다.
나. 내 롱담다라
=> 내가 농담했다.
다. 尊신 王이 업스시니 나라히 威神을 일허다 고
=> 존대하신 왕이 없으시니 나라가 위신을 잃었다 하고
(3) 학습 활동
1. 다음 자료로 과거 시제에 대하여 모둠별로 탐구하여 보자.
· 님금 位ㄹ 리샤 精舍애 안잿더시니
· (須達)…… 그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05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