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개음화(口蓋音化)
2. 어두 ‘ㄴ’의 탈락
3. 어두 자음군(語頭 子音群)의 된소리화
4. 문자 ‘ , ’의 소멸
5. ‘ㅎ’의 된소리
6. ‘ㅇ’
7. 평음의 된소리화 및 유기음화
8. 양순음 ‘ㅍ’ 앞에서 ‘ㄹ’의 탈락
<참고 문헌>
2. 어두 ‘ㄴ’의 탈락
3. 어두 자음군(語頭 子音群)의 된소리화
4. 문자 ‘ , ’의 소멸
5. ‘ㅎ’의 된소리
6. ‘ㅇ’
7. 평음의 된소리화 및 유기음화
8. 양순음 ‘ㅍ’ 앞에서 ‘ㄹ’의 탈락
<참고 문헌>
본문내용
근대국어의 음운현상
- 자음을 중심으로 -
근대 국어는 시기상으로 볼 때 임진왜란 직후인 17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가리킨다. 이 시기는 중세 국어의 연장선상에 있는 시기이면서 현대 국어와 가장 가까운 시기라는 점에서 우리말의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이다. 따라서 근대 국어에 대한 이해는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에 대한 이해를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근대 국어의 음운 현상 중 자음과 관련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1. 구개음화(口蓋音化)
근대어에서 가장 현저한 음운 변화의 하나가 구개음화(口蓋音化)이다. 국어사에서 구개음화(口蓋音化)라면 i, y 앞에서 ‘ㄷ ㅌ ㄸ’이나 ‘ㄱ ㅋ ㄲ’이 ‘ㅈ ㅊ ㅉ’로 변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런 변화는 남부 지방의 방언에서 매우 일찍 일어나 북상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말에서는 ‘ㄷ ㅌ ㄸ’의 구개음화만이 일어났으며 그것도 매우 늦게 일어났던 것이다. 현존 문헌들을 검토해 보면 구개음화의 예는 왜어유해(17세기 말) 에 먼저 나타남을 볼 수 있다.
打 칠 타(上 30)
瓦 지새 와(上 32)
刺 지를 (上 54)
黜 내칠츌(上 54)
觸 찌를
- 자음을 중심으로 -
근대 국어는 시기상으로 볼 때 임진왜란 직후인 17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가리킨다. 이 시기는 중세 국어의 연장선상에 있는 시기이면서 현대 국어와 가장 가까운 시기라는 점에서 우리말의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이다. 따라서 근대 국어에 대한 이해는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에 대한 이해를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근대 국어의 음운 현상 중 자음과 관련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1. 구개음화(口蓋音化)
근대어에서 가장 현저한 음운 변화의 하나가 구개음화(口蓋音化)이다. 국어사에서 구개음화(口蓋音化)라면 i, y 앞에서 ‘ㄷ ㅌ ㄸ’이나 ‘ㄱ ㅋ ㄲ’이 ‘ㅈ ㅊ ㅉ’로 변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런 변화는 남부 지방의 방언에서 매우 일찍 일어나 북상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말에서는 ‘ㄷ ㅌ ㄸ’의 구개음화만이 일어났으며 그것도 매우 늦게 일어났던 것이다. 현존 문헌들을 검토해 보면 구개음화의 예는 왜어유해(17세기 말) 에 먼저 나타남을 볼 수 있다.
打 칠 타(上 30)
瓦 지새 와(上 32)
刺 지를 (上 54)
黜 내칠츌(上 54)
觸 찌를
추천자료
국어의 형성과정
‘-이다’의 ‘-이’는 주격 조사이다
신조어의 종류와 어원
[인문과학]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원문해석
제주도 방언의 특징 고찰
방언에 대한 고찰
옥화궁(玉華宮) 해석 정리
인터넷언어와 외계어실태
활용의 규칙과 불규칙
한글 맞춤법에서의 불규칙 용언의 표기 방법
[감상적 독해][감상적 읽기][독해][읽기][감상요소]감상적 독해(감상적 읽기)의 정의, 감상적...
이기문의 국어사 개설 정리
불규칙 용언 정리 (불규칙용언 중에서 어간이 바뀌는 것, 어미가 바뀌는 것, 어간과 어미가 ...
국어사(중세국어의 변화와 체언, 어미의 변화와 문법형태 기능, 영파생)
소개글